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장 교육선발과 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그이 통제이다. 지식뿐만 아니라 규범과 가치관을 통제함으로써 사회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시험의 “기존사회질서의 정당화와 재생산” 및 “문화의 형성과 변화” 기능은 그 기제가 단순하지 않다. 아마도 그람시의 헤게모니 및 반헤게모니에 관한 이론이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학입학시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4지 택1형 시험방법이 사회질서 및 문화와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4지 택1식 평가의 기본적 특징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어느 하나만이 정답이고, 나머지는 모두 오답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관점을 달리하면 다른 것이 정답이 될 수도 있겠지만, 시험사태에서는 출제자에 의하여 규정된 조건 하에서만 정답을 골라야 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출제자가 규정한 조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조건 내에서만 답을 골라야 한다. 자유로운 주체적 관점을 발전시키는 것은 시험 준비에 가장 해로운 길이기 조차 하다. 항상 주어진 문제의 전제 조건 내에서만 폐쇄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을 끊임없이 쌓아야 한다. 때때로 어느 특정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만 허용되고 다른 관점으로 해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학교가, 때로는 정권이, 또는 체제가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관점에 일치하는 것만이 정답으로 인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4지 택1식 평가가 지배하는 교육은 자유롭게 개방적으로 사고하는 주체적 인간을 길러내지 못한다. 우리 사회의 지적 풍토를 황폐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바로 4지 택1식 입학시험방법이 양성해내는 정신적 폐쇄성이다. 폐쇄성은 지식에서 뿐만 아니라 규범적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를 조성한다. 규범이야말로 다양한 가치와 사상과 이념을 개방적으로 논의하고 합리적 집단사고를 거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면화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면 4지 택1식이 아니고 주관식 논술시험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가? 주관식 시험은 시험관의 주관에 의한 평가가 아니라 수험생의 주관에 따라 답안을 작성하는 시험이다. 이러한 시험문제가 요구하는 지적활동은 4지 택1식이 요구하는 지적활동과는 전혀 다르다. 그리고 이렇게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존중하는 사회의 정치체제와 문화풍토는 자유롭고 민주적일 수밖에 없다. 시험은 교육결과를 확인하는 작업이 결코 아니다. 시험은 그 자체가 교육이다. 시험과 평가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연구의 시각을 크게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