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기 전…………………………………………분석관점
Ⅰ. 서 론 ………………………………………………2
Ⅱ. 본 론
1.민중가요의 의미 ………………………………………………3
2.민중가요의 기원 ……………………………………………4
3. 군사 정권 이데올로기 vs 민중가요 이데올로기
1) 박정희 정부 시대(1963~1979)……………………………4
➀ 박정희 정부(1963~1979)의 이데올로기……………………4
➁ 박정희 정부 시대(1963~1979)의 민중가요 ……………………5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 …………………6
2) 전두환 정부 시대(1981~1987)
➀ 전두환 정부(1981~1987)의 이데올로기 ………………………7
➁ 전두환 정부 시대(1981~1987)의 민중가요……………………………8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8
3) 노태우 정부 시대(1988~1993)
➀ 노태우 정부(1988~1993)의 이데올로기 ……………………9
➁ 노태우 정부 시대(1988~1993)의 민중가요………………………11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11
Ⅲ. 결 론 …………………………………………………13
Ⅰ. 서 론 ………………………………………………2
Ⅱ. 본 론
1.민중가요의 의미 ………………………………………………3
2.민중가요의 기원 ……………………………………………4
3. 군사 정권 이데올로기 vs 민중가요 이데올로기
1) 박정희 정부 시대(1963~1979)……………………………4
➀ 박정희 정부(1963~1979)의 이데올로기……………………4
➁ 박정희 정부 시대(1963~1979)의 민중가요 ……………………5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 …………………6
2) 전두환 정부 시대(1981~1987)
➀ 전두환 정부(1981~1987)의 이데올로기 ………………………7
➁ 전두환 정부 시대(1981~1987)의 민중가요……………………………8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8
3) 노태우 정부 시대(1988~1993)
➀ 노태우 정부(1988~1993)의 이데올로기 ……………………9
➁ 노태우 정부 시대(1988~1993)의 민중가요………………………11
➂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분석……………………………11
Ⅲ. 결 론 …………………………………………………13
본문내용
존재가 되었고, 민중가요가 대중가요권 안에서 일정한 자기위치를 잡는데 성공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폭력에 눌려 찢겨진 목숨 우리의 맹세 다시 새기며
사수하라 민주노조 동지여 함께 가자
아 아 동지여 피 끓는 외침 울려 퍼지고
복수다 이제는 끝장내리라 열사의 주검 안고 일어서리라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해방 투쟁 선봉이 되어
민주노조 깃발 움켜쥐고 가자! 동지여
‘사수하라’는 죽음까지도 무릅쓰고 행해야 하는 일임을 표현하고 있다. 그들이 행하는 일은 죽음까지도 감수할 수 있는 신성한 행위란 것임을 나타내 투쟁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지여’라는 표현은 또한 이를 들은 수신자는 발화자가 되고 그럼으로써 그들은 단합되어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함께 가자’라는 표현으로 직접적인 행동에의 촉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실의 부당함을 지켜만 보는 방관자가 되지 말고 함께 현실을 개선해 나가는 참여자가 되자는 것이다. ‘투쟁 이데올로기’로 사고를 조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일 이데올로기를 담은 가요들은 좌파 운동권에 속한 소수의 노래여서 민중가요라고까지 부를 수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가 지금 분석하는 민중가요적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조국통일 행진곡,1989>
통일의 웨침소리 하늘땅을 흔든다
겨레여 손을 잡고 장벽을 부시자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분렬의 이 아픔을 우리 어찌 참으랴
민족의 념원을 막아선자 누구냐
애국의 붉은 피는 이 땅을 적신다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미제와 주구놈들은 통일의 원쑤다
통일의 새 아침이 삼천리에 밝아올 때
형제여 얼싸안고 만세높이 부르자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민족의 피줄을 잇자 우리의 손으로
통일을 위해 통일을 위해
굳게 뭉치여 달려나가자
하나의 조선을 찾자 우리의 손으로
‘통일’을 염원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통일’ 또한 충격어로 꼭 ‘통일을 이루자!’라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통일’에는 이미 긍정적인 의미가 내포 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통일’이라는 외침만으로도 ‘통일을 이뤄내자’라는 의미까지 포함할 수 있다. ‘미제와 주구놈들은 통일의 원쑤다’라는 표현은 반미의 감정을 자극하고 좌파적 통일이든 우파적 통일이든 통일 지상주의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우파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우려할 만한 것이다. ‘통일’이 실현된 날을 ‘새 아침’이라고 표현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면 되겠다. 따라서 어찌 보면 ‘통일’이라는 한 마디로 ‘통일 이데올로기’를 조장하고 있다 할 수 있겠다. ‘겨레여’, ‘형제여’, ‘뭉치며’라는 말은 단합을 이끌어내는 구호이다. 또, ‘우리의 손으로’ 이뤄내자는 표현 또한 선동적인 표현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을 찾자’라는 표현이다. 우리는 조선의 역사를 이어온 민족이다. 그러므로 구지 조선을 찾을 필요가 없다. 그런데 여기서 ‘조선을 찾자’라는 표현이 쓰였다. 현 상태는 완전한 상태가 아니라는 뜻이다. 남과 북이 하나로 통합되어있었던 조선이야 말로 우리 민족에게는 완전한 상태임을 암시하고 있다.
