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국어 서브노트(2007)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정국어 서브노트(2007)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부 바른 언어 생활

제2부 다양한 언어 생활

제3부 문학과 삶

본문내용

막음, 말은 민 족적 세계상을 반영, ‘체’로서의 기능 회복
10.하자(瑕疵)→결점잘못, 최고(催告)→재촉하는 뜻을 알림, 임차 인(賃借人)→빌려 쓰는 사람 / 임대인(賃貸人)→빌려 주는 사람, 매수인(買受人)→사는 사람 / 매도인(賣渡人)→파는 사람
11. 승역지(承役地)→편익 제공 토지 / 요역지(要役地)→편익 향유 토 지, 쟁송(爭訟)→소송 / 계속(繫屬)→심판 중, 내지(乃至)→3명 내지 5명→3명에서 5명산 내지 들→산 또는 들, 및→과, 부흥(復興)
12. 괘도(掛圖)→거는 도표괘념(掛念)치 마라, 생방송(生放送)→현장 방 송, 소개(疏開)→벌림분산, 시방서(示方書)→ 설명서세부지침서, 시 말서(始末書)→경위서전말서, 시사(示唆)하다→비치다, 여입(戾入)하 다→도로 넣다, 연면적(延面積)→전체면적합친 면적, 일람표(一覽 表)→명세표목록, 일부인(日附印)→날짜 도장, 장리(掌理)한다→맡 아 처리한다, 적의(適宜) 처리하여→적절하게 처리하여, 적출자→감 사자, 전향적(前向的)→진취적, 준설(浚渫)하고→파내고, 준용하천 (準用河川)→지방 관리 하천, 증빙서류(證憑書類)→증거서류, 천정 (天井)→천장, 촌지(寸志)→작은 뜻, 추심(推尋)하다→챙기다, 취로 사업(就勞事業)→생계 지원 사업, 턴키계약(turn-KEY契約)→설계시 공 일괄계약, 포전거래(圃田去來)→밭떼기로 사다, 품신(稟申)/품의 (稟議)하다→(결재를) 올리다, 품의서(稟議書)→기안문계획서, 하마 평(下馬評)→물망, 횡령(橫領)하다→가로채다, 양체(兩替)→환전
13. 워크 아웃→기업 개선 작업, 박차를 가했다→온 힘을 기울였다
14. 북한의 말과 글: ① ‘어휘’에서 가장 많은 차이 - ㉠ 의미가 다른 경우는 아가씨(봉건 사상의 부정적 의미), 빨치산(혁명적 영웅), 궁 전(크고 훌륭한 건물), 예술(예술+기술과 수련), 소행(칭찬할만한 행동) ㉡ 같은 의미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는 끌끌하다(깨끗 하다), 남새(채소), 유보도(산책길) ② 가두녀성→가정주부, 냄내다 →배웅하다, 얼럭밥→잡곡, 벌방→평야 지방, 일본새→본때, 결찌→ 먼 친척, 붉필코→필연코, 올방자→책상다리, 입쓰리→입덧, 몰몰→ 모락모락, 피끼(피게)→딸꾹질, 바재이는→우물쭈물하는
15. 한글 : ① 표음문자(表音文字)로서, 단음문자(單音文字, 일명 음소 문자) ② 훈민정음 → 정음 → 언문 → 국문 → 한글(주시경이 最 初) ③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最初로 자모의 명칭을 규정, ‘기 역, 디귿, 시옷은 이응법칙의 예외’ ‘’을 ‘異凝’이라 하고 ‘ㅇ’ 을 ‘尹’, ‘’은 ‘而’라 명명
2절 음운론
1. 비분절 음운 : ① 의미분화 기능이 있음 ② 현대 국어에서는 소리의 장단(길이)만 음운으로 인정
2. ㅅ, ㅎ, ㅆ : 마찰음, 예사소리-된소리의 2중체계
3. 초성의 ‘ㅇ’은 음운이 아니며, ‘워’는 한 개의 음운
