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애인의 복지 이해
- 의의, 이념
- 장애인의 인구 특성
- 장애인 복지 관련 법률 및 예산
- 장애인 유형
2. 재활 프로그램
- 의료재활
- 직업재활
- 재활공학
- 의의, 이념
- 장애인의 인구 특성
- 장애인 복지 관련 법률 및 예산
- 장애인 유형
2. 재활 프로그램
- 의료재활
- 직업재활
- 재활공학
본문내용
이고 있다.
1) 재활법에서의 재활공학
재활법502조에서는 건축물과 교통장벽제거위원회(Architectural and Transportation Barriers Compliance Board : ATBCB)의 설치를 명시하고 그 위원회에서는(a) 모든 공공 건축물의 무장벽화(b) 장애인의 교통장벽과 필요한 집의 조사 (c)모든 공공건물에 국제장애인 접근 심볼을 사용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또한 동법 502조에서는 연방정부차원에서 고용되는 모든 장소에서는 컴퓨터와 전자장비나 설비, 사무실기구나 자재를 통해 접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이 법PL 99506에서 재활공학센터에서는"재활공학"이 직업재활을 받는 대상자(Clients)에게 공급해야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1986년 개정된 재활법(PL 99506)에서 명시된 재활공학이란 용어는 "교육, 활, 취업, 교통, 독립생활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을 포함하는 분야에서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직면하는 난관
을 대처하기 위한 기술공학, 공학방법론, 또는 과학적인 원리의 체계적 응용"을 의미한다(Lehr & Brown, 1996).이 법안은 특히 직업 환경에서 재활공학 서비스의 유용성을 증가시켰다면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2) 장애인법에서의 재활공학
미국 장애인법(The Americans with Disabilites Act :ADA)의 탄생으로 장애인들에게 새로운 고용기회가 많이 창출되었다. 94년 이래 15인 이상을 고용하는 모든 사업체는 고용에 있어서 장애인을 차별해서는 안되며, 장애인을 고용할 경우 그 기본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합당한 설비(reasonable accommodation)"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합당한 설비를 갖춘다는 것은 장애인들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작업현장과 작업 활동에 임할 수 있도록 물리적 혹은 절차적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장애를 가지고도 작업하는 것이 가능 할 뿐 아니라 장애의 한계 내에서 최대한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과 조건을 장애의 상태에 맞게 변형시키는 일, 즉 직무수정(job modification)이 필요한데 바로 여기서 재활공학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동법4조에 통신(communication)을 보장하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데, 청각 장애인들에게도 동등한 정보전달과 보장을 위해TV에 '캡션'설치 의무화 등은 장애인의 알 권리와 재활공학의 다면적인 개발을 촉진하는 좋은 본보기이기도 하다.
3) 장애인을 위한 기술공학 관련 지원법에서의 재활공학
1998년 제정된 장애인을 위한 기술공학 관련 지원법은 재활공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 재활공학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은 각주별로 주 단위의 재활공학 서비스 전달체계를 발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경합을 거쳐야 하는데 그것을 통해 선택된 주(State)에서는 35년의 기간에 걸쳐 계획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법에 최대 수혜대상자로는 뇌성마비 등 중증장애인으로 분류되었다.
미국 뇌성마비협회(United Cerebral Palsy Association)의 조사보고에 의하면 가입자의 2/3이 개인의 재활프로그램(IWRPS)에 있어서 기술 공학에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mith, 1993).
그래서 이 법에 따라서 최근 수년 사이에 뇌성마비 장애인에게 집중적으로 재활기기 등의 지원적인 기술공학(assistive technology)이 확대되고 있어 치료와 훈련, 자립생활과 고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공학의 개입에 환경적인 변수를 개량하기 보다는 개별 장애인의 기능적 한계를 강조하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4) 재활공학서비스 전달체계
미국의 경우10개 지역으로 나눈 광역재활행정청(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Services: RSA)이 있다. 이곳에서는 장애인의 최종재활인 고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반서비스를 제공한다. 직업에 대한 상담이나 알선 등은 물론이고 사업체가 장애인을 위한 합당한 설비를 갖추도록 돕는데 필요한 재활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이 직업 재활 서비스국의 주요 기능중의 하나다. 이 업무를 이해서 재활공학전문가(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와 재활공학조정자(assistive technology coordinator)를 두고 있다. 우리말로는"재활공학기사"로 불리어지는 재활공학 전문가는 보통 직업 현장이나 실험실, 직무수정 현장 등에서 재활공학 활용도측면에서 그 장애인(Client)을 평가하는 일부터 시작하며, 그 다음단계로 클라이언트의 필요성이나 욕구를 충족하기에 어떤 재활공학용품이 가장 적절한지, 그것을 누가 제작하는지, 어떤 종류의 주문이 특별히 필요한지, 그리고 구입이나 제작에 필요한 비용과 재정적 지원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조사하는 일은 맞게 된다.