Ⅲ. 결론
대중음악이 단순히 대중의 희노애락을 노래한다면 민중음악은 가사와 음률을 가지고 사람들이 어떤 목적에 동조하도록 하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고 불리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중음악은 시대마다 그 시대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것을 바른 방향으로 돌려보려는 몸부림의 일환이었다. 시대의 조류를 거스르는 일은 엄청난 대가와 희생을 요구한다. 따라서 민중음악을 만들고 부르며 시대를 앞서가던 선각자들은 많은 수난을 당하였다. 지금 우리가 민주시대를 누리고 사는 것도 온 몸으로 민주화 항쟁을 하였던 무명의 희생자들의 헌신 때문이다. 56년 만에 군사분계선을 넘어 화물열차가 달리게 된 것도 통일을 바라보며 노래하다가 옥고를 치른 분들의 피땀흘린 노력의 열매로 이루어진 것이다. 노동조건의 개선과 근로자의 인권 신장과 복지도 엄청난 대가를 치루고 얻은 값진 열매이다.
이런 열매를 얻는데 민중음악은 아주 귀한 역할을 하였다. 사람들의 생각과 의식을 일깨우고 바꾸어주었다. 우리가 걸어야할 바른 지향점을 제시해 주었고 그것을 향하여 뭉치게 하였고 대가를 지불하는 결단을 내릴 수 있게 하였다.
민중음악이 이런 순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잘못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할 때는 동일한 만큼의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민중음악은 시대의 문제를 바로 보고 바른 지향점을 발견하여 제시함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결집시키고 행동하게 하는 시대적 사명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목록
<북한에서 음악의 정치적 사용의 예> http://cafe.naver.com/ddhrai.cafe
<대선 후보자들의 로고송> http://blog.daum.net/iaart/639253
<서총련 노래단 ‘조국과 청춘’> http://blog.empas.com/u90120
<민중가요의 의미, 기원, 역사> http://cafe.naver.com/cocorea
<정권 별 민중가요> http://blog.naver.com/tristan
<아침이슬> http://blog.naver.com/wky321
<임을 위한 행진곡> http://kin.naver.com/open100/ http://blog.naver.com/mcd7878
<전진가> http://blog.naver.com/lim2309
<불나비> http://blog.naver.com/isky2002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http://blog.naver.com/keun778
<전태일 분신 사건, 민청학련사건, 광주민주화운동, 6월민주항쟁>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
<민중가요 흐름> http://board11.superboard.dreamwiz.com/board.cgi
<5.18 민주화 운동 >http://www.518.org/main.html
<통일 행진곡> http://hyatt88.spaces.live.com/Blog/cns
이 시대 민중가요 속의 이데올로기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폭력에 눌려 찢겨진 목숨 우리의 맹세 다시 새기며
사수하라 민주노조 동지여 함께 가자
아 아 동지여 피 끓는 외침 울려 퍼지고
복수다 이제는 끝장내리라 열사의 주검 안고 일어서리라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해방 투쟁 선봉이 되어
민주노조 깃발 움켜쥐고 가자! 동지여
‘사수하라’는 죽음까지도 무릅쓰고 행해야 하는 일임을 표현하고 있다. 그들이 행하는 일은 죽음까지도 감수할 수 있는 신성한 행위란 것임을 나타내 투쟁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지여’라는 표현은 또한 이를 들은 수신자는 발화자가 되고 그럼으로써 그들은 단합되어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함께 가자’라는 표현으로 직접적인 행동에의 촉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실의 부당함을 지켜만 보는 방관자가 되지 말고 함께 현실을 개선해 나가는 참여자가 되자는 것이다. ‘투쟁 이데올로기’로 사고를 조장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일 이데올로기를 담은 가요들은 좌파 운동권에 속한 소수의 노래여서 민중가요라고까지 부를 수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가 지금 분석하는 민중가요적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는 노래라고 할 수 있다.
