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청소년 신조어의 사용실태
1) 통신언어, 문자 메시지/이모티콘
2) 언어폭력 : 욕, 비속어
3) 외래어 혼용
3. 청소년 신조어 사용의 부정적 측면
1) 의사소통의 단절
2) 우리말 어법, 맞춤법을 완전히 무시
3) 언어사용이 미치는 심리적요인
4) 너무 가벼운 언어의 사용
4. 청소년 신조어 사용의 긍정적 측면
1) 새로운 언어로서의 발전
2) 젊은 세대만의 공감대형성
3) 부정적 언어의 유화기능
5. 결론
※ 참고자료
2. 청소년 신조어의 사용실태
1) 통신언어, 문자 메시지/이모티콘
2) 언어폭력 : 욕, 비속어
3) 외래어 혼용
3. 청소년 신조어 사용의 부정적 측면
1) 의사소통의 단절
2) 우리말 어법, 맞춤법을 완전히 무시
3) 언어사용이 미치는 심리적요인
4) 너무 가벼운 언어의 사용
4. 청소년 신조어 사용의 긍정적 측면
1) 새로운 언어로서의 발전
2) 젊은 세대만의 공감대형성
3) 부정적 언어의 유화기능
5.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하는 것), 리하이(채팅방을 나갔다가 다시 들어왔을 때 하는 인사), 껌(무시당하는 사람), 담탱이(담임선생님), 지름신(충동구매를 불러일으키는 가상의 신), 쌩까다(거짓말하다, 무시하다), 찌질이(한심한 사람), 지대(짱, 최고), 홍간다(반하다) 등
▶ 줄임말 : 인터넷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신속하다는 데에 있다. 그 영향으로 아이들은 빠른 대화를 위해 최대한 축약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 겜(게임), 잼따(재밌다), 출첵(출석체크), 열공(열심히 공부해), 글구(그리고), 짱나(짜증나다), 방가(반가워), 먀네(미안해) 등
▶ 자판치기 편하게 소리 나는 대로 쓰는 말 : 채팅에선 맞춤법을 지키기 보다는 자판치기에 편하게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경향이 있다.
참고) 어뜨케, 하세여, 조아, 져아, 해써?, 바께서 등
▶ 의성어의태어 : 자신의 감정을 문자만으로도 좀더 실감나게, 간편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위해 의성어나 의태어를 많이 쓴다.
참고) 쩝(난감해 하는 모습), 크크(키득거리는 웃음 소리), 글쩍(민망해 머리를 긁적이는 모습), 꾸벅(인사하는 모습), 냐하하하(웃음소리), 샤방(약간 맹한 듯 환하게 미소지음) 등
▶ 특이한 문체 : 말끝에 접미사로 독특한 말을 붙여 하나의 문체로 만들기도 한다.
참고) 삼체-밥 먹었삼?, 기다리3, 셈체-안녕하셈, 근영체-추워 졌근영, 나영체-기다렸나영? 등
(2) 문자 메시지와 이모티콘
삐삐를 시작으로 이동전화 등의 보급으로 문자메시지 이용이 확대되어 문자메시지는 신세대들의 새로운 대화법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이동전화의 이용이 보편화된 지금 아이들은 단순한 통화를 떠나서 문자 메시지를 통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대화를 나눈다. 이모티콘(Emoticon)이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서 컴퓨터 키보드의 문자와 숫자, 특수기호 등을 조합해 만들어낸 사이버 공간의 언어를 뜻한다. 이모티콘은 사람의 얼굴 표정에서부터 긴 문장까지 간단히 표현해낸다. 네트즌들끼리만 통하는 일종의 은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지금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핸드폰에 곁들여 쓰여 지고 있다. 한 통의 문자메시지 안에 많은 의미를 담기 위해서는 이모티콘이 최적이기 때문이다.
이모티콘에도 시대별로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1세대인 삐삐시대에는 8282(빨리빨리 와, 긴급해), 58486(오빠 사랑해), 1010235(열렬히 사모해)등 숫자를 이용해 비교적 단순한 의사를 전달했다. 제 2세대인 PC통신세대는 컴퓨터 자판상의 특수문자를 활용하여 @@(놀란표정), ㅡㅡ;;(난감해 땀흘리는 표정),ㅡㅡ+(화난표정)등 표현하고자했다. 제3세대라 할 수 있는 이동전화세대, 즉 요즘의 청소년들은 한걸음 더 나아가 각종 특수기호를 자유자재로 이용하여 독특한 사이버 상형문자를 만들어냈다. ((00)) (돼지), Vm~(여우), %%%%%(닭살 돗는다), >)))><(((<(키싱구라미) S2(하트표시) 등 이 뿐만 아니라 동영상 세대답게 움직이는 모습까지 놓치지 않는다.
(3) 외계어
통신어체가 단순히 쓰기의 편함과 빠름을 추구해 탄생한거라면, 외계어는 그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무언가 남과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찾던 청소년들은 한글에 이상한 문자를 섞어 쓰기 시작했다. 그것이 점점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러서는 남과의 대화도 단절될 정도로 심하게 한글이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즉, 통신어체가 빠름을 추구하긴 해도 한글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서 외계어는 한글의 원형이 유지가 안 될 정도로 심각하게 언어를 파괴하고 있다. 이런 것들이 통칭 \'외계어\' 인 것이다.
