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과 신선대부두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신항과 신선대부두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부산신항만
- 사업개요
- 사업계획
- 개발방향
- 주요시설
- 장점

신선대부두(PCET)

부산신항만과 동일

본문내용

부산신항만과 신선대부두의 비교
- 부산신항만
■ 사업개요
위 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북안, 진해시 용원동 및 안골동,
웅동만, 제덕만 일원
사업기간 : 1995 ~ 2011 년(16년)
총사업비 : 9조 1,542 억원 (정부 4조 1,739억원, 민자 4조 9,803억원)
사업내용(컨테이너부두 30선석, 항만 및 배후부지 324만평)
구분
사업내용
정부시행분
방파제 1,490 m, 다목적부두 1선석 0.4 ㎞
투기장호안 20.8 ㎞, 컨테이너 부두 1.55㎞(5선석)
항로 준설 72백만 ㎥, 도로 및 철도 1식
민자시행분
컨테이너 부두 8.5km(25선석)
항만부지 1,07
1만㎡ (324만평)
- 부두용지 674만㎥ (204만평)
- 항만관련부지 397㎡ (120만평)
■ 사업계획
구분
전체
제1단계
제2단계

사업비(억원)
91,542
55,519
36,023
사업량(선석)
30
18
12
효과(만TEU)
804
443
361
정부
사업비(억원)
41,739
28,012
13,727
사업량(선석)
방파제1.49km
1,49km
-
투기장호안 20.8㎞
20.8 ㎞
-
준설 72백만 ㎥
54백만 ㎥
18백만 ㎥
안벽 1.55㎞ (5선석)
1.55 ㎞ (5선석)
-
어업보상 등 1식
1식
1식
민자
사업비 (억원)
49,803
27,507
22,296
사업량(선석)
8.5 ㎞ (25)
안벽 4.3㎞(13)
4.2 ㎞ (12)
■ 개발방향
ㆍ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 물류중심 항만의 개발
- 국제 컨테이너 주항로 상의 중심항 (Hub-Port) 위상 확보
- 동북아 경제권의 관문항으로서의 국제 환적항 기능제고
-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 물류
- 정보 거점공간 조성
- 부족한 항만시설의 확충을 통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21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