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폴리프로필렌
1. 제법
2. 성질
3. 성형가공
4. 용도
5. 프로필렌 공중합체
5-① 에틸렌-프로필렌고무
5-② 에틸렌-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1. 제법
2. 성질
3. 성형가공
4. 용도
5. 프로필렌 공중합체
5-① 에틸렌-프로필렌고무
5-② 에틸렌-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본문내용
다. 이 제3급 탄소원자에 부가되어 있는 수소원자는 산소나 오존의 공격을 받기 쉬우므로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보다도 산화에 대한 저항성은 상당히 작다. 게다가 폴리프로필렌은 가공온도가 높기 때문에 산화방지의 문제는 특히 중요하다.
산화방지제로서는 알킬페놀과 유기황화합물, 혹은 아민화합물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자외선 열화에 대하여서는 폴리에틸렌의 경우와 같고 카본블랙이나 유기의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이 효과적이다.
폴리프로필렌의 투명성은 폴리에틸렌 보다도 매우 뛰어나다. 이것은 뛰어난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과 더불어 필름등의 포장재료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인기있는 성질이지만 더욱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조핵제의 첨가가 유효하다. 조핵제라는 것은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핵으로 되는 것이며 이것을 적당량 배합하면 용융 폴리머가 냉각할 때에 극히 미세한 구정의 생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투명도가 좋아지고 강인성이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도 약간 향상되는 것이다. 조핵제로서 방향족 카르본산의 Na, Zn, Al등의 금속염이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기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저밀도
고밀도
탄산가스
1.7
7
1
산소
2.4
7.1
1
수소
1.6
2
1
질소
1.5
7
1
메탄
1.3
8.9
1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다음표에 나타내듯이 기체 투과율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식료품의 포장에 사용하는 경우는 냄새의 변화나 향로의 산일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3. 성형가공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대단히 성형성이 좋은 재료이며 보통 타입의 사출성형기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각종 성형품, 봉, 파이프, 필름, 시트, 병, 모노필라멘트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성형수축률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작고 또한 수축률의 방향성 정도도 작으므로 적당한 성형조건을 고르면 치수정도가 양호한, 잔류변형이 적은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다.
폴리프로필렌을 연신하면 내굽힘피로성이 현저히 향상되지만 이 성질을 잘 이용하여 갖가지 용기의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일체성형 Hinge(경첩)을 사출성형을 하고 완전히 냉각하기 전에 뽑아내어 곧바도 Hinge부분을 굽혀서 연신효과를 부여하면 이 부분의 내굽힘피로성이 향상되고 디자인과 성형조건이 적정하다면 0℃에서 300만번 이상의 개폐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단 금형의 설계에 있어서 게이트위치에 주의하고 성형재료가 Hinge부분을 직각으로 횡단해서 흐르게끔 성형할 일이 중요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연신효과를 이용하여 투명도 및 충격에 강한 중공(속이빈)제품을 얻는 연신 취입성형이라 불리는 성형기술은 성형된 패르손을 다시 가열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연신함과 동시에 취입성형을 하는 방법으로 통기성도 보통의 취입성형품 보다 작은 것이 특색이다.
폴리프로필렌의 필름 및 라미네이트는 T다이법에 의한 경우는 폴리프로필렌용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통상의 공냉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인플레이션법에서는 필름의 냉각속도가 늦기 때문에 취약하고 투명도가 나쁜 필름밖에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냉쟈켓을 이용한다든지 물을 직접 필름과 접촉시킨다든지 하는 급냉방식이 개발되어 폴리프로필렌의 인플레이션 필름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EVA,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등과의 복합 필름도 T다이법 혹은 인플레이션법에 따른 복합압축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강인하고 투명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지만 이것을 다시 가열하면서 새로워 가로로 잡아늘리고 2축연신을 가하면 강도나 여러 물성이 각별하게 향상된다. 2축연신 방법으로서는 우선 세로
산화방지제로서는 알킬페놀과 유기황화합물, 혹은 아민화합물과 조합해서 사용하면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자외선 열화에 대하여서는 폴리에틸렌의 경우와 같고 카본블랙이나 유기의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이 효과적이다.
폴리프로필렌의 투명성은 폴리에틸렌 보다도 매우 뛰어나다. 이것은 뛰어난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과 더불어 필름등의 포장재료로서 사용하는데 특히 인기있는 성질이지만 더욱 투명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조핵제의 첨가가 유효하다. 조핵제라는 것은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핵으로 되는 것이며 이것을 적당량 배합하면 용융 폴리머가 냉각할 때에 극히 미세한 구정의 생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투명도가 좋아지고 강인성이나 저온에서의 내충격성도 약간 향상되는 것이다. 조핵제로서 방향족 카르본산의 Na, Zn, Al등의 금속염이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기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저밀도
고밀도
탄산가스
1.7
7
1
산소
2.4
7.1
1
수소
1.6
2
1
질소
1.5
7
1
메탄
1.3
8.9
1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다음표에 나타내듯이 기체 투과율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식료품의 포장에 사용하는 경우는 냄새의 변화나 향로의 산일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3. 성형가공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대단히 성형성이 좋은 재료이며 보통 타입의 사출성형기나 압출기를 사용하여 각종 성형품, 봉, 파이프, 필름, 시트, 병, 모노필라멘트등으로 가공할 수 있다. 성형수축률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보다 작고 또한 수축률의 방향성 정도도 작으므로 적당한 성형조건을 고르면 치수정도가 양호한, 잔류변형이 적은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다.
폴리프로필렌을 연신하면 내굽힘피로성이 현저히 향상되지만 이 성질을 잘 이용하여 갖가지 용기의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일체성형 Hinge(경첩)을 사출성형을 하고 완전히 냉각하기 전에 뽑아내어 곧바도 Hinge부분을 굽혀서 연신효과를 부여하면 이 부분의 내굽힘피로성이 향상되고 디자인과 성형조건이 적정하다면 0℃에서 300만번 이상의 개폐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단 금형의 설계에 있어서 게이트위치에 주의하고 성형재료가 Hinge부분을 직각으로 횡단해서 흐르게끔 성형할 일이 중요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의 연신효과를 이용하여 투명도 및 충격에 강한 중공(속이빈)제품을 얻는 연신 취입성형이라 불리는 성형기술은 성형된 패르손을 다시 가열하고 적당한 온도에서 연신함과 동시에 취입성형을 하는 방법으로 통기성도 보통의 취입성형품 보다 작은 것이 특색이다.
폴리프로필렌의 필름 및 라미네이트는 T다이법에 의한 경우는 폴리프로필렌용의 설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통상의 공냉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인플레이션법에서는 필름의 냉각속도가 늦기 때문에 취약하고 투명도가 나쁜 필름밖에 얻을 수 없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냉쟈켓을 이용한다든지 물을 직접 필름과 접촉시킨다든지 하는 급냉방식이 개발되어 폴리프로필렌의 인플레이션 필름도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EVA,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리덴등과의 복합 필름도 T다이법 혹은 인플레이션법에 따른 복합압축에 의해서 제조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강인하고 투명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지만 이것을 다시 가열하면서 새로워 가로로 잡아늘리고 2축연신을 가하면 강도나 여러 물성이 각별하게 향상된다. 2축연신 방법으로서는 우선 세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