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취의 종류
소독과 멸균방법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의 역할
무균적 손씻기
회복실 간호
소독과 멸균방법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의 역할
무균적 손씻기
회복실 간호
본문내용
히 맞추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① 국소 도포 : 국소적 도포는 직접 피부나 점막에 국소마취약을 바르는 것이다. 국소 마취제의 혼합물(EMLA 크림)은 lidocaine과 prilocaine을 혼합한 것으로 국소적 피부 마취를 위해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30분에서 60 전에 그 부위에 적용하여야 한다.
② 국소 침윤법 : 수술 절개를 하는 조직에 약물을 주사하는 것이다.
③ 국부 신경 차단 : 이는 어떤 신경이나 신경다발에 직접 주사하거나 그 주변에 주사하는 것이다. 신경 차단은 수술 시에는 마취에 사용되며 수술 후에는 진통 효과를 주어 만성 통증의 진단과 치료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완 신경총 차단, 내늑골(intercostal) 차단, 후연수(retrobulbar) 차단이 있다. 정맥 내 국부 신경 차단(Bier block)은 압박 붕대나 지혈대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사지의 혈액을 방출한 후 국소 마취제를 정맥내로 주사하는 것이다.
④ 척수마취와 경막외 마취 : 척수 마취와 경막외 마취는 국부마취의 형태이다. 척수 마취는 지주막 하강에서 발견되는 척수액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L2 이하 수준에 적용한다. 국소마취제를 직접 척수액에 투여하기 때문에 자율신경 차단, 감각신경 차단, 운동신경 차단이 나타난다. 척수 마취는 주로 하복부, 서혜부, 회음부, 그리고 하지의 수술에 사용된다.
경막외 마취는 흉추나 요추부를 통하여 경막외 공간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하는 것이다. 마취제는 척수액으로 들어가지 않고 다만 척수가 출입되는 신경절에 결합한다. 경막외 마취는 수술 동안만 사용되기도 하며 수술 후 진통효과를 위하여 카테터를 삽입하여 수술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 둔부, 무릎과 관련된 혈관 수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소독과 멸균방법
수술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는 목적은 수술 절개부위로 병원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수술 부위의 피부는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항균 세제로 기계적으로 문지르거나 닦는다. 주로 원을 그리며 깨끗한 쪽(절개할 부분)에서 더러운 쪽(말초 부위)으로 소독한다. 수술 부위 주변도 여유롭게 소독하여 수술 부위를 한 층 더 보호하고 수술 시 예상치 못한 경우에 대비한다.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의 역할
수술실에서는 간호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소독 간호사이고 다른 하나는 순환간호사이다. 소독 간호사는 실제 수술에 임하는 간호사로서 외과 의사(집도의)의 바로 옆에서 수술에 직접 관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손 소독을 하고 소독가운과 장갑을 착용한 후 수술에 필요한 기구, 거즈, 스폰지, 봉합사 등을 무균적으로 수술대 위에 정돈해 놓고 수술에 임한다. 한편, 순환 간호사는 수술실의 준비를 돕고 전체 수술 과정을 돌봐 주는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다.
순환 간호사의 활동 (비멸균 활동)
소독 간호사의 활동 (멸균 활동)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실 실시, 다른 사람 활동을 모니터함, 필
① 국소 도포 : 국소적 도포는 직접 피부나 점막에 국소마취약을 바르는 것이다. 국소 마취제의 혼합물(EMLA 크림)은 lidocaine과 prilocaine을 혼합한 것으로 국소적 피부 마취를 위해 피부에 적용할 수 있다. 30분에서 60 전에 그 부위에 적용하여야 한다.
② 국소 침윤법 : 수술 절개를 하는 조직에 약물을 주사하는 것이다.
③ 국부 신경 차단 : 이는 어떤 신경이나 신경다발에 직접 주사하거나 그 주변에 주사하는 것이다. 신경 차단은 수술 시에는 마취에 사용되며 수술 후에는 진통 효과를 주어 만성 통증의 진단과 치료에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완 신경총 차단, 내늑골(intercostal) 차단, 후연수(retrobulbar) 차단이 있다. 정맥 내 국부 신경 차단(Bier block)은 압박 붕대나 지혈대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사지의 혈액을 방출한 후 국소 마취제를 정맥내로 주사하는 것이다.
④ 척수마취와 경막외 마취 : 척수 마취와 경막외 마취는 국부마취의 형태이다. 척수 마취는 지주막 하강에서 발견되는 척수액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L2 이하 수준에 적용한다. 국소마취제를 직접 척수액에 투여하기 때문에 자율신경 차단, 감각신경 차단, 운동신경 차단이 나타난다. 척수 마취는 주로 하복부, 서혜부, 회음부, 그리고 하지의 수술에 사용된다.
경막외 마취는 흉추나 요추부를 통하여 경막외 공간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하는 것이다. 마취제는 척수액으로 들어가지 않고 다만 척수가 출입되는 신경절에 결합한다. 경막외 마취는 수술 동안만 사용되기도 하며 수술 후 진통효과를 위하여 카테터를 삽입하여 수술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 둔부, 무릎과 관련된 혈관 수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소독과 멸균방법
수술 부위의 피부를 소독하는 목적은 수술 절개부위로 병원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수술 부위의 피부는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항균 세제로 기계적으로 문지르거나 닦는다. 주로 원을 그리며 깨끗한 쪽(절개할 부분)에서 더러운 쪽(말초 부위)으로 소독한다. 수술 부위 주변도 여유롭게 소독하여 수술 부위를 한 층 더 보호하고 수술 시 예상치 못한 경우에 대비한다.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의 역할
수술실에서는 간호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소독 간호사이고 다른 하나는 순환간호사이다. 소독 간호사는 실제 수술에 임하는 간호사로서 외과 의사(집도의)의 바로 옆에서 수술에 직접 관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손 소독을 하고 소독가운과 장갑을 착용한 후 수술에 필요한 기구, 거즈, 스폰지, 봉합사 등을 무균적으로 수술대 위에 정돈해 놓고 수술에 임한다. 한편, 순환 간호사는 수술실의 준비를 돕고 전체 수술 과정을 돌봐 주는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다.
순환 간호사의 활동 (비멸균 활동)
소독 간호사의 활동 (멸균 활동)
해부, 생리, 수술 절차 고찰
수술실 준비 보조
무균실 실시, 다른 사람 활동을 모니터함, 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