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절제술 간호학습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낭절제술 간호학습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 복강경 담낭 절제술
◈ 담낭절제술(cholecystectomy)
◈ 수술 전 간호
◈ 수술 후 간호

Ⅲ.결론

본문내용

및 마취제의 영향으로 배설 욕구를 느끼지 못하여 배설할 수 없는지도 모름
- 방광을 비울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카테터를 삽입
⑤ 비위관 유지
- 대상자의 비위관에 흡인장치를 부착시킬 수 있음
- 관 상태가 개방되어 있고 적절한 배액에 적합한 위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자주 관을 확인
- 튜브가 뽑히거나 잘못 위치해 있는 경우
┖팽창, 구토, 메스꺼움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수술 부위에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음
- 8시간에 한번씩 장음을 청진 → 정상적인 장 활동을 회복했는지 확인
- 장음이 정상적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경구섭취 허용 안됨
- 금식상태일 때는 2시간에 한번씩 구강 간호 실시
- 구강 점막을 8시간에 한번씩 살핌 → 상태와 색깔, 촉촉한 정도를 평가
- 금식하는 동안은 가습효과를 위해 젖은 수건을 입술위에 놓아둘 수 있고 얼음 조각이나 물방울을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됨
⑥ 적응할 수 있도록 식사를 진행시킴
- 방귀가 나오고 장음이 들려올 때까지 대상자에게는 정상적인 식사가 허용 안됨
- 음식이나 수분을 섭취하도록 허용되면 대상자가 복부팽창이 있는지, 장음은 정상적으로 돌아왔는지 관찰
┖ 섭취된 음식물이나 수분을 수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함
⑦ 감염을 예방함
- 드레싱을 교체할 때 절개 부위의 색깔과 부어오른 상태, 배액물의 특징 및 양, 냄새를 동시에 확인
- 배액관이 있을 때 그 양과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배액물 검사함
- 체온을 4시간에 한번씩, 필요시 저 자주 조사함
- 드레싱과 절개부위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
- 통증의 위치와 유형, 정도를 기록
┖비교 가능케 하고 중대한 변화가 즉시 발견 될 수 있도록 해야 함
- 감염이 의심되면 의사에게 알림
⑧ 환자교육
- 환자의 학습의 잠재성과 학습 요구를 사정하고 수술 후 가능한 빨리 가정 간호에 대해 교육
- 환자에게 어떤 증상을 담당의에게 보고해야 하는지와 담당의와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줌
- 황달, 짙은 색의 소변, 옅은 색의 대변과 소양증을 보고하도록 교육함
- 활동과 식이제한에 대해 철저하게 설명하고 재강화 시킴 ① 적절한 섭취량을 유지
② 위장관 증상을 유발시키는 음식을 피함
⑨ 퇴원 교육 ★
- 통증, 발열이 있으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함
- 고지방식이를 피하도록 함
-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하도록 함
-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함
Ⅲ.결론
나의 담당 환자인 홍길동님은 담석이 생긴 상태이고 그로 인해 담낭을 절제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지도 모른다. 그래서 나는 담낭절제술과 그 수술 전후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담낭을 절제하는 방법에는 담낭경을 이용한 절제술과 복부를 열어 직접 절제하는 방법이 있었으며 그 간호는 일반적인 수술 간호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알게 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정확한 간호를 제공하고 홍길동님의 안위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上2 (2004)/ 서문자 외/ 수문사
- 성인간호학 上 (제 4판-2005) / 전시자 외/ 현문사
- 성인간호학 2 (2004)/ 김분한 외/ 정담미디어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6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