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코메니우스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가르친다”
2. 知識․德性․信仰 교육의 조화
3. “언어 이전에 사물”
Ⅲ.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형식도야설
Ⅳ. 루소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사상의 근본
2. 교육의 사상
1) 사람의 교육은 3종의 다른 교사에 의하여 교육된다
2) 루소의 자연에 의한 교육은 습관형성과 노력과 연습에 의한 능력 계발 즉 육체적 훈련을 통한 정신적 육체적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Ⅴ. 페스탈로치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Ⅵ. 프뢰벨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프뢰벨의 교육방법
2. 교육적 의의
Ⅶ. 몬테소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교육의 목적
2. 교사의 역할
3.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4. 교육의 방법
Ⅷ. 마르틴부버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마르틴부버의 생애
2. 마르틴부버의 교육철학
1) 상호 인격적 친교의 관계
2) 구도적 동반자 관계
3) 상호포용적 관계
4)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
5) 상호개성의 조화적 관계
6) 대화적 관계
Ⅸ. 결론
참고문헌
Ⅱ. 코메니우스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가르친다”
2. 知識․德性․信仰 교육의 조화
3. “언어 이전에 사물”
Ⅲ. 로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교육목적
2. 교육방법
3. 형식도야설
Ⅳ. 루소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사상의 근본
2. 교육의 사상
1) 사람의 교육은 3종의 다른 교사에 의하여 교육된다
2) 루소의 자연에 의한 교육은 습관형성과 노력과 연습에 의한 능력 계발 즉 육체적 훈련을 통한 정신적 육체적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Ⅴ. 페스탈로치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Ⅵ. 프뢰벨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프뢰벨의 교육방법
2. 교육적 의의
Ⅶ. 몬테소리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교육의 목적
2. 교사의 역할
3.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4. 교육의 방법
Ⅷ. 마르틴부버 유아교육사상(교육철학)
1. 마르틴부버의 생애
2. 마르틴부버의 교육철학
1) 상호 인격적 친교의 관계
2) 구도적 동반자 관계
3) 상호포용적 관계
4)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
5) 상호개성의 조화적 관계
6) 대화적 관계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격적 친교의 관계
상호 인격적 친교위 관계는 가각의 인격이 \'서로 만남\'하는 것이며, 교사는 학생을 항상 하나의 인격체로서 목적시 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의 목적이 개개학생을 책임적인 인격 존재로 이끌어 주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학생을 수단시 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나 - 그것\'의 비인격적 관계로 전락한다. 인격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먼저 인격화되어야 한다. 인격적 - 실존적 관계는 먼저 자기 자신의 내부로부터 성립하며, 자신의 인격성에 눈뜬 자는 아직 눈뜨지 못한 자에게 이를 가르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리하여 교육적 만남이 성립한다. 교육의 본질은 영혼과 영혼의 접합이며, 인격과 인격의 \'만남\'인 것이다.
2) 구도적 동반자 관계
구도적 동반자(求道的 同伴者) 관계는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를 우열적 상하관계로 보지 않고 진리와 삶 앞에 적나라하게 서 있는 동등한 구도자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이것이 우정의 관계이다. 어디까지나 단순히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삶의 진리 앞에서 교사와 학생이 동등한 구도자적 인간으로 마주설 때 \'만남\'이 가능하다.
