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작업거리(working distance)란 대물렌즈와 커버글라스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저배율의 대물렌즈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커버글라스까지의 작업거리가 길다. 반면, 고배율의 대물렌즈는 길이가 길어서 작업거리가 짧다. 따라서 저배율보다 고배율일 때 작업거리는 더 짧다.
3) 고배율로 보았을 때와 저배율로 보았을 때의 시야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고배율로 보았을 때와 저배율로 보았을 때 둘 다 실제 글자를 볼 때보다 시야는 더 좁아졌지만, 고배율이 상을 더 많이 확대시켜서 대안렌즈를 통해 보이는 부분이 더 좁아진다. 따라서 고배율일 때가 저배율일 때보다 시야가 더 좁다.
7. Discussion
표본작동장치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왼쪽으로,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표본작동장치를 위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아래쪽으로,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위쪽으로 움직였다.
대물렌즈의 배율을 크게 했을 때 상의 크기는 더 확대되었고, 시야는 좁아졌으며, 약간 어두워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쇄된 글자를 구성하는 점들이 더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였다.
8. Further study
9. Reference
www.microscope.wo.to
작업거리(working distance)란 대물렌즈와 커버글라스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저배율의 대물렌즈는 길이가 짧기 때문에 커버글라스까지의 작업거리가 길다. 반면, 고배율의 대물렌즈는 길이가 길어서 작업거리가 짧다. 따라서 저배율보다 고배율일 때 작업거리는 더 짧다.
3) 고배율로 보았을 때와 저배율로 보았을 때의 시야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고배율로 보았을 때와 저배율로 보았을 때 둘 다 실제 글자를 볼 때보다 시야는 더 좁아졌지만, 고배율이 상을 더 많이 확대시켜서 대안렌즈를 통해 보이는 부분이 더 좁아진다. 따라서 고배율일 때가 저배율일 때보다 시야가 더 좁다.
7. Discussion
표본작동장치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왼쪽으로,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표본작동장치를 위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아래쪽으로,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상은 위쪽으로 움직였다.
대물렌즈의 배율을 크게 했을 때 상의 크기는 더 확대되었고, 시야는 좁아졌으며, 약간 어두워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쇄된 글자를 구성하는 점들이 더 뚜렷하고 선명하게 보였다.
8. Further study
9. Reference
www.microscope.wo.to
추천자료
일반화학 실험 - 화학반응속도
일반화학 실험 - 에멀젼 이야기(예비, 결과) 리포트
[일반화학실험] 산화-환원 적정 : 과망간산법
[일반물리학실험Ⅰ] 11장. 단조화운동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17장. 전자측정연습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1장. 보일의 법칙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4장. 직류회로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5장. 교류회로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5장. 교류회로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31장. 음파의 성질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34장. 이중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예비레포트)
[일반화학실험] 탄산염의 분석
[일반생물실험보고서] 동식물 세포 관찰
[일반화학실험] 유리기구의 불확실성 :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사용하는 기구(피펫, 뷰렛,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