4. 소리의 길이 : ① 첫음절에서만 긴소리 눈ː보라 / 첫눈 ② 밟다 [밥ː따] / 밟으며[발브며] ③ 합성어의 경우는 둘째 음절 이하에도 긴소리 인정 반신반의[반ː신 바ː늬(바ː니)] ④ 축약은 긴소리 로 발음 보아→봐[봐ː]
5. 눈ː[雪], 발ː[簾], 솔ː[옷솔], 줄ː(연장), 밤ː[栗], 말ː[言], 굴 ː(동굴), 벌ː[蜂], 돌ː[石], 손ː[孫], 배ː[倍], 병ː[病], 가ː 정 [假定], 무ː력[武力], 묻ː다[問], 모ː자[母子], 부ː자[富者], 성ː 인[聖人], 감ː상(感想, 感傷) / 감상(鑑賞), 난ː민(亂民), 군ː 민(郡民), 새ː집(새장), 방ː화(放火) / 방화(防火), 감ː사(感謝), 화 ː재(火災), 차ː관 회의(借款會議), 사ː과(謝過), 정ː상 회담(正常 會談)
6. 음절의 파생 구조에 자음+모음+자음+자음은 없음 닭
7. 국어의 끝소리에 오는 자음 :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8. 안울림소리 → 울림소리 : 감기
9. 모음 동화 : 현대 국어에 非적용법칙, 역행동화의 일종
예외 - 냄비, 동댕이치다, 댕기다
10. 유음화 : 자음동화, 물난리[물랄리], 줄넘기[줄럼끼]
11. 구개음화 : 근대 국어에서 본격화, 끝을[끄틀]
12. 모음조화의 예외 : 깡충깡충, 오순도순, 오뚝이
13. 원순 모음화 : 블>불, 프른프른>푸른 풀은
14. 전설 모음화 : 이즈러지다>이지러지다, 나즈막하다>나지막하다
15. 자음의 축약 : 끊고[끈코], 끊기다[끈키다]
모음의 축약 : 쓰이어 → 쓰여, 씌어
16. ‘ㄹ’ 탈락 : 가을내 → 가으내, 길다랗다 → 기다랗다, 열남은 → 여 남은
17. 사잇소리 현상 : 밤길[밤낄], 예외 - 고래기름, 기와집, 은돈, 콩밥, 말방울, 방법(方法), 고가(高架), 간단(簡單), 등기(登記), 불법(不法)
18. 된소리되기(경음화) : 떫지[떨ː찌]
‘신기다’와 ‘감기다’는 사동피동 접미사로 경음화(X)
19. 활음조 : 희노(喜怒) → 희로 / 마냥, 지이산(智異山)>지리산
20. 호전 작용 : 반짇고리, 삼짇날, 잗주름, 잗다듬다, 잗다랗다
21. 부정 회귀 : 구개음화의 역작용, 질쌈>길쌈
22. 두음 법칙 : ① ‘ㄹ’ 제약 - 老人(노인), 樂園(낙원)
② ‘ㄴ’ 제약 - 料理(요리), 留學(유학), 歷史(역사)
23. 민간 어원설 : 음운의 유사성을 바탕
과학적 어원 연구 : ‘시내’는 ‘실+내’의 합성어로 ‘실’은 골짜기[谷] 를 ‘내’는 냇물[川]을 뜻한다는 견해, ‘하루’를 ‘한(一) + 일(日)’의 합성어로 보는 견해
<표준 발음법>
24. 모음 : 강의의[강ː의의/강ː이에], 문의[무늬/무니], 민주주의의 의의[민주주이에 의이]
25. 받침 : ① 읊-지[읍찌], 밝고[발꼬], 밝게[발께], 늙거나[늘꺼나], 얽거나[얼꺼나] ② ‘밟-’의 경우만은 [밥]으로 발음 ③ 흙- 에서[흘게서], 닭-이[달기], 여덟을[여덜블], 수탉-이[수탈 기], 통닭-이[통달기], 늪앞[느밥], 밭아래[바다래], 꽃위 [꼬뒤]
26. 구개음화 : 곧이듣다[고지듣따]
27. 자음 동화 : 몫몫이[몽목씨], 옷맵시[온맵씨], 앞마당[암마당], 읊 는[음는], 협력[혐녁], 광한루[광할루], 선릉[설릉], 공권력[공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4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