3) 상호포용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정체성을 지니면서 상대편의 삶에 동참함으로써 자기 생의 실현을 맛보는 것이다. 각 반려자는 자기 자신을 상대방에게 비이기적으로 주며, 또 그 주는 것 안에서 자기 생의 실현을 보게 된다. 이처럼 참된 교사는 학생들의 삶에 동참하면서 자기 자신을 비이기적으로 주는 아가페적 사랑 속에서 진정한 자기 삶을 발견하는 것이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는 기독교 정신이 바로 이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이웃을 버리는 것은 자기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환언하면 학생을 버리는 것은 교사가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학생은 미성숙자이다. 학생의 결점조차도 사랑할 때에, 즉 학생의 삶을 있는 그대로 포용할 때, 학생도 교사의 삶을 포용하게 되어 비로소 상호 포용적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4)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는 교사와 학생이 신뢰의 분위기 속에서 서로의 삶 앞에 자기 자신을 드러내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배우는 자의 신뢰를 깨우쳐주는 것이다. 신뢰의 전제가 되는 것은 개방이다. 교사가 자기 자신을 개방하고 신뢰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진실한 태도, 그리고 상당한 원숙성을 필요로 한다. 신뢰와 개방의 모험 없이는 위대한 교육적 성과가 이루어질 수 없다. 부버는 참된 학습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교사가 학생을 인격으로 대하고, 학생은 교사를 하나의 인격으로 수용하고 그리하여 묻고 배우는 교육작용이 성립한다고 보았다.
5) 상호개성의 조화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각각 자유로운 개성적 존재로서 \'서로 만남\'하는 관계를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창조활동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부버는 이 세상의 모든 함된 관계가 개별화에 근거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바로 이 개별화 자체가 관계의 한계가 되기도 한다. 개별화로 우리는 \'너\'가 \'나\'와 다른 타자성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독자적인 타자성을 인정하며, 진리에 대한 자신의 관계를 그들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뚜렷하고 특생있는 독립적인 인격을 보장할 때 대화적 관계가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격과 인격의 관계는 주체와 주체간의 관계이기 대문에 교사는 학생을 하나의 개성적 인격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6) 대화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대화를 통하여 서로의 인격을 부화시켜 주는 관계이다. 고립된 존재는 인간이 아니라는 점을 역설하면서 고립된 개인을 강조하던 종래의 실존주의를 극복하였다. 그래서 참된 삶이란 서로 만나는 일,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사는 데 있다. 이런 만남은 대화의 삶을 말하는 것이다. 대화의 관계는 인격적 \'만남\'의 관계인 것이다. 대화란 \'너\'를 향하여 말하려는 \'나\'의 의지만이 아니라(그것뿐이라면 그것은 독백이 되고 만다.) \'너\'가 \'나\'에게 말하려는 바를 듣고자 라는 의지 사이의 민감성인 것이다. 이처럼 대화적 관계는 자신의 입장을 상대방에게 강요하지 않으며, 각자가 상대방의 처지를 체험하면서 참된 말을 주고 받는 것이다. 따라서 대화는 무책임한 \'예\' 보다는 책임적인 \'아니오\'를 존중한다. 왜냐하면 진실한 대화 속에서만이 참된 인격적 친교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화의 경우, 그것이 진실한 대화라면 우리는 분명히 줄 곧 그 대화에 참여하고 집중하게 된다. 우리는 정말로 상대방을 이해시키고 노력해야 하며, 또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상대방을 믿게 하도록 노력해야하며 믿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같은 입장에 보면 실존적 영역의 교육에서뿐만 아니라 지적 영역의 교육에서도 이 같은 대화적 방법이 적절히 원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교육이든 간에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대화적 관계로 형성되어야 하리라 본다.
