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농구란 어떤 경기인가?
2. 실내 단체 경기로 시작된 농구
3.농구경기의 도입
4.농구경기의 특성
5.경기시설 및 용구
6.농구경기의 기초기술
7.농구의 여러 가지 수비 방법
9.프로농구의 경기규칙 및 방법
10.프로농구 포지션별 특성
참고문헌
2. 실내 단체 경기로 시작된 농구
3.농구경기의 도입
4.농구경기의 특성
5.경기시설 및 용구
6.농구경기의 기초기술
7.농구의 여러 가지 수비 방법
9.프로농구의 경기규칙 및 방법
10.프로농구 포지션별 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디펜스로써 프레스, 멘투맨, 존 디펜스 혹은 그러한 콤비네이션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할 때에는 틀림없이 지도자의 경험과 선수의 자질이 그것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지도자의 대다수가 디펜스의 기본은 맨투맨 디펜스라고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맨투맨 중에서도 특별히 프레스가 좋다고 하는 지도자도 많이 있을 것이 틀림없다. 프레스 디펜스를 중심으로 하고 게임에 임하면 우선 상대팀과 자기팀에 득점이 많은 게임을 하게 된다.
존을 디펜스의 중심으로 하여 사용하면 상대의 공격 스피드를 봉쇄하여 득점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존을 사용하는 팀의 속공을 내보내기가 쉽기 때문에 득점을 비교적 많이 올릴 수 있는 유리한 점을 생각할 수가 있다.
디펜스의 기본으로써 무엇을 사용할 것인가, 또한 디펜스를 강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연구를 가하면은 좋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지도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지도자는 공격에 대한 것보다도 디펜스의 선택이나 그 연습에 더욱 많은 시간을 배당하여 전념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의 제 1선 선수들은 ‘최선의 디펜스는 최선의 오펜스이다.’라고 하는 옛날부터의 바스켓볼의 격언에 꼭 들어맞을 정도로 뛰어난 수비들만 모여있다. 그러나 오펜스와 디펜스의 사이에는 항상 어떠한 밸런스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오펜스의 발달이 게임의 흥미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인식하지만 한편 지금까지와는 다른 강력한 디펜스를 고안해 내야 된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최근 선수의 슛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오펜스의 기술이 디펜스의 기술을 크게 능가하게 되어 득점이 많은 게임을 선수나 팬들도 방어적인 게임보다 매력이 있기 때문에 많은 선수나 지도자들은 오펜스의 기술에 열중하여 디펜스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게 되었다.
지도자나 선수들이 게임을 평하기를 ‘오늘 우리팀의 슛은 부진하였다’라고 자주 말하고 있으나 그것은 오히려 상대의 디펜스가 상당히 강하였다고 평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②디펜스의 기본자세
수비의 자세에서 중요한 것은 무릎을 구부리고 머리를 들어 공격자를 쳐다보는 것이다. 팔은 약간 구부려 즉시 행동할 수비를 하고, 발은 전후로 어깨 넓이보다 약간 더 벌리고 어떤 방향으로 든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몸의 무게 중심은 발의 앞부분에 놓는다.
공격자와의 거리는 손을 뻗쳐 볼에 닿을 수 있는 거리이어야 한다. 이때 손바닥은 위로 들어 볼을 아래에서 위로 칠 듯이 공격적으로 위협한다. 공격자가 슛을 시도하려 할 경우에는 한 손을 볼 위로 들어 슛의 방향을 방해한다. 이때 오른손잡이 슛터인 경우에는 왼손을 위로 들어 수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비의 위치는 볼을 가진 선수를 수비 할 경우와 볼을 가지지 않은 선수를 수비 할 경우 또는 볼의 움직임이나 바스켓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수비자와 공격자간의 거리는 패스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공격자가 한번에 패스를 받을 수 있는 거리에는 좁은 간격의 수비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두 번 또는 롱패스로 패스를 받을 수 있는 거리에서는 골대쪽으로 한 걸음 물러서 다른 공격자와 함께 수비를 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가장 적당한 거리는 자기 상대자가 볼을 잡는 경우 즉시 인 라인의 위치로 들어가 설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은 공격선수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협력 수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격자에게 돌파 당하지 않는 것이 수비의 시작이며 최종 목적이다. 그러므로 수비를 뚫리지 않도록 보다 빠르고 강한 풋워크가 되도록 철저히 연습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비의 풋워크에는 크게 나누어 사이드 스텝과 크로스 스텝으로 구분된다. 사이드 스텝은 발의 교차 없이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크로스 스텝은 발이 교차되면서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③지역방어(zone defence)
지역방어는 볼을 중심으로 5명의 선수가 지역을 각각 분담하고, 공격 선수보다는 볼의 옴직임에 따른 전담 지역을 수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패스로 인한 볼의 이동에 따라 5명의 수비자가 동시에 필요한 위치로 각각 움직이게 된다.
