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오행체질
가. 목형인
나. 화형인
다. 토형인
라. 금형인
마. 수형인
2. 사상체질
가. 태양인
나. 태음인
다. 소양인
라. 소음인
1. 오행체질
가. 목형인
나. 화형인
다. 토형인
라. 금형인
마. 수형인
2. 사상체질
가. 태양인
나. 태음인
다. 소양인
라. 소음인
본문내용
울 때가 있다.
채소류 역시 무, 도라지, 연근, 고사리, 마, 토란 등이 좋으며 곡물로는 밀, 콩, 율무 등이 좋다. 대체로 분식체질이라면 틀림없다. 태음인은 그 체격으로 보아 비교적 식성이 좋고
대식가이나 폭음과 폭식으로 인하여 위를 상해 고생하는 일이 있으므로 가급적 음식은 절제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한편 뇌출혈로 혼수상태가 되어 목에 가래가 끓거나, 또는 정신이 혼미해져 말소리가 새나가며, 입과 눈이 돌아가며, 몸이 마비될 때에는 우황청심원이 효과가 있다. 태음인에게 맞는 보약으로는 녹용대보탕이 있다.
(라) 소음인(少陰人)
형태와 생김새
소음인은 신대비소(腎大脾小)하므로 중초나 비위(脾胃)가 허약하고 신장, 방광 부위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상체보다는 하체가 실하지만 대체로 균형이 잘 잡혀 있다. 키는 작은 편이나 혹 큰 경우도 있다.
몸매가 균형이 잡혀 있기 때문에 걸음이 자연스럽고 얌전하며, 말을 할 때는 눈웃음을 짓고 조용하고 침착하며 조리정연하다.
그러나 지나친 몸짓에 야비하게 보일 때가 있다. 가끔 한숨을 쉬는 일이 있어 남이 볼 때는 고민이 많은 사람처럼 보일 때도 있다.
여자의 경우는 용모가 잘 짜여 있어 예쁘며 애교가 있다. 눈, 코, 입, 귀가 크지 않으며 눈에 정기가 없다.
소양인이 반사형이라면 소음인은 흡수형이다. 피부가 부드럽고 땀이 적어 겨울에도 손이 트지 않는다.
소음인은 비위가 약하므로 소화가 잘되고 대변이 굳고 잘 나오면 건강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심성(心性)
소음인은 내성적이지만 사교적이다. 그래서 겉으로는 약해 보여도 속으로는 강하다.
머리가 총명하여 판단력이 빠르고 매우 조직적이며 사무적이다.
자기 일에 충실하여 빈틈없이 처리하여 상사에게 칭찬을 들으나 때론 지나치게 아첨을 떠는 경우도 있다.
작은 일에도 신경을 쓰는 성격이기 때문에 마음이 좁고 질투가 심해서 자기 일에 누가 손대는 것을 싫어하고
사촌이 땅을 사도 배가 아프다. 남을 오해하기 쉽고 한 번 미움을 사면 좀처럼 풀리지 않고 말다툼을 할 때에는
지난 일임에도 다시 꺼내 상대방을 괴롭힌다.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일을 처리하는 데 실리에 집착하고 타산적이므로 적은 손해도 보지 않으려고 하므로 인색하고 남을 잘 믿지 못한다. 그래서 전형적인 소음인의 경우에는 인색하고 절약하기 때문에 수전노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그러나 소음인인 여자는 깔끔하고 착실하며, 아기를 순산하고 매사에 치밀하여 사치하지 않고 알뜰가정을 이룬다.
그러나 모든 것이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욕심이 지나쳐 식구들과 조화를 잘 이루지 못할 때가 있고, 또한 질투가 심하여 작은 일에도 마음을 끓이고 늘 불안해하므로 신경성 질환자가 많다. 자기보다 강한 자 앞에서는 잘 후퇴하나 다른 기회를 엿보아 측면으로 보복한다.
보통의 평범한 직장인들에게서 이러한 체질을 발견할 수 있다.
소음인은 한걸음 양보하면서 희락에 눈을 팔지 않고 마음을 안정시킨다면 장수할 수 있다.
음식과 약물
닭고기, 양고기 등이 좋고 어류로는 고등어, 미꾸라지, 뱀장어 등이 좋다. 과일로는 대추, 사과, 귤, 복숭아, 토마토가 좋으며
채소로는 시금치, 미나리, 양배추, 홍당무, 감자, 파, 마늘, 생강, 후추, 들깨, 엿 그리고 꿀이 좋다.
특히 마늘에다 꿀을 넣고 달여서 먹으면 이질에 특효가 있다. 비위가 허약함으로 찹쌀이 좋으며 조를 섞으면 더욱 좋다.
소음인으로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계지탕이 좋으며, 위가 무력하고 설사가 날 때에는 이중탕이나 반하사심탕이 좋다.
보약으로는 유명한 십전대보탕, 보증익기탕 등이 좋고 인삼, 부자, 쑥 등의 몸을 덥히는 약이 체질에 알맞다.
채소류 역시 무, 도라지, 연근, 고사리, 마, 토란 등이 좋으며 곡물로는 밀, 콩, 율무 등이 좋다. 대체로 분식체질이라면 틀림없다. 태음인은 그 체격으로 보아 비교적 식성이 좋고
대식가이나 폭음과 폭식으로 인하여 위를 상해 고생하는 일이 있으므로 가급적 음식은 절제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한편 뇌출혈로 혼수상태가 되어 목에 가래가 끓거나, 또는 정신이 혼미해져 말소리가 새나가며, 입과 눈이 돌아가며, 몸이 마비될 때에는 우황청심원이 효과가 있다. 태음인에게 맞는 보약으로는 녹용대보탕이 있다.
