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산신항만
- 사업개요
- 사업계획
- 개발방향
- 주요시설
- 장점
신선대부두(PCET)
부산신항만과 동일
- 사업개요
- 사업계획
- 개발방향
- 주요시설
- 장점
신선대부두(PCET)
부산신항만과 동일
본문내용
부산신항만과 신선대부두의 비교
- 부산신항만
■ 사업개요
위 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북안, 진해시 용원동 및 안골동,
웅동만, 제덕만 일원
사업기간 : 1995 ~ 2011 년(16년)
총사업비 : 9조 1,542 억원 (정부 4조 1,739억원, 민자 4조 9,803억원)
사업내용(컨테이너부두 30선석, 항만 및 배후부지 324만평)
구분
사업내용
정부시행분
방파제 1,490 m, 다목적부두 1선석 0.4 ㎞
투기장호안 20.8 ㎞, 컨테이너 부두 1.55㎞(5선석)
항로 준설 72백만 ㎥, 도로 및 철도 1식
민자시행분
컨테이너 부두 8.5km(25선석)
항만부지 1,07
1만㎡ (324만평)
- 부두용지 674만㎥ (204만평)
- 항만관련부지 397㎡ (120만평)
■ 사업계획
구분
전체
제1단계
제2단계
계
사업비(억원)
91,542
55,519
36,023
사업량(선석)
30
18
12
효과(만TEU)
804
443
361
정부
사업비(억원)
41,739
28,012
13,727
사업량(선석)
방파제1.49km
1,49km
-
투기장호안 20.8㎞
20.8 ㎞
-
준설 72백만 ㎥
54백만 ㎥
18백만 ㎥
안벽 1.55㎞ (5선석)
1.55 ㎞ (5선석)
-
어업보상 등 1식
1식
1식
민자
사업비 (억원)
49,803
27,507
22,296
사업량(선석)
8.5 ㎞ (25)
안벽 4.3㎞(13)
4.2 ㎞ (12)
■ 개발방향
ㆍ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 물류중심 항만의 개발
- 국제 컨테이너 주항로 상의 중심항 (Hub-Port) 위상 확보
- 동북아 경제권의 관문항으로서의 국제 환적항 기능제고
-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 물류
- 정보 거점공간 조성
- 부족한 항만시설의 확충을 통
- 부산신항만
■ 사업개요
위 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 북안, 진해시 용원동 및 안골동,
웅동만, 제덕만 일원
사업기간 : 1995 ~ 2011 년(16년)
총사업비 : 9조 1,542 억원 (정부 4조 1,739억원, 민자 4조 9,803억원)
사업내용(컨테이너부두 30선석, 항만 및 배후부지 324만평)
구분
사업내용
정부시행분
방파제 1,490 m, 다목적부두 1선석 0.4 ㎞
투기장호안 20.8 ㎞, 컨테이너 부두 1.55㎞(5선석)
항로 준설 72백만 ㎥, 도로 및 철도 1식
민자시행분
컨테이너 부두 8.5km(25선석)
항만부지 1,07
1만㎡ (324만평)
- 부두용지 674만㎥ (204만평)
- 항만관련부지 397㎡ (120만평)
■ 사업계획
구분
전체
제1단계
제2단계
계
사업비(억원)
91,542
55,519
36,023
사업량(선석)
30
18
12
효과(만TEU)
804
443
361
정부
사업비(억원)
41,739
28,012
13,727
사업량(선석)
방파제1.49km
1,49km
-
투기장호안 20.8㎞
20.8 ㎞
-
준설 72백만 ㎥
54백만 ㎥
18백만 ㎥
안벽 1.55㎞ (5선석)
1.55 ㎞ (5선석)
-
어업보상 등 1식
1식
1식
민자
사업비 (억원)
49,803
27,507
22,296
사업량(선석)
8.5 ㎞ (25)
안벽 4.3㎞(13)
4.2 ㎞ (12)
■ 개발방향
ㆍ 21세기를 대비한 동북아 국제 물류중심 항만의 개발
- 국제 컨테이너 주항로 상의 중심항 (Hub-Port) 위상 확보
- 동북아 경제권의 관문항으로서의 국제 환적항 기능제고
- 부산항의 만성적인 화물적체 해소로 국가 경쟁력 제고
- 항만과 도시기능이 조화된 종합 물류
- 정보 거점공간 조성
- 부족한 항만시설의 확충을 통
추천자료
광양만권 개발의 현안문제와 개선방향
우리나라의 국제물류에대해
송도 개발이 인천에 미치는 영향
현재 부산항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인천항의 어제와 오늘(물류기능중심)
물류 허브 한반도 추진과 문제점
인천국제공항과 일본 하네다공항의 마케팅 비교
관세자유지역제도
물류기술 동향분석 및 전망
[서강대][종합물류론] 시험 예상문제 정리
[해역][교통안전특정해역][특별민감해역][PSSA][동남해역][서해해역]해역과 교통안전특정해역...
인천국제공항으로 본 인천지역의 경제
한중일 물류산업 현황 4Trend & 4Chance
국제운송의 과제와 대응방안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연결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