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동기이론
1. 본능이론
2. 추동감소이론
3. 성취욕구
4. 각성이론
5. 행동중의 동기이론
6. 인본주의 동기이론
7. 인지주의 동기이론
8. 자기효능감
9. 내적동기이론
2절. 정서이론
1. 정서란 무엇인가?
2. 정서이론
3. 정서의 표현
1. 본능이론
2. 추동감소이론
3. 성취욕구
4. 각성이론
5. 행동중의 동기이론
6. 인본주의 동기이론
7. 인지주의 동기이론
8. 자기효능감
9. 내적동기이론
2절. 정서이론
1. 정서란 무엇인가?
2. 정서이론
3. 정서의 표현
본문내용
하면 인간마음의 대부분을 이해한 것이라고 함.
1) 인지; 세상을 ‘표상’하는 기제 ex) ‘커피란 ~인 음료’라는 정의를 이해하는 것.
동기; 세상을 ‘작동’하는 기제 ex) 아침에 눈을 뜨면 커피를 찾는다.
정서; 세상과 ‘관계’하는 기제 ex) 커피를 좋아 한다 혹은 싫어한다는 관계를 설정.
정서(좋다/싫다)는 동기(선호/회피)를 결정하기도 하고 대상에 대한 인지(긍정/부정) 에도 영향을 미친다.
(표상; 지각(知覺)에 의하여 의식에 나타나는 외계 대상의 상(像),직관적인 것으로 개념이나 이념과 다르다.)
2) 정서(emotion)는 생존과 직결된 기제
-정서의 어원; 움직이다 + 물러나다 = ‘도망가다’의 의미 - 적을 피해 달아나다!
-두뇌발전의 역사; 사고를 담당하는 기관인 신피질 이전에 정서를 관장하는 대뇌변연계가
발달함. (p.336 그림9-6)
즉, 생존과 직결된 기제이며 행동으로 연결하는 동기적 속성을 지님.
2. 정서의 이론
1) 제임스-랑게 이론과 캐논-바드 이론
제임스-랑게의 정서이론
-제임스; 우리의 정서체험은 신체적 변화가 먼저 오며, 이러한 변화를 지각하여 특정한 정서를 느낀다. 즉, 울기 때문에 슬프고 도망가기 때문에 무섭다.
외부자극정서신체변화
-랑게; 외부자극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흥분을 비롯한 신체변화는 상이한 정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상이한 흥분패턴의 지각이 상이한 정서의 체험을 가져온다.
캐논이 서로 상이한 두 가지 정서가 동일한 생리적 변화와 연결됨을 근거로 반박함.
ex) 공포와 분노는 교감신경의 흥분이라는 유사한 신체변화를 일으켜서 구분불가능.
*캐논이 제시한 구체적 근거*
1.신체의 내부기관에는 신경이 잘 퍼져있지 않아서 정서를 불러오기엔 너무 느리다.
2.약물로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유도하여도 해당하는 정서를 느끼지는 못한다.
3.자율신경계의 흥분패턴이 상이한 두 정서간에 뚜렷한 차이점이 없다.
캐논-바드이론
-외부자극에 의한 뇌에 있는 시상(thalamus)의 흥분이 정서체험과 신체변화를 동시에 유발
ex) 운전을 하다가 끼어드는 버스를 피해 핸들을 꺾는 경우, 생리적 각성과 빠른 운전행동으로 위기를 모면한 뒤에 공포감을 느낀다.
<제임스-랑게이론> <캐논-바드이론> <인지평가이론>
2)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개인은 자신의 생리적각성에 대해 주변상황에서 이유를 찾음으로써 자신을 이해한다.
* 흥분제 투여 실험 - 약의 효능을 알린 집단은 자신의 상태를 약물에 돌리지만, 약물에 대해 모르는 집단은 자신의 알 수 없는 신체적 변화를 주위의 상황으로 해석한다.