참고) 즐=KIN , OTL(좌절하는 모습),
▶ 줄임말 : 인터넷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신속하다는 데에 있다. 그 영향으로 아이들은 빠른 대화를 위해 최대한 축약해서 말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 겜(게임), 잼따(재밌다), 출첵(출석체크), 열공(열심히 공부해), 글구(그리고), 짱나(짜증나다), 방가(반가워), 먀네(미안해) 등
▶ 자판치기 편하게 소리 나는 대로 쓰는 말 : 채팅에선 맞춤법을 지키기 보다는 자판치기에 편하게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경향이 있다.
참고) 어뜨케, 하세여, 조아, 져아, 해써?, 바께서 등
▶ 의성어의태어 : 자신의 감정을 문자만으로도 좀더 실감나게, 간편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위해 의성어나 의태어를 많이 쓴다.
참고) 쩝(난감해 하는 모습), 크크(키득거리는 웃음 소리), 글쩍(민망해 머리를 긁적이는 모습), 꾸벅(인사하는 모습), 냐하하하(웃음소리), 샤방(약간 맹한 듯 환하게 미소지음) 등
▶ 특이한 문체 : 말끝에 접미사로 독특한 말을 붙여 하나의 문체로 만들기도 한다.
참고) 삼체-밥 먹었삼?, 기다리3, 셈체-안녕하셈, 근영체-추워 졌근영, 나영체-기다렸나영? 등
(2) 문자 메시지와 이모티콘
삐삐를 시작으로 이동전화 등의 보급으로 문자메시지 이용이 확대되어 문자메시지는 신세대들의 새로운 대화법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이동전화의 이용이 보편화된 지금 아이들은 단순한 통화를 떠나서 문자 메시지를 통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대화를 나눈다. 이모티콘(Emoticon)이란 감정(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서 컴퓨터 키보드의 문자와 숫자, 특수기호 등을 조합해 만들어낸 사이버 공간의 언어를 뜻한다. 이모티콘은 사람의 얼굴 표정에서부터 긴 문장까지 간단히 표현해낸다. 네트즌들끼리만 통하는 일종의 은어로 사용되기 시작했지만 지금은 인터넷뿐만 아니라 핸드폰에 곁들여 쓰여 지고 있다. 한 통의 문자메시지 안에 많은 의미를 담기 위해서는 이모티콘이 최적이기 때문이다.
이모티콘에도 시대별로 약간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1세대인 삐삐시대에는 8282(빨리빨리 와, 긴급해), 58486(오빠 사랑해), 1010235(열렬히 사모해)등 숫자를 이용해 비교적 단순한 의사를 전달했다. 제 2세대인 PC통신세대는 컴퓨터 자판상의 특수문자를 활용하여 @@(놀란표정), ㅡㅡ;;(난감해 땀흘리는 표정),ㅡㅡ+(화난표정)등 표현하고자했다. 제3세대라 할 수 있는 이동전화세대, 즉 요즘의 청소년들은 한걸음 더 나아가 각종 특수기호를 자유자재로 이용하여 독특한 사이버 상형문자를 만들어냈다. ((00)) (돼지), Vm~(여우), %%%%%(닭살 돗는다), >)))><(((<(키싱구라미) S2(하트표시) 등 이 뿐만 아니라 동영상 세대답게 움직이는 모습까지 놓치지 않는다.
(3) 외계어
통신어체가 단순히 쓰기의 편함과 빠름을 추구해 탄생한거라면, 외계어는 그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무언가 남과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찾던 청소년들은 한글에 이상한 문자를 섞어 쓰기 시작했다. 그것이 점점 발전하여 지금에 이르러서는 남과의 대화도 단절될 정도로 심하게 한글이 파괴되기에 이르렀다. 즉, 통신어체가 빠름을 추구하긴 해도 한글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데 반해서 외계어는 한글의 원형이 유지가 안 될 정도로 심각하게 언어를 파괴하고 있다. 이런 것들이 통칭 \'외계어\' 인 것이다.
참고) 즐=KIN , OTL(좌절하는 모습),
추천자료
학교사회사업(약물 중독 청소년 개별 사례에 따른 개입과 프로그램)
아동, 청소년 자원봉사
프로포절(한부모가정청소년의 심리 정서적 문제를 치유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기위한 ...
청소년문화 [사회과학]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의의
사회복지조사론 -청소년흡연에 관한 연구조사
방통대 2012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대중영화의 이해 D형 - 교재에 소개된 네오리얼리즘 사조...
해외 청소년교육 개관 및 사례 (일본, 핀란드, 미국, 영국)
현 한국사회에서의 청소년문제의 실태를 밝히고 그에 대한 관련법을 제시하면서 실제적인 개...
광주 북구 청소년수련관 방문보고서
절대 빈곤가구 청소년들의 자기성장을 위한 심리극&#8228; 사회극 프로그램
[2016년 여성교육론] 다음 추천서적 가운데 한권을 읽고 1) 감명 깊은 구절 5개 인용 2) 인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