Ⅸ. 결론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삶을 마감할 때까지 끊임없이 교육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태어나서부터 학교에 다니기 전까지는 집에서 부모님과 더불어 지내면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부모의 손을 떠나서는 10여 년 이상을 학교에서 교과중심의 교육을 받으며 사회에 나가서도 여전히 교육을 받으면서 생활해 나가고 있다. ‘교육은 인간으로서 인간이 되기 위한 필수적인 에로스’라고 말하는 것처럼 교육을 떠나서는 인간의 삶을 이야기 할 수 없을 것이다. 사람은 교육을 받는 한편으로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많은 경험들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이 교육적인 경험이 될 수 있고 비교육적인 경험이 될 수 있지만, 경험 역시 교육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신왕,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강선보, 코메니우스의 교육과정론, 교육철학회, 2002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0
보이드·이홍우 외, 서양교육사, 서울 : 교육과학사, 1994
우도 틸, 로크, 한길사, 1998
요한네스 힐쉬베르거·강성위, 서양 철학사(下)
어네스트 바커외 공저·강정인·문지영 옮김, 로크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5
상호 인격적 친교위 관계는 가각의 인격이 \'서로 만남\'하는 것이며, 교사는 학생을 항상 하나의 인격체로서 목적시 해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의 목적이 개개학생을 책임적인 인격 존재로 이끌어 주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학생을 수단시 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나 - 그것\'의 비인격적 관계로 전락한다. 인격적 관계형성을 위해서는 교사 자신이 먼저 인격화되어야 한다. 인격적 - 실존적 관계는 먼저 자기 자신의 내부로부터 성립하며, 자신의 인격성에 눈뜬 자는 아직 눈뜨지 못한 자에게 이를 가르칠 수 있다고 하면서, 이리하여 교육적 만남이 성립한다. 교육의 본질은 영혼과 영혼의 접합이며, 인격과 인격의 \'만남\'인 것이다.
2) 구도적 동반자 관계
구도적 동반자(求道的 同伴者) 관계는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를 우열적 상하관계로 보지 않고 진리와 삶 앞에 적나라하게 서 있는 동등한 구도자의 관계로 보는 것이다. 이것이 우정의 관계이다. 어디까지나 단순히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삶의 진리 앞에서 교사와 학생이 동등한 구도자적 인간으로 마주설 때 \'만남\'이 가능하다.
3) 상호포용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정체성을 지니면서 상대편의 삶에 동참함으로써 자기 생의 실현을 맛보는 것이다. 각 반려자는 자기 자신을 상대방에게 비이기적으로 주며, 또 그 주는 것 안에서 자기 생의 실현을 보게 된다. 이처럼 참된 교사는 학생들의 삶에 동참하면서 자기 자신을 비이기적으로 주는 아가페적 사랑 속에서 진정한 자기 삶을 발견하는 것이다.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라는 기독교 정신이 바로 이러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이웃을 버리는 것은 자기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환언하면 학생을 버리는 것은 교사가 자신을 버리는 것이다. 학생은 미성숙자이다. 학생의 결점조차도 사랑할 때에, 즉 학생의 삶을 있는 그대로 포용할 때, 학생도 교사의 삶을 포용하게 되어 비로소 상호 포용적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4)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
상호 개방적 신뢰의 관계는 교사와 학생이 신뢰의 분위기 속에서 서로의 삶 앞에 자기 자신을 드러내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배우는 자의 신뢰를 깨우쳐주는 것이다. 신뢰의 전제가 되는 것은 개방이다. 교사가 자기 자신을 개방하고 신뢰로운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용기와 진실한 태도, 그리고 상당한 원숙성을 필요로 한다. 신뢰와 개방의 모험 없이는 위대한 교육적 성과가 이루어질 수 없다. 부버는 참된 학습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즉, 교사가 학생을 인격으로 대하고, 학생은 교사를 하나의 인격으로 수용하고 그리하여 묻고 배우는 교육작용이 성립한다고 보았다.
5) 상호개성의 조화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각각 자유로운 개성적 존재로서 \'서로 만남\'하는 관계를 의미하는데, 이를 통해 창조활동이 이루어진다고 본다. 부버는 이 세상의 모든 함된 관계가 개별화에 근거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바로 이 개별화 자체가 관계의 한계가 되기도 한다. 개별화로 우리는 \'너\'가 \'나\'와 다른 타자성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독자적인 타자성을 인정하며, 진리에 대한 자신의 관계를 그들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뚜렷하고 특생있는 독립적인 인격을 보장할 때 대화적 관계가 성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격과 인격의 관계는 주체와 주체간의 관계이기 대문에 교사는 학생을 하나의 개성적 인격으로 파악하여야 한다.