즐거운 협조자
화난 협조자
약의 효능을 알린 집단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약의 효능을 알리지 않은 집단
즐겁다고 응답
화가 난다고 응답
-쥬크박스 이론; 동전을 넣는 것= 생리적 각성, 음악을 고르는 것=인지적 평가
즉, 생리적 각성상태가 유발되면 수많은 곡(정서) 중에 상황에 맞는 한 가지가 선택됨.
3) 정서 우선성 가설(재이언스.Zajonc)
-정서가 인지에 종속되었다는 인지평가이론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비판; 인류의 진화역사에서 사고는 정서보다 덜 중요했으며, 사고와 정서는 뇌의 다른 부위에서 진행되므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두 체계라는 주장.
-자각이 전혀 없어도 자극의 정서가 처리될 수 있다.
ex) 단순노출효과;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특정 자극에 자주 노출되면 그 자극에 호감을
형성 한다.
한자의 선호도 평가; 자각할 수 없는 상태로 정서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도 그로 인한
정서가가 후속적인 판단관제에 영향을 미친다.
(웃는 얼굴긍정적 판단, 찡그린 얼굴부정적 판단)
3. 정서의 표현
1) 정서의 종류;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로 나뉜다.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보다 분명하게 표현된다. because 부정적 정서는 진화적 관점에서 생존가치와 더 밀접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에크만의 6가지 정서; 분노, 혐오, 공포, 행복, 슬픔, 놀라움
-각 문화마다 정서표현에 대해 합의점이 가장 높은 것은 행복감.
-문화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정서들은 상당히 일치함을 알 수 있다.
2) 정서표현의 문화적 차이
-정서적 표현의 보편성에 대한 증거; 에크만과 프리젠의 실험고립된 지역의 원주민들에
게 정서상황을 설명해주고 상이한 두 가지 표정을 제시하면 대부분이 해당정서의 표정을
선택함.
-그러나 정서표현의 양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
ex) 남자보다 여자들의 정서표현이 풍부하다.
1) 인지; 세상을 ‘표상’하는 기제 ex) ‘커피란 ~인 음료’라는 정의를 이해하는 것.
동기; 세상을 ‘작동’하는 기제 ex) 아침에 눈을 뜨면 커피를 찾는다.
정서; 세상과 ‘관계’하는 기제 ex) 커피를 좋아 한다 혹은 싫어한다는 관계를 설정.
정서(좋다/싫다)는 동기(선호/회피)를 결정하기도 하고 대상에 대한 인지(긍정/부정) 에도 영향을 미친다.
(표상; 지각(知覺)에 의하여 의식에 나타나는 외계 대상의 상(像),직관적인 것으로 개념이나 이념과 다르다.)
2) 정서(emotion)는 생존과 직결된 기제
-정서의 어원; 움직이다 + 물러나다 = ‘도망가다’의 의미 - 적을 피해 달아나다!
-두뇌발전의 역사; 사고를 담당하는 기관인 신피질 이전에 정서를 관장하는 대뇌변연계가
발달함. (p.336 그림9-6)
즉, 생존과 직결된 기제이며 행동으로 연결하는 동기적 속성을 지님.
2. 정서의 이론
1) 제임스-랑게 이론과 캐논-바드 이론
제임스-랑게의 정서이론
-제임스; 우리의 정서체험은 신체적 변화가 먼저 오며, 이러한 변화를 지각하여 특정한 정서를 느낀다. 즉, 울기 때문에 슬프고 도망가기 때문에 무섭다.
외부자극정서신체변화
-랑게; 외부자극에 의한 자율신경계의 흥분을 비롯한 신체변화는 상이한 정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상이한 흥분패턴의 지각이 상이한 정서의 체험을 가져온다.
캐논이 서로 상이한 두 가지 정서가 동일한 생리적 변화와 연결됨을 근거로 반박함.
ex) 공포와 분노는 교감신경의 흥분이라는 유사한 신체변화를 일으켜서 구분불가능.