지역방어는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이 빠르고 리바운드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외곽 슛이 좋고 패스가 빠른 팀에게는 약한 단점도 있다. 또한 수비자간의 수비 경계선의 결정이 애매함으로 종종 수비 전담지역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지역수비의 장점
·가르치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상대팀의 계획적인 공격을 저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대인수비보다 반칙이 적을 수 있다.
·대인수비보다 속공의 기회가 많다.
·박스아웃을 통하여 수비 리바운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장신의 센터선수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다.
·외곽슛이 좋지 않은 팀에 효과적이다.
·패스 길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지역수비의 단점
·패스 능력이 뛰어난 팀에게는 수비 균형을 쉽게 잃고, 골 밑 찬스를 많이 허용한 다.
·한 사람의 수비자 지역에 2명 이상의 공격자가 몰려있을 때 수비하기 어렵다.
·외곽 3점 슛을 막기 어렵다.
·득점이 뒤지고 있으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무의미한 수비가 될 수 다.
·대각선 패스에 쉽게 무너진다.
·속공이 빠른 팀에게는 비효과적이다.
④대인방어(man to man defence)
대인방어는 5명의 선수가 수비해야 하는 공격자를 정하여 각자 책임을 갖고 1대1로 수비하는 형태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대 공격자 5명이 각각 다른 포지션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비자 개인의 능력돠 공격자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수비자를 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수비에서는 자기가 맡은 선수의 수비에 책임을 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일단 수비가 뚫린 뒤에는 자기가 맡은 사람을 수비하는 것은 아무 의미도 없고, 그 붕괴에서 슛까지 연결되지 못하도록 자기가 맡은 사람을 버리고 전원 협력해서 그 붕괴를 회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수비의 붕괴를 회복하기 위한 두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바스켓에서 먼 곳에 있는 공격자를 수비하고 있는 사람이 우선 도움 수비를 위해 로테이션 한다. 둘째, 돌파 당한 수비자는 자기가 수비해야할 공격자를 끝까지
존을 디펜스의 중심으로 하여 사용하면 상대의 공격 스피드를 봉쇄하여 득점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존을 사용하는 팀의 속공을 내보내기가 쉽기 때문에 득점을 비교적 많이 올릴 수 있는 유리한 점을 생각할 수가 있다.
디펜스의 기본으로써 무엇을 사용할 것인가, 또한 디펜스를 강력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연구를 가하면은 좋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지도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지도자는 공격에 대한 것보다도 디펜스의 선택이나 그 연습에 더욱 많은 시간을 배당하여 전념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의 제 1선 선수들은 ‘최선의 디펜스는 최선의 오펜스이다.’라고 하는 옛날부터의 바스켓볼의 격언에 꼭 들어맞을 정도로 뛰어난 수비들만 모여있다. 그러나 오펜스와 디펜스의 사이에는 항상 어떠한 밸런스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오펜스의 발달이 게임의 흥미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인식하지만 한편 지금까지와는 다른 강력한 디펜스를 고안해 내야 된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최근 선수의 슛 기술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오펜스의 기술이 디펜스의 기술을 크게 능가하게 되어 득점이 많은 게임을 선수나 팬들도 방어적인 게임보다 매력이 있기 때문에 많은 선수나 지도자들은 오펜스의 기술에 열중하여 디펜스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게 되었다.
지도자나 선수들이 게임을 평하기를 ‘오늘 우리팀의 슛은 부진하였다’라고 자주 말하고 있으나 그것은 오히려 상대의 디펜스가 상당히 강하였다고 평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②디펜스의 기본자세
수비의 자세에서 중요한 것은 무릎을 구부리고 머리를 들어 공격자를 쳐다보는 것이다. 팔은 약간 구부려 즉시 행동할 수비를 하고, 발은 전후로 어깨 넓이보다 약간 더 벌리고 어떤 방향으로 든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몸의 무게 중심은 발의 앞부분에 놓는다.