재활공학전문가는 또한 이러한 정보를 검토한 후에 재활공학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 그 장애인이 필요한 추천사항(Recommendation)을 작성한다. 그런데, 재활공학조정자는 재활공학전문가의 일을 전반적으로 지원하고, 직업재활서비스 국내의 모든 재활공학서비스를 통합. 조정하는 일을 맡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작성되는 작업현장 수정방안들은 재활공학정보서비스(Rehabili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RTIS)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본 자료로써 활용되고, 이것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교용을 획득하거나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작업현장을 수정. 개량. 개조하는 방법에 관해 자세히 알기 원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재활과 재활공학발전을 위한 연합학회(RESNA)에서는 재활공학조정자, 직업재활전문가. 그리고 재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의 상호협동적인 노력을 통해 제공되는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재활공학서비스는 장애인의고용이 불가능했던 직종에 고용의 문을 활짝 여는 열쇠가 되고 있음을 두 말할 나위 없는 것이다.
1) 재활법에서의 재활공학
재활법502조에서는 건축물과 교통장벽제거위원회(Architectural and Transportation Barriers Compliance Board : ATBCB)의 설치를 명시하고 그 위원회에서는(a) 모든 공공 건축물의 무장벽화(b) 장애인의 교통장벽과 필요한 집의 조사 (c)모든 공공건물에 국제장애인 접근 심볼을 사용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또한 동법 502조에서는 연방정부차원에서 고용되는 모든 장소에서는 컴퓨터와 전자장비나 설비, 사무실기구나 자재를 통해 접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특히 이 법PL 99506에서 재활공학센터에서는"재활공학"이 직업재활을 받는 대상자(Clients)에게 공급해야할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1986년 개정된 재활법(PL 99506)에서 명시된 재활공학이란 용어는 "교육, 활, 취업, 교통, 독립생활 그리고 레크리에이션을 포함하는 분야에서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며 직면하는 난관
을 대처하기 위한 기술공학, 공학방법론, 또는 과학적인 원리의 체계적 응용"을 의미한다(Lehr & Brown, 1996).이 법안은 특히 직업 환경에서 재활공학 서비스의 유용성을 증가시켰다면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2) 장애인법에서의 재활공학
미국 장애인법(The Americans with Disabilites Act :ADA)의 탄생으로 장애인들에게 새로운 고용기회가 많이 창출되었다. 94년 이래 15인 이상을 고용하는 모든 사업체는 고용에 있어서 장애인을 차별해서는 안되며, 장애인을 고용할 경우 그 기본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합당한 설비(reasonable accommodation)"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합당한 설비를 갖춘다는 것은 장애인들이 아무런 어려움 없이 작업현장과 작업 활동에 임할 수 있도록 물리적 혹은 절차적 장애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장애를 가지고도 작업하는 것이 가능 할 뿐 아니라 장애의 한계 내에서 최대한 생산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작업환경과 조건을 장애의 상태에 맞게 변형시키는 일, 즉 직무수정(job modification)이 필요한데 바로 여기서 재활공학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동법4조에 통신(communication)을 보장하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데, 청각 장애인들에게도 동등한 정보전달과 보장을 위해TV에 '캡션'설치 의무화 등은 장애인의 알 권리와 재활공학의 다면적인 개발을 촉진하는 좋은 본보기이기도 하다.
3) 장애인을 위한 기술공학 관련 지원법에서의 재활공학
1998년 제정된 장애인을 위한 기술공학 관련 지원법은 재활공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이 재활공학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법은 각주별로 주 단위의 재활공학 서비스 전달체계를 발전시키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부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경합을 거쳐야 하는데 그것을 통해 선택된 주(State)에서는 35년의 기간에 걸쳐 계획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법에 최대 수혜대상자로는 뇌성마비 등 중증장애인으로 분류되었다.