*캐논이 제시한 구체적 근거*
1.신체의 내부기관에는 신경이 잘 퍼져있지 않아서 정서를 불러오기엔 너무 느리다.
2.약물로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유도하여도 해당하는 정서를 느끼지는 못한다.
3.자율신경계의 흥분패턴이 상이한 두 정서간에 뚜렷한 차이점이 없다.
캐논-바드이론
-외부자극에 의한 뇌에 있는 시상(thalamus)의 흥분이 정서체험과 신체변화를 동시에 유발
ex) 운전을 하다가 끼어드는 버스를 피해 핸들을 꺾는 경우, 생리적 각성과 빠른 운전행동으로 위기를 모면한 뒤에 공포감을 느낀다.
<제임스-랑게이론> <캐논-바드이론> <인지평가이론>
2) 인지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개인은 자신의 생리적각성에 대해 주변상황에서 이유를 찾음으로써 자신을 이해한다.
* 흥분제 투여 실험 - 약의 효능을 알린 집단은 자신의 상태를 약물에 돌리지만, 약물에 대해 모르는 집단은 자신의 알 수 없는 신체적 변화를 주위의 상황으로 해석한다.
즐거운 협조자
화난 협조자
약의 효능을 알린 집단
변화 없음
변화 없음
약의 효능을 알리지 않은 집단
즐겁다고 응답
화가 난다고 응답
-쥬크박스 이론; 동전을 넣는 것= 생리적 각성, 음악을 고르는 것=인지적 평가
즉, 생리적 각성상태가 유발되면 수많은 곡(정서) 중에 상황에 맞는 한 가지가 선택됨.
3) 정서 우선성 가설(재이언스.Zajonc)
-정서가 인지에 종속되었다는 인지평가이론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비판; 인류의 진화역사에서 사고는 정서보다 덜 중요했으며, 사고와 정서는 뇌의 다른 부위에서 진행되므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두 체계라는 주장.
-자각이 전혀 없어도 자극의 정서가 처리될 수 있다.
ex) 단순노출효과;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특정 자극에 자주 노출되면 그 자극에 호감을
형성 한다.
한자의 선호도 평가; 자각할 수 없는 상태로 정서자극이 주어지는 경우에도 그로 인한
정서가가 후속적인 판단관제에 영향을 미친다.
(웃는 얼굴긍정적 판단, 찡그린 얼굴부정적 판단)
3. 정서의 표현
1) 정서의 종류;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로 나뉜다.
-부정적 정서는 긍정적 정서보다 분명하게 표현된다. because 부정적 정서는 진화적 관점에서 생존가치와 더 밀접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에크만의 6가지 정서; 분노, 혐오, 공포, 행복, 슬픔, 놀라움
-각 문화마다 정서표현에 대해 합의점이 가장 높은 것은 행복감.
-문화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정서들은 상당히 일치함을 알 수 있다.
2) 정서표현의 문화적 차이
-정서적 표현의 보편성에 대한 증거; 에크만과 프리젠의 실험고립된 지역의 원주민들에
게 정서상황을 설명해주고 상이한 두 가지 표정을 제시하면 대부분이 해당정서의 표정을
선택함.
-그러나 정서표현의 양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가 있음.
ex) 남자보다 여자들의 정서표현이 풍부하다.
추천자료
아동발달심리
아동심리 발달
[아동심리] 자아방어기제의설명과 예시
아동심리평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발달심리--탄생
아동발달심리--신체적 발달
아동발달심리--최초의발달
전래동화(전승동화) 의미, 전래동화(전승동화) 중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지도, 전래동화(...
전래동화(전승동화) 필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세계관, 전래동화(전승동화) 기능, 전래동화...
[아동심리상담] 해결중심단기치료.pptx
[아동심리] 광범위성발달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 DDR) - 정신지체(Mental R...
[아동심리상담] 광범위성 발달장애 2 -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 학습부진, 언어...
아동심리兒童心理-생리,건강관련된 문제
[독후감] 딥스 : 아동심리 치료의 영원한 고전 (서평,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