6) 대화적 관계
교사와 학생이 대화를 통하여 서로의 인격을 부화시켜 주는 관계이다. 고립된 존재는 인간이 아니라는 점을 역설하면서 고립된 개인을 강조하던 종래의 실존주의를 극복하였다. 그래서 참된 삶이란 서로 만나는 일,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속에서 사는 데 있다. 이런 만남은 대화의 삶을 말하는 것이다. 대화의 관계는 인격적 \'만남\'의 관계인 것이다. 대화란 \'너\'를 향하여 말하려는 \'나\'의 의지만이 아니라(그것뿐이라면 그것은 독백이 되고 만다.) \'너\'가 \'나\'에게 말하려는 바를 듣고자 라는 의지 사이의 민감성인 것이다. 이처럼 대화적 관계는 자신의 입장을 상대방에게 강요하지 않으며, 각자가 상대방의 처지를 체험하면서 참된 말을 주고 받는 것이다. 따라서 대화는 무책임한 \'예\' 보다는 책임적인 \'아니오\'를 존중한다. 왜냐하면 진실한 대화 속에서만이 참된 인격적 친교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화의 경우, 그것이 진실한 대화라면 우리는 분명히 줄 곧 그 대화에 참여하고 집중하게 된다. 우리는 정말로 상대방을 이해시키고 노력해야 하며, 또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상대방을 믿게 하도록 노력해야하며 믿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같은 입장에 보면 실존적 영역의 교육에서뿐만 아니라 지적 영역의 교육에서도 이 같은 대화적 방법이 적절히 원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교육이든 간에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대화적 관계로 형성되어야 하리라 본다.
Ⅸ. 결론
인간은 태어나서부터 삶을 마감할 때까지 끊임없이 교육을 받으면서 살아가고 있다. 태어나서부터 학교에 다니기 전까지는 집에서 부모님과 더불어 지내면서 교육을 받고 있으며, 부모의 손을 떠나서는 10여 년 이상을 학교에서 교과중심의 교육을 받으며 사회에 나가서도 여전히 교육을 받으면서 생활해 나가고 있다. ‘교육은 인간으로서 인간이 되기 위한 필수적인 에로스’라고 말하는 것처럼 교육을 떠나서는 인간의 삶을 이야기 할 수 없을 것이다. 사람은 교육을 받는 한편으로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많은 경험들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이 교육적인 경험이 될 수 있고 비교육적인 경험이 될 수 있지만, 경험 역시 교육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신왕,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강선보, 코메니우스의 교육과정론, 교육철학회, 2002
민석홍, 서양사개론, 삼영사, 1990
보이드·이홍우 외, 서양교육사, 서울 : 교육과학사, 1994
우도 틸, 로크, 한길사, 1998
요한네스 힐쉬베르거·강성위, 서양 철학사(下)
어네스트 바커외 공저·강정인·문지영 옮김, 로크의 이해, 문학과 지성사, 1995
추천자료
- 유아발달심리학 인물의 교육 사상
- 코메니우스의 기독교 교육 사상 연구
- [전인교육][유아전인발달][전인교육의 구현방법][전인교육의 제고방안]전인교육의 정의, 전인...
- 프뢰벨(교육철학, 사상, 생애, 이론, 은물, 교육방법, 교사론, 유아관)
- 유아 교육 사상
- 영유아 보육사상가 중 본인의 사상과 일치하거나 보육 현장에 적용하고 싶은 사상가 1명을 선...
- [루소][언어기원론][인간불평등기원론][사회계약론]루소의 작품활동, 루소의 유배시기, 루소...
- 19~20세기 영유아 보육사상(페스탈로치, 프뢰벨, 몬테소리, 듀이, 아동중심교육)
- 루소의 자연주의 사상에 입각한 교육방법과 현재의 영유아 교육방법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
- 영유아 교육 사상가들의 교수방법에 대하여 설명
-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h Pestalozzi...
-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듀이(John Dewey, 1859~1952) - 듀이의 ...
- [보육학개론] 현대 아동중심 보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루소(Jean Jacques Rousseau, 1712~1778...
- 영유아 교육은 위대한 사상가의 철학적 신념을 토대로 이루어졌습니다 . 이들 사상가가 주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