반딧불이 생태탐방 공원조성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딧불이 생태탐방 공원조성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절 반딧불이 서식지 조성의 목적 ..........................1
제 2절 반딧불이 서식지 조성의 배경 ............................2
제 3절 반딧불이 서식지 조성의 추진방향 .......................2

제 2장 반딧불이 종류와 서식지의 특징 ..............................3
제 1절 반딧불이 종류와 서식지 유형 및 특징 ...............3
1. 애반딧불이 ...............................................3
1) 특징 ...............................................3
2) 서식지 유형 .............................................5
3) 애반딧불이 서식처로서의 계단식 논의 특징..................6
2. 늦반딧불이 및 파파리반딧불이 ................8
1) 특징 ...................................................8
2) 서식지 유형 ..................12
3) 서식지의 특징...............................13
제 2절 반딧불이 서식지 감소원인 및 대책 ..........................13
1. 개발의 문제 .............................................14
2. 농약 사용 .............................................16
3. 인공조명 ........................18
제 3절 서식환경 조성 .......................................19
1. 서식환경 조성의 필요성 ....................................19
2. 서식환경 조성방법 ................19
제 4절 반딧불이의 현장 이식 .......................23
1. 현장 이식의 필요성 및 문제점 ...............................23
2. 현장 이식 ..................................23

제 3장 해외 생태공원의 사례 ................................25
제 1절 해외 생태공원의 사례 25
1. 영국 ..................................25
2. 독일 ...................................................26
3. 미국ㆍ캐나다 .......................27
4. 일본 .................................28

제 4장 국내 생태공원과 문제점 및 적용방안 ...................31
제 1절 국내 생태공원 ...........................................31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31
2. 길동 자연생태공원 ...........................31
3. 선유생태공원도 ..................................32
제 2절 생태공원 문제점 및 대책 방안 ........................32
1. 생태공원의 문제점 ............................................32
2. 생태공원의 적용방안 ...................................32
제 3절 우리나라 생태공원 문제점 개선방안 .....................33
1. 여의도 생태공원 .........................................33
2. 길동 자연생태공원 ................................35