(라) 소음인(少陰人)
형태와 생김새
소음인은 신대비소(腎大脾小)하므로 중초나 비위(脾胃)가 허약하고 신장, 방광 부위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상체보다는 하체가 실하지만 대체로 균형이 잘 잡혀 있다. 키는 작은 편이나 혹 큰 경우도 있다.
몸매가 균형이 잡혀 있기 때문에 걸음이 자연스럽고 얌전하며, 말을 할 때는 눈웃음을 짓고 조용하고 침착하며 조리정연하다.
그러나 지나친 몸짓에 야비하게 보일 때가 있다. 가끔 한숨을 쉬는 일이 있어 남이 볼 때는 고민이 많은 사람처럼 보일 때도 있다.
여자의 경우는 용모가 잘 짜여 있어 예쁘며 애교가 있다. 눈, 코, 입, 귀가 크지 않으며 눈에 정기가 없다.
소양인이 반사형이라면 소음인은 흡수형이다. 피부가 부드럽고 땀이 적어 겨울에도 손이 트지 않는다.
소음인은 비위가 약하므로 소화가 잘되고 대변이 굳고 잘 나오면 건강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심성(心性)
소음인은 내성적이지만 사교적이다. 그래서 겉으로는 약해 보여도 속으로는 강하다.
머리가 총명하여 판단력이 빠르고 매우 조직적이며 사무적이다.
자기 일에 충실하여 빈틈없이 처리하여 상사에게 칭찬을 들으나 때론 지나치게 아첨을 떠는 경우도 있다.
작은 일에도 신경을 쓰는 성격이기 때문에 마음이 좁고 질투가 심해서 자기 일에 누가 손대는 것을 싫어하고
사촌이 땅을 사도 배가 아프다. 남을 오해하기 쉽고 한 번 미움을 사면 좀처럼 풀리지 않고 말다툼을 할 때에는
지난 일임에도 다시 꺼내 상대방을 괴롭힌다.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일을 처리하는 데 실리에 집착하고 타산적이므로 적은 손해도 보지 않으려고 하므로 인색하고 남을 잘 믿지 못한다. 그래서 전형적인 소음인의 경우에는 인색하고 절약하기 때문에 수전노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
그러나 소음인인 여자는 깔끔하고 착실하며, 아기를 순산하고 매사에 치밀하여 사치하지 않고 알뜰가정을 이룬다.
그러나 모든 것이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고 욕심이 지나쳐 식구들과 조화를 잘 이루지 못할 때가 있고, 또한 질투가 심하여 작은 일에도 마음을 끓이고 늘 불안해하므로 신경성 질환자가 많다. 자기보다 강한 자 앞에서는 잘 후퇴하나 다른 기회를 엿보아 측면으로 보복한다.
보통의 평범한 직장인들에게서 이러한 체질을 발견할 수 있다.
소음인은 한걸음 양보하면서 희락에 눈을 팔지 않고 마음을 안정시킨다면 장수할 수 있다.
음식과 약물
닭고기, 양고기 등이 좋고 어류로는 고등어, 미꾸라지, 뱀장어 등이 좋다. 과일로는 대추, 사과, 귤, 복숭아, 토마토가 좋으며
채소로는 시금치, 미나리, 양배추, 홍당무, 감자, 파, 마늘, 생강, 후추, 들깨, 엿 그리고 꿀이 좋다.
특히 마늘에다 꿀을 넣고 달여서 먹으면 이질에 특효가 있다. 비위가 허약함으로 찹쌀이 좋으며 조를 섞으면 더욱 좋다.
소음인으로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계지탕이 좋으며, 위가 무력하고 설사가 날 때에는 이중탕이나 반하사심탕이 좋다.
보약으로는 유명한 십전대보탕, 보증익기탕 등이 좋고 인삼, 부자, 쑥 등의 몸을 덥히는 약이 체질에 알맞다.
추천자료
[미적 사상][미적 사상 의의][미적 사상 문제][외국의 미적 사상][미적 사상 평가]미적 사상...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교육사상가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행적과 생애, 실학자(실학사상) 홍대용의 의산문답에 나타난 사상...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루소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페스탈로치 유아...
[윤리와 사상]윤리의 개념, 윤리의 필요성,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교육의 개념, 고등학교 윤...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
[동양윤리사상][동양윤리사상 이론][동양윤리사상 특징][동양윤리사상 연원][동양윤리사상 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유아교육철학), 퀸틸리아누스, 루터, 로크 유아교육사...
[불교복지사상, 불교사회복지사상]불교복지사상(불교사회복지사상)의 의미, 종류, 불교복지사...
[불교사상, 복전복리사상, 정토사상, 공사상, 화엄사상, 자비사상, 중도사상]불교사상과 복전...
[불교사상, 불교사상 의미, 불교사상 전개과정, 한용운(만해 한용운), 홍길동전]불교사상의 ...
[안창호 교육사상] 도산 안창호(島山 安昌浩) 교육사상 개요, 안창호 교육사상의 현대적 시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