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st Wear 스와치 마케팅 전략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Wrist Wear 스와치 마케팅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Wrist Wear 기업소개
1. 기업소개
2. Wrist Wear CI (Company Identity)
3. About Wrist Wear
Ⅱ. Wrist Wear 경쟁자 프로파일링
1. 간접경쟁자
2. 직접경쟁자
Ⅲ. 기업선정동기
Ⅳ. 경쟁자 기업소개
1. 스와치그룹(SWATCH GROUP) 소개
2. 스와치그룹(SWATCH GROUP)의 연혁
3. Swatch 7S Analysis (7S 분석)
Ⅴ. 내•외부 환경분석
1. 강점
2. 기회
3. 위협
4. 약점
Ⅵ. STP 전략
1. 시장 세분화 (Segmenting)
2. 목표 시장 (Targeting)
3. 포지셔닝 (Positioning)
Ⅶ. 마케팅 믹스 분석
1. 마케팅 믹스
2. 스와치의 4P 분석
Ⅷ. 스와치 성공 요인분석
1. 스와치의 성공요인
Ⅸ. Wrist Wear 성공전략 (Swatch 개선사항)
Ⅹ. 결론(느낀점, 배운점)
Ⅺ. 참고자료
Ⅻ. Meeting 스케쥴

본문내용

최고급 브랜드인 ‘블랑팡’이 자리 하고 있다. 피라미도 구조상단의 제품에서 주로 이익을 얻지만 하단 제품의 ‘방화벽’ 역할 역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스와치 그룹은 각 브랜드의 제품들은 달라야 하며 그 브랜드가 갖는 메시지 역시 달라야 한다고 한다. 또한 수익창출을 위한 목표비용을 먼저 산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3) 운영체제 (System)
<그림2> 스와치의 가치사슬
(4) 인력 (Staff)
▶수집품으로써 스와치의 희소성을 극대화 한 것은 아무래도 아트스와치의 공이 크다.
키키피카소(KiKi Picasso), 백남준, 키스 하링(Keith Haring)등의 예술가가 참여하면 스와치는 입고다니는 예술 품이 되었다. 영화감독인 페드로 알모도바르, 로버트 앨트먼과 구로사와 아키라, 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 아방가르드 예술가 오노 요코 등도 스와치를 통해 손목에 예술을 가져다 둔 사람들이다. 예술성을 인정 받은 스와치는 파리의 퐁피두 센터에 상설 전시되고 있다.
<그림3> 백남준이 디자인한 스와치
(5) 기술 (Skill)
▶기존 아날로그 시계에는 91개에서 125개에 이르는 부품이 들어간다. 그러나 스와치와 같이 초박형 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품 수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기술력 어려움이 컸지만 스위스의 축적된 기술력과 지구력, 오랜 경험, 조직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마침내 부품 수를 51개로 대폭 줄이는데 성공했다. 또한 보통 시계는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지만 스와치는 이를 시계 본체 하나로 해결하려 했다. 이전까지 시계는 케이스를 따로 만들고 부품을 조립한 뒤 나중에 둘을 끼워 맞췄다. 이런 공정이 비효율적이고 인건비를 상승시킨다고 생각한 스와치는 케이스 안에 바로 부품을 조립해 넣고 유리도 붙박이로 끼워 맞추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 그리고 스와치는 수공이 아니라 로봇에 의해 생산되므로 조립공정의 단순화와 함께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었다.
(6) 기업 풍토 (Style)
▶스와치 그룹에는 스와치 그룹이라는 지주회사와 블랑팡, 오메가, 라도, 론진, 티소, 발망, 캘빈클라인, 스와치 등 브랜드별로 14개 계열사가 있다.
100만 달러를 넘나드는 초고가 제품을 만드는 블랑팡이나 오메가 임직원들은 늘고급 정장을 차려입고 사회 저명인사들을 주로 만나며 영업을 한다. 자연히 영업직사원들의 연령도 높다. 반면에 100달러 이하의 저가 패션시계를 만드는 스와치의 경우는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직원들이 캐쥬얼 복장으로 일한다.
