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학이란 무엇인가?
2. 실학의 형성 배경
3. 학파의 형성과 그 특성
1) 성호학파(星湖學派)의 실학사상
2) 북학파의 실학사상
4. 실학의 심화와 영향
1) 실학의 집대성 - 정약용
2) 고증학과 실사구시-김정희
3)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최한기
5. 실학의 특성과 의의
2. 실학의 형성 배경
3. 학파의 형성과 그 특성
1) 성호학파(星湖學派)의 실학사상
2) 북학파의 실학사상
4. 실학의 심화와 영향
1) 실학의 집대성 - 정약용
2) 고증학과 실사구시-김정희
3)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최한기
5. 실학의 특성과 의의
본문내용
주의적 관점에서 화이론을 부정하기에 이른다. 박지원에 의하면 화와 이의 구분은 구역에 따른 자국 중심적인 관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서 결코 문화적인 차이에 의해서 화와 이를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박지원의 실학사상의 특징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이용후생론이라고 할 수 있다. 박지원은 윤리 도덕적 측면인 정덕보다 물질의 이용과 후생을 선행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용후생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청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전제한 뒤, <일신수필>에서 “천하를 위해 일하는 사람은 진실로 백성에게 이롭고 국가에 도움이 된다면 비록 그 법이 오랑캐에서 나온 것이라 할지라도 이를 취하여 본받아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던 것이다.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박제가의 북학의와 함께 “한 솜씨에서 나온 것 같다.(如出一手)”고 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편에 흐르는 수레배기와벽돌도로성곽농기구 등에 관한 이용후생론은 북학사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학사상에 가장 철저하였던 인물로 초정(礎亭) 박제가(朴齊家, 1750-1815)를 들 수 있다. 그는 홍대용박지원 등의 영향하에 당시 사대부들이 존화양이에 매몰되어 있는 것을 비판하고 북학사상을 피력하였다.설사 청의 선진문물이 오랑캐의 문물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진실로 백성에게 이로우면 취해야 한다는 이용후생론적 입장에 서 있다. 『북학의』 전편에 흐르는 수레배기와벽돌교량농기구목축 등 이용후생론은 박제가 실학사상의 백미라 할 수 있다. 그는 “재물을 잘 다스리는 자는 위로는 천시를 잃지 않고 아래로는 지리를 잃지 않으며, 중간으로는 인사를 잃지 않는다.”고 하고, 이러한 세 가지
북학사상에 가장 철저하였던 인물로 초정(礎亭) 박제가(朴齊家, 1750-1815)를 들 수 있다. 그는 홍대용박지원 등의 영향하에 당시 사대부들이 존화양이에 매몰되어 있는 것을 비판하고 북학사상을 피력하였다.설사 청의 선진문물이 오랑캐의 문물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진실로 백성에게 이로우면 취해야 한다는 이용후생론적 입장에 서 있다. 『북학의』 전편에 흐르는 수레배기와벽돌교량농기구목축 등 이용후생론은 박제가 실학사상의 백미라 할 수 있다. 그는 “재물을 잘 다스리는 자는 위로는 천시를 잃지 않고 아래로는 지리를 잃지 않으며, 중간으로는 인사를 잃지 않는다.”고 하고, 이러한 세 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