공격자와의 거리는 손을 뻗쳐 볼에 닿을 수 있는 거리이어야 한다. 이때 손바닥은 위로 들어 볼을 아래에서 위로 칠 듯이 공격적으로 위협한다. 공격자가 슛을 시도하려 할 경우에는 한 손을 볼 위로 들어 슛의 방향을 방해한다. 이때 오른손잡이 슛터인 경우에는 왼손을 위로 들어 수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비의 위치는 볼을 가진 선수를 수비 할 경우와 볼을 가지지 않은 선수를 수비 할 경우 또는 볼의 움직임이나 바스켓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수비자와 공격자간의 거리는 패스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공격자가 한번에 패스를 받을 수 있는 거리에는 좁은 간격의 수비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두 번 또는 롱패스로 패스를 받을 수 있는 거리에서는 골대쪽으로 한 걸음 물러서 다른 공격자와 함께 수비를 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가장 적당한 거리는 자기 상대자가 볼을 잡는 경우 즉시 인 라인의 위치로 들어가 설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대로부터 떨어지는 것은 공격선수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 협력 수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격자에게 돌파 당하지 않는 것이 수비의 시작이며 최종 목적이다. 그러므로 수비를 뚫리지 않도록 보다 빠르고 강한 풋워크가 되도록 철저히 연습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비의 풋워크에는 크게 나누어 사이드 스텝과 크로스 스텝으로 구분된다. 사이드 스텝은 발의 교차 없이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크로스 스텝은 발이 교차되면서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③지역방어(zone defence)
지역방어는 볼을 중심으로 5명의 선수가 지역을 각각 분담하고, 공격 선수보다는 볼의 옴직임에 따른 전담 지역을 수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패스로 인한 볼의 이동에 따라 5명의 수비자가 동시에 필요한 위치로 각각 움직이게 된다.
지역방어는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이 빠르고 리바운드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으나 외곽 슛이 좋고 패스가 빠른 팀에게는 약한 단점도 있다. 또한 수비자간의 수비 경계선의 결정이 애매함으로 종종 수비 전담지역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지역수비의 장점
·가르치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상대팀의 계획적인 공격을 저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대인수비보다 반칙이 적을 수 있다.
·대인수비보다 속공의 기회가 많다.
·박스아웃을 통하여 수비 리바운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장신의 센터선수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다.
·외곽슛이 좋지 않은 팀에 효과적이다.
·패스 길을 미리 차단할 수 있다.
⒝지역수비의 단점
·패스 능력이 뛰어난 팀에게는 수비 균형을 쉽게 잃고, 골 밑 찬스를 많이 허용한 다.
·한 사람의 수비자 지역에 2명 이상의 공격자가 몰려있을 때 수비하기 어렵다.
·외곽 3점 슛을 막기 어렵다.
·득점이 뒤지고 있으며,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경우 무의미한 수비가 될 수 다.
·대각선 패스에 쉽게 무너진다.
·속공이 빠른 팀에게는 비효과적이다.
④대인방어(man to man defence)
대인방어는 5명의 선수가 수비해야 하는 공격자를 정하여 각자 책임을 갖고 1대1로 수비하는 형태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대 공격자 5명이 각각 다른 포지션과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비자 개인의 능력돠 공격자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수비자를 배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수비에서는 자기가 맡은 선수의 수비에 책임을 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일단 수비가 뚫린 뒤에는 자기가 맡은 사람을 수비하는 것은 아무 의미도 없고, 그 붕괴에서 슛까지 연결되지 못하도록 자기가 맡은 사람을 버리고 전원 협력해서 그 붕괴를 회복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수비의 붕괴를 회복하기 위한 두가지 원칙이 있다. 첫째, 바스켓에서 먼 곳에 있는 공격자를 수비하고 있는 사람이 우선 도움 수비를 위해 로테이션 한다. 둘째, 돌파 당한 수비자는 자기가 수비해야할 공격자를 끝까지
추천자료
[신문방송]대학광고물 사례를 통한 대학광고유형 분석
[예체능] 비만에 대한 모든 것
[사회과학] 적극적 경청
더페이스샵의 성공전략 분석 및 문제점
자동차기능실습-섀시에 대하여
건강 운동의 기본원리와 운동의 종류, 운동 강도, 운동 지속시간, 운동빈도, 운동의 단계에 ...
The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toward North Korea
East Asian Countries' Rapid Development, Economic Crisis, and Redevelopment Strategy (F...
필라테스바디에 대해서
피어싱의 부작용조사
[소비자 행동론] [문화적 가치관에 의한 소비자 행동]
의료서비스마케팅 사례조사 (언론, 기사, 뉴스)
치료적 간호중재 : 마음챙김요법, 명상(마음챙김명상), MBSR, 수련, 명상법, 걷기명상, 보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