<조국통일 행진곡,1989>
통일의 웨침소리 하늘땅을 흔든다
겨레여 손을 잡고 장벽을 부시자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분렬의 이 아픔을 우리 어찌 참으랴
민족의 념원을 막아선자 누구냐
애국의 붉은 피는 이 땅을 적신다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미제와 주구놈들은 통일의 원쑤다
통일의 새 아침이 삼천리에 밝아올 때
형제여 얼싸안고 만세높이 부르자
높이 울려라 높이 울려라
통일대행진 발구름소리
민족의 피줄을 잇자 우리의 손으로
통일을 위해 통일을 위해
굳게 뭉치여 달려나가자
하나의 조선을 찾자 우리의 손으로
‘통일’을 염원한 노래라고 할 수 있다. ‘통일’ 또한 충격어로 꼭 ‘통일을 이루자!’라는 표현을 하지 않아도, ‘통일’에는 이미 긍정적인 의미가 내포 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통일’이라는 외침만으로도 ‘통일을 이뤄내자’라는 의미까지 포함할 수 있다. ‘미제와 주구놈들은 통일의 원쑤다’라는 표현은 반미의 감정을 자극하고 좌파적 통일이든 우파적 통일이든 통일 지상주의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표현은 우파적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대단히 우려할 만한 것이다. ‘통일’이 실현된 날을 ‘새 아침’이라고 표현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하면 되겠다. 따라서 어찌 보면 ‘통일’이라는 한 마디로 ‘통일 이데올로기’를 조장하고 있다 할 수 있겠다. ‘겨레여’, ‘형제여’, ‘뭉치며’라는 말은 단합을 이끌어내는 구호이다. 또, ‘우리의 손으로’ 이뤄내자는 표현 또한 선동적인 표현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선을 찾자’라는 표현이다. 우리는 조선의 역사를 이어온 민족이다. 그러므로 구지 조선을 찾을 필요가 없다. 그런데 여기서 ‘조선을 찾자’라는 표현이 쓰였다. 현 상태는 완전한 상태가 아니라는 뜻이다. 남과 북이 하나로 통합되어있었던 조선이야 말로 우리 민족에게는 완전한 상태임을 암시하고 있다.
Ⅲ. 결론
대중음악이 단순히 대중의 희노애락을 노래한다면 민중음악은 가사와 음률을 가지고 사람들이 어떤 목적에 동조하도록 하는 의도를 가지고 만들고 불리워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중음악은 시대마다 그 시대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것을 바른 방향으로 돌려보려는 몸부림의 일환이었다. 시대의 조류를 거스르는 일은 엄청난 대가와 희생을 요구한다. 따라서 민중음악을 만들고 부르며 시대를 앞서가던 선각자들은 많은 수난을 당하였다. 지금 우리가 민주시대를 누리고 사는 것도 온 몸으로 민주화 항쟁을 하였던 무명의 희생자들의 헌신 때문이다. 56년 만에 군사분계선을 넘어 화물열차가 달리게 된 것도 통일을 바라보며 노래하다가 옥고를 치른 분들의 피땀흘린 노력의 열매로 이루어진 것이다. 노동조건의 개선과 근로자의 인권 신장과 복지도 엄청난 대가를 치루고 얻은 값진 열매이다.
이런 열매를 얻는데 민중음악은 아주 귀한 역할을 하였다. 사람들의 생각과 의식을 일깨우고 바꾸어주었다. 우리가 걸어야할 바른 지향점을 제시해 주었고 그것을 향하여 뭉치게 하였고 대가를 지불하는 결단을 내릴 수 있게 하였다.
민중음악이 이런 순기능을 하기도 하지만 잘못된 목표와 방향을 제시할 때는 동일한 만큼의 역기능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민중음악은 시대의 문제를 바로 보고 바른 지향점을 발견하여 제시함으로써 사람들의 마음을 결집시키고 행동하게 하는 시대적 사명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목록
<북한에서 음악의 정치적 사용의 예> http://cafe.naver.com/ddhrai.cafe
<대선 후보자들의 로고송> http://blog.daum.net/iaart/639253
<서총련 노래단 ‘조국과 청춘’> http://blog.empas.com/u90120
<민중가요의 의미, 기원, 역사> http://cafe.naver.com/cocorea
<정권 별 민중가요> http://blog.naver.com/tristan
<아침이슬> http://blog.naver.com/wky321
<임을 위한 행진곡> http://kin.naver.com/open100/ http://blog.naver.com/mcd7878
<전진가> http://blog.naver.com/lim2309
<불나비> http://blog.naver.com/isky2002
<다시 노동자로 태어나> http://blog.naver.com/keun778
<전태일 분신 사건, 민청학련사건, 광주민주화운동, 6월민주항쟁>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
<민중가요 흐름> http://board11.superboard.dreamwiz.com/board.cgi
<5.18 민주화 운동 >http://www.518.org/main.html
<통일 행진곡> http://hyatt88.spaces.live.com/Blog/cns
추천자료
발라드란
크리스챤의 유행가? - CCM
권력과 예술의 관계
만전춘에 대해서★
[시가작품론]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신채호 <용과 용의 대격전>의 작품분석과 지도법 연구
바람의노래 혁명의노래(라틴아메리카 문화기행) - 독후감상문
속요 연구, 대표작품 분석과 특징 연구
[대중문화][한국대중문화][문화][미디어][매스미디어][대중매체][한국문화][대중]대중문화의 ...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형성과정과 문제점 및 향후과제(A+리포트(
대중음악의 현실과 문제점
서경별곡 원문과 작품소개 문제적 상황에 대한 접근
한부와 악부시 그리고 오시십구수에 대해
‘청산별곡(靑山別曲)’ 연구 및 교육적 접근 방법 (고려속요의 갈래상 특징과 수용사적 특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