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약학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방약학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 보건위생
3. 영양과 건강
4. 식품 위생 ★
5. 화학물질과 독성 ★
6. 물리적 환경 인자와 건강
7. 환경 오염과 건강 ★
8. 유해 화학 물질의 평가와 규제
9. 산업위생관리

본문내용

접적, 만성적, 개선(또는 복원)의 어려움3) 먹이사슬을 통하여 국민보건상 피해 야기4) 인체 노출 경로 - 직접적인 흡입
우리나라 토양오염물질의 기준항목1) 토양오염항목 - 중금속 8종 (Zn, Ni, Cd, Cu, As, Hg, Pb, Cr+6), 유류(동, 식물성 제외), 유기인화합물, TCE, PCE, PCB, 페놀류, 시안화합물, 불소화합물 등 16개 항목2) 토양오염우려기준은 대책기준의 약 40% 정도3) 현재의 토양환경보전법의 기준은 외국의 기준을 근거4) 기준항목의 물질은 토양 중에서 분해되지 않고 오랫동안 잔류하는 물질
7.5 폐기물
분뇨처리법1) 혐기성 세균에 의한 혐기성 처리와 활성오니를 조합한 처리법2) 활성오니를 중심으로 한 호기적 처리3) 약제첨가에 의한 화학적 처리법4) 고온하에서 분해시키는 습식 산화법
무기계 폐액처리 방법1) 시안 함유 폐액 - 차아염소산 나트륨 산화법, 통기증류법(페리시안화칼륨 등 분해 어려운 착색계 폐액에 적용)2) 6가 Cr함유 폐액 - 환원중화법3) 인산화합물 함유 폐액 - 석회화법4) 불소계 폐액 - 석회화법5) 수은 함유 폐액 - 황화 침전법, 수은 전용 chelate 수지 흡착법6) 비소 함유 폐액 - 철(III)공침법
가와 규제
8.1 화학물질의 안8장. 유해화학물질의 평전성
Paracelsus - 모든 물질은 유독하며, 유독하지 않은 물질은 없다. 독이냐 약이냐를 구분하는 것은 그 양에 있다.
용량-반응 관계
- 어떤 장해가 어떤 물질에 기인하고 있느냐 확인
or 그 물질의 안전역을 결정 (약물 치료계수가 같아도 안전역 다를 수 있다.)
- 방법 : 동물실험 - 보편적이고 정밀하게 구할 수 있으나 사람에게 적용시 여러 문제있음.
노동환경과 일반환경의 노출 조건에 대한 비교
노동환경
일반환경
대상
한정되어 있다(주로 건강한 성인)
한정되어 있지 않다
물질의 질
판명되어 있다
판명되어 있지 않다
물질의 양
비교적 고농도
비교적 저농도
시간
작업시간내
무한, 전생애
관리
있음
없음
혜택
직업, 생산
없음
8.2 유해화학물질의 관리
급성 경구 독성
LD50 200mg/kg 이하
급성 경피 독성
LD50 1000mg/kg 이하
급성 흡입 독성
4hr-LC50 : 2500 ppm 이하. 2.0mg/L 이하(분진 or 미립자)
급성 어독성
96hr-LC50 1.0mg/L 이하(기체 or 증기)
화학물질의 분류 및 관리
유독물
관찰물질 ; 단기간 내에 유독물로 지정여부 판단 할 수 없는 물질 -제조 수입량등 환경청에 보고
(난분해성 물질, 돌연변이 및 염색체 이상 물질 등)
취급제한 유독물 지정 제도 ; 유해성 매우 큰 화학 물질에 대한 안전관리 효율성 확보 위해
일부 용도에 한하여 제조 수입 사용 허용하는 제도
안전성(유해성) 확인시험
Risk(위해, 위해도) : 유해성에 대한 불확실성(uncertainty), 원하지 않는 결과가 일어날 개연성
(probability), 가능성(possibility)이나 기회(chance)가 포함된 개념
유해성을 확인하여 용량과 반응 결과 도출된 최대 무작용량을 환경기준설정에 응용
Risk Assessment -> Risk Management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① 유해특성 명확히 하고 ② 용량과 작용 또는 반응관계 구하고 ③ 사람 또는 환경에의 노출량 명확히 함 ④ 위험도 나타냄
위해성 관리 Risk Management
① 위해성 위험을 허용 수준 이하로 하기 위한 수단 고려, 선택
② 선택에 필요한 비용cost과 편익benefit 함께 고려
1. 복귀돌연변이 시험(Ames Test) - in vitro시험
1) Salmonella typhimurium균의 성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histidine 생합성 대사 경로에 결함을
지닌 돌연변이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 물질에 의한 역돌연변이 정도를 측정
2) 사용균주
① frame shift mutation 확인 : TA1538
② point mutation 확인 : TA100, TA1535
3) 생체 내 대사를 거친 후 변이원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S-9 분획을 첨가한 경우와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돌연변이 발생률을 비교하여 시험.
- S-9 분획 첨가한 경우만 복귀 돌연변이 나타날 경우 유전 독성은 대사활성 물질에 의한 것이다.
- styrene은 S-9 분획 없으면 ames test 음성
2. 염색체 이상 시험(Chromosome Aberration Test : CAT) - in vitro시험
1) 염색체 손상을 현미경으로 판정할 수 있는 직접적 평가 방법
2) 분열주기 짧고 염색체수 작으며 염색체 크기 큰 세포 사용 -> Chinese Hamnster Cell
3) 5-bromo-2-deoxyuridine 첨가
4) 형광 염색
3. 소핵시험 (micronucleus Test) - in vivo 시험
포유동물에서는 적혈구 형성 시 적혈구 발달 마지막 단계에서 핵이 사라지는데 그 이전 과정에서 화학물질의 영향으로 염색체를 손상시키면 적혈구의 소핵이 출현하게 됨.
4. Rec assay : 고초균의 DNA 수복의 결손주.
5. 세포변환 시험 : 악성변형 직접 측정. 형성된 multilayer 측정
9장. 산업위생 관리
의약품 관련 관리 기준
GLP
Good Laboratory practice
의약품 안정성 시험 관리 기준
GCP
Good Clinical practice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
GMP
Good Manufactuing practice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GSP
Good Suppling practice
우수 의약품 유통관리기준
GMO(유전자 재조합 식품) -생산량 증대 또는 유통, 가공 상의 편의를 위해 유전 공학 기술을 이용 기존의 번식방법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형질이나 유전자를 이용하도록 개발된 생물체
단회투여독성시험 결과 포함 항목-개략의 치사량, 시험기간 중 3회 이상의 체중기록, 관찰기간 종료 후 육안 적 해부 소견, 일반증상의 매일 관찰 기록, 육안 적 이상소견이 관찰된 장기 조직에 대하여 필요시 병리학적 검사
-the end-
^;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