미국 뇌성마비협회(United Cerebral Palsy Association)의 조사보고에 의하면 가입자의 2/3이 개인의 재활프로그램(IWRPS)에 있어서 기술 공학에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mith, 1993).
그래서 이 법에 따라서 최근 수년 사이에 뇌성마비 장애인에게 집중적으로 재활기기 등의 지원적인 기술공학(assistive technology)이 확대되고 있어 치료와 훈련, 자립생활과 고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술공학의 개입에 환경적인 변수를 개량하기 보다는 개별 장애인의 기능적 한계를 강조하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기도 한다.
4) 재활공학서비스 전달체계
미국의 경우10개 지역으로 나눈 광역재활행정청(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Services: RSA)이 있다. 이곳에서는 장애인의 최종재활인 고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제반서비스를 제공한다. 직업에 대한 상담이나 알선 등은 물론이고 사업체가 장애인을 위한 합당한 설비를 갖추도록 돕는데 필요한 재활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이 직업 재활 서비스국의 주요 기능중의 하나다. 이 업무를 이해서 재활공학전문가(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와 재활공학조정자(assistive technology coordinator)를 두고 있다. 우리말로는"재활공학기사"로 불리어지는 재활공학 전문가는 보통 직업 현장이나 실험실, 직무수정 현장 등에서 재활공학 활용도측면에서 그 장애인(Client)을 평가하는 일부터 시작하며, 그 다음단계로 클라이언트의 필요성이나 욕구를 충족하기에 어떤 재활공학용품이 가장 적절한지, 그것을 누가 제작하는지, 어떤 종류의 주문이 특별히 필요한지, 그리고 구입이나 제작에 필요한 비용과 재정적 지원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도 조사하는 일은 맞게 된다.
재활공학전문가는 또한 이러한 정보를 검토한 후에 재활공학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에 그 장애인이 필요한 추천사항(Recommendation)을 작성한다. 그런데, 재활공학조정자는 재활공학전문가의 일을 전반적으로 지원하고, 직업재활서비스 국내의 모든 재활공학서비스를 통합. 조정하는 일을 맡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작성되는 작업현장 수정방안들은 재활공학정보서비스(Rehabili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RTIS)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본 자료로써 활용되고, 이것은 장애인으로 하여금 교용을 획득하거나 고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작업현장을 수정. 개량. 개조하는 방법에 관해 자세히 알기 원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재활과 재활공학발전을 위한 연합학회(RESNA)에서는 재활공학조정자, 직업재활전문가. 그리고 재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의 상호협동적인 노력을 통해 제공되는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재활공학서비스는 장애인의고용이 불가능했던 직종에 고용의 문을 활짝 여는 열쇠가 되고 있음을 두 말할 나위 없는 것이다.
추천자료
- 우리나라의 장애인 재활과 복지의 대책과 전망
- [사회복지론]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와 재활에 대해서
- 장애인 자립생활의 의미와 외국 장애인들의 자립생활, 우리나라와 비교, 문제점, 대안방안, ...
- 장애인 복지법, 장애인 고용촉진법, 직업재활법, 장애인운동, 장애인차별 금지법 각각 분석
- 정신지체 장애인의 개념과 재활 프로그램
- 장애인자립생활의 대상과 역할, 장애인자립생활의 목적, 재활모델로부터 장애인자립생활모델...
- 시각장애인과 직업재활-학교와 복지관에서의 직업교육과 훈련
- 장애인 복지의 자립생활모델과 재활모델 각각의 패러다임을 비교하고 두 모델의 장단점에 대...
- 정신장애인직업재활의 개념과 목적, 역사적 배경, 정신장애인직업재활의 유형, 현황, 정신장...
- [정신장애인직업재활][정신장애인][직업재활]정신장애인직업재활의 유형, 정신장애인직업재활...
- 장애인 복지의 자립생활모델과 재활모델 각각의 패러다임을 비교하고 두 모델의 장단점에 대...
- 지적장애인 시설에서 사회복지사로 근무할 경우 일일 캠프를 계획할 때 프로그램과 예산 수립...
- 후천성 신체(척수, 뇌병변)장애인의 장애 수용성 증대 및 재활 지원 프로그램
- 장애인 의료복지(장애인 의료비 지원 재활보조기구지원 장애인 의료관련 서비스 지원 장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