마케팅 전략도 제각각이다. 블랑팡이나 오메가는 우수 모델이 한번 나오면 2~3년 모델을 바꾸지않는다. 그러나 스와치는 빠르면 3개월만에, 보통 반년에 한번씩 모델을 교체한다.
(7) 공유된 가치 (Shared Value)
\"스와치는 도전이고 변혁이고 즐거움이다
(Swatch is provocation, innovation, and fun forever)\"
-니콜라스 하이에크(스와치 그룹 前회장)-
▶시계를 팔지 말고 이미지를 팔아라. 스와치 그룹은 시계를 단순히 시간을 알려주는 기계 장치를 넘어 패션과 자기표현의 한 방법으로 바꿔 놓앗따. 한발 더 나아가 고객들은 스와치 그룹의 시계를 사회적 지위나 능력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삼기도 한다. 스와치는 시계가 아닌 이미지를 파는 기업으로 변모 하고 있는 것이다.
Ⅴ. 내외부 환경분석
1. 강점
기존 시계에 대한 생각을 한차원 높임으로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킴
소장 가치를 높임(창의력이 가득한 제품 + 한번 출시된 제품은 리바이벌 안됨)
부담없는 가격으로 유행에 민감함 젊은 층을 타겟으로 잡음으로서 일인당 다량구매 유도
시계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 보유(초소형 전자, 반도체,베터리 제조)
스위스 시계부품 시장 독점화
소비자들이 디지털 보다 아날로그 시계를 더 추구함
스와치 (=스위스 시계) 스위스 시계라는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서 고객에게 신뢰를 줌
2. 기회
직영판매로의 전환(높은 수요의 잠재력이 있는 한국시장)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확대(공모전)
악세사리 시장 확대 사업의 다각화
3. 위협
디자인 모방이 쉬움
전자시계 시장의 계속적인 개발로 인한 시장발달
핸드폰의 수요 증대로 인한 시계의 필요성 저하
4. 약점
저가이미지 구축 실패
브랜드 이미지 상실
중저가 이기 때문에 회전율이 높아야 하지만 우리나라 정서에 맞는 회전율을 갖추지 못함
Ⅵ. STP 전략(시장세분화, 타겟팅, 포지셔닝)
1. 시장 세분화(Segmenting)- 구매력, 경제력, 연령별
구 분
연령별
경제력
구매력
특 징
저가시장
10대~20대
낮음
저가상품에 빈번
원산지선호도 우세
홍보물에 약함
디자인에 충동구매 빈번
중저가시장
30대~40대
보통
경기에 민감
기능적인 측면 중시
고가시장
40대~50대
높음
희소성에 구매의혹
전통적 고급 브랜드 선호
저가 시장: 10대~20대. 구매가 빈번하고 다량으로 구매한다. 대중적이라는 특징이 있고 fashionable하다. 비교적 유행에 민감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강하며 원산지 구매에 충실하다. 구매연령이 대체로 낮은 편이고 제품구입 시 잡지광고나 판촉물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리고 고가 시장 소비자에 비해 단순하고 간단한 구매 행동을 보인다.
중저가 시장: 30대~40대. 시계는 시간을 보기 위한 도구라는 본질적인 기능에 충실한 경향이 있다. 구매의사 결정이 경제적 상황, 경기 변동에 민감한 영향을 받아 시장규모의 변화가 타 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고가 시장: 40대~50대. 구매 빈도수가 다른 시장에 비해 낮은 편이다. 각 기업이 소량생산을 하기에 그 희소성이 구매동기를 부여한다.(희소성에 의한 자기과시, 상징의 효과를 추구함) 전통적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중시한다. 즉, 이 시장에서는 자신의 지위를 나타낼 수 있는 제품의 이미지를 중시한다. 보통, 그들의 지위는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편이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다. 그러나 loyalty가 생기기 전까지는 복잡한 구매행동을 보인다.
2. 목표 시장(Targeting)
● 복수세분시장 마케팅
● 저가시장에서의 경쟁력확보(BASE 중요성)
● 단계적으로 시장범위확대
현재 swatch는 시계 산업을 3단 케

키워드

  • 가격2,7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3.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