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이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케이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 규칙
① 더블 트랙 레이스(double track race)
② 싱글 트랙 레이스(single track race)
③ 종목
2. 경기장
① 링크
② 트랙
3. 스케이트의 형태
4. 스피드 스케이팅 실격 규정
5. 스피드 스케이팅의 복장 및 장비
6. 스케이트의 과학적 원리
7. 스케이트를 통한 운동효과
8. 자세 및 기능
9. 안전수칙
10. 기본 연습방법

본문내용

(한바퀴 125m 이상의 것)
(3) 숏트랙(한바퀴 125m이하의 것)
3. 스케이트의 형태
날이 폭 1mm정도로 얇고 날의 길이는 보통 구두의 1.5배 정도가 되는 강철로 되어 있으며 이것을 지탱하는 원통의 튜우브도 경금속이다. 날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스피드가 더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스피드를 낼 수 있도록 고안된 날의 길이가 긴 스케이트이다. 그러나 터무니 없이, 길다고 해서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체력과 키 등에 알맞아야 한다.
3. 스피드 스케이팅 실격 규정
① 부정출발 : Ready 구령전에 출발자세를 취하던지, Ready 구령전에 또는 출발총이 발사 되기전에 두 개의 선 사이에서 떠나면 부정출발이다. 선수는 출발시에 선수의 스케이트가 출발선을 침범하거나, 선이 닿아 있으면 안된다. 그리고 한명 또는 두 선수가 출발자세를 취하는데 의도적으로 천천히 할 경우도 해당된다. 두번 부정출발했을 때는 실격된다.
② 선침범 금지 : 거리를 단축할 목적으로 커브를 들어갈 때, 커브를 돌 때, 커브를 나올 때 스노라인이나 이동할 수 있는 블 록으로 커브를 표시한 것으로 실격된다.
③ 자기코스 이탈 : 한 선수가 빠른 속도로 인하여 인코스 선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그러나, 아웃코스 선수에게 지장을 주지 않았을 경우 그는 자기 코스로 돌아와야 하며 그러면 실격은 주어지지 않는다.
4. 스피드 스케이팅의 복장 및 장비
경기복장 : 경기복은 선수 몸의 형태가 자연스럽게 드러낼 수 있는 것이어야만 한다. 어떤 형태라도 몸매와 다르게 보이는 것을 삽입하거나 부착해서는 안된다.
5. 스케이트의 과학적 원리
(1) 압력과 마찰을 이용한 가속도
① 스케이트와 얼음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킨다.
② 마찰열에 의해 생긴 물이 윤활유 역할을 한다.
③ 속력을 내기 위해 상체를 기울여 저항을 줄인다.
④ 신체의 중심을 앞으로 실어 가속도를 높인다.
(2) 커브에서의 원심력 원리
- 원심력의 영향으로 몸이 바깥쪽으로 나가려는 것을 막기 위해 회전축 쪽으로 상체를 기울인다.
6. 스케이트를 통한 운동효과
- 기초체력운동, 심폐기능 향상, 균형 있는 몸매, 유연성 향상, 민첩성 향상, 순발력 향상, 인내력 향상, 근력 향상, 집중력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7. 자세 및 기능
(1) 스타트
- 무릎을 굽히고 상체를 숙인 자세로 무게중심을 앞에 둔다.
- 출발 신호와 동시에 7~8걸음 뛰어나간 후 직선자세로 바꾼다.
(2) 직선코스
- 상체를 앞으로 하여 몸의 무게중심을 한쪽 발에 싣는다.
- 다른 다리의 무릎을 펴서 오므리면서 뒤로 가져가 얼음판을 밀며 앞으로 나아가게 한다. 이때 무게중심을 둔 발 쪽의 팔을 위로 치켜들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3) 곡선고스
- 코너를 돌 때에는 몸의 중심을 안쪽으로 기울인다.
-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오른발을 왼발 앞으로 내디디면서 활주한다.
- 이 때 몸의 상체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주의하고, 안쪽 팔은 작게, 바깥쪽 팔은 크게 흔든다.
(4) 정지
- A자형: 초보자가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날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2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