제 5장 결 론 ..................................36

참고 문헌 ......................................................38

본문내용

가장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장소는 현재는 반딧불이가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과거에 서식한 기록이 남아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2. 현장 이식
반딧불이를 현장에 이식시킬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점은 대상지역의 환경 조성이다. 지형, 일조 상태, 식생 등 서식 환경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먼저 반딧불이 유충의 먹이인 수서 권패류를 번식시킨다. 이 때, 반딧불이는 물론이거니와 권패류 또한 인근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종을 채집하여 방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패류가 번식하여 각종 크기의 치패와 성패가 출현한 시점에서 반딧불이의 유충을 이식시키는데, 이식량이 먹이량에 비하여 과다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방류시키는 반딧불이 유충의 크기는 방류 초기에는 4~5령이 된 큰 유충을 넣어주고, 상황을 보아가며 점차 작은 유충도 투입한다. 처음부터 너무 어린 인공사육 유충을 투입하면 현장 적응이 어렵고, 천적의 피해를 받기 쉽다. 계절적으로는 최소 3령 이상의 유충을 늦어도 7월까지는 방류시켜야만, 겨울이 닥치기 전에 종령까지 성장하여 월동 후 정상적으로 용화와 우화의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방류 후에는 수계 보존, 농약 살포, 인공광 차단 등, 환경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매년 성충 발생시기에는 발생량을 모니터링 하므로써 서식지 관리상태의 양부를 평가하여야한다. 반딧불이의 이식은 방류 자체가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되고, 서식 환경을 개선하므로써 언젠가는 유충을 보충해 주지 않아도 반딧불이가 스스로 증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수단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김삼은, 1992;61-64)
제 3장 해외 생태공원의 사례
제 1절 해외 생태공원의 사례
1. 영국
정부가 중심이 되어 지역 자연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데 영국 최초의 생태공원으로서 1977년에 런던 중심부 공업지역에 1㏊ 규모로 조성된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가 대규모로 방치되고 있는 낙후된 지역들이 어떻게 경제적이며 창조적으로 이용 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어 생태공원 조성운동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고, 이를 계기로 The Ecological Parks Trust가 발족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후 Camley Street Natural Park, Gillespie Park, Watermead Ecological Park 등을 포함한 많은 생태공원이 계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또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도 활발한데 예를 들면 런던의 민간단체인 The Inter-Action Advisory Service는 영국 전역의 주거환경 불량지역에 복합기능의 공원을 조성하는데 큰 기여를 한 바 있다. (이정덕, 2005;32-39)
1) The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
다양한 생물유기체(Bio-coenosis)가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 살아가는 장소(tope)로 생태공원으로 명명된 최초의 공원으로서 1977년 런던 템즈강변 Tower Bridge 인근에 규모 약 2acre로 조성되었고, 설립단체는 The Ecological Parks Trust(현재 이 단체는 The Trust of Urban Ecological로 개칭)로서, 이 단체에 속한 자원봉사자에 의해 조성운영관리되고 있다. 조성과정에서 자원봉사자는 콘크리트를 철거 150종의 자생식물을 식재하였다. 후속적으로 종의 이입과 멸종에 대한 모니터링이 시행되었었고, 1984년에 21종의 나비가 날아들었고 담수 연못에는 정수식물과 수생식물이 발생하게 되어 다양한 동식물 중의 서식기반을 이루고 있다.
2) Camley Street Natural Park
런던에서 가장 잘 알려진 생태공원이자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생태공원으로서 규모는 0.9㏊(2.2 acre)이다. 도시환경의 생태적 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로서 도심에 가깝게 위치한 환경교육장소이다. 영국 런던市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 20년간 방치되어 야생화와 잡목이 무성하며, GLC(The Greater London Council→The Strategic Planning Authority)에 소속된 조경가와 생태학자에 의해 계획되었다. 자원봉사자가 조직인 The London Wildlife Trust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연간 10,000명의 어린이와 5,000내지 10,000명의 성인이 방문하고 있으며, 1주에 7일 개장하고 있다. 설립목적은 자연보전, 환경교육, 레크리에이션으로서 주요시설은 인접 수로에 연계된 연못, 소택지, 야생화 초지, 관목 덤불과 수림(樹林), 자연center 내부에 교실, 해설지역(interpretation area), 소규모 부엌, 사무실과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장애인이 접근가능하게 끔 처리되어 있다.
공원설립후 11년 동안 자연생태계가 시민들과 어떻게 공존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선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각종 단체 또는 개인단위로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이정덕, 2005;42-48)
<표 4> 야생동물 서식(활동)현황 및 계획
야생동물 서식현황
개구리, 두꺼비 등의 양서류
참새, 왜가리 등의 조류
곤돌메기, 장어, 잉어 등 어류
활용현황 및 계획
가족단위의 하계 환경체험교육 등 환경교육장소로 활용
지역의 고유한 자원 보존, 지역의 여행명소와 조용한 휴식처 로서 공원의 역할 유지
가을특별예술제, 나무가꾸기 행사, 연례지역축제, 잔디깎기 등 다양한 행사를 유치
공원내의 다양한 종족을 보존하고, 생물의 서식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 독일
독일은 1976년 「연방자연보호법」개정을 계기로 생물의 다양성을 되찾기 위하여 노력하여 오고 있는데, 특히 도시하천농촌 등에 생물서식공간(Biotope)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 연방 정원 박람회장은 동베를린에 위치, 도시민의 휴식 및 여가 장소로 활용될 뿐 아니라 많은 생물의 서식공간이 되고 있으며 연못 자체가 하나의 Biotope가 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3. 미국ㆍ캐나
1) 보이지 오아시스(Boise Oasis)
미국 아이다호의 보이지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4년도에
  • 가격3,5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10.02.1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