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슬리와 자연철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웨슬리와 자연철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는 말

Ⅱ. 본론
1. 신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한 입장들
2. 웨슬리 시대의 철학배경
------------1) 합리주의(이신론)
------------2) 영국경험론
3. 웨슬리의 성장배경(초기학업을 중심으로)
4. 웨슬리의 자연철학에 대한 인식의 이해
------------1) 저서를 통한 인식
--------------①원조의학
--------------②자연철학개론
------------2) 설교를 통한 세계관
5. 웨슬리와 허친슨의 입장 차이
6. 웨슬리의 자연철학에 대한 해석과 평가
-----------1) 웨슬리 신학형성의 역사적 배경
-----------2) 웨슬리의 자연철학에 대한 해석과 평가
------------(1) 과학주의자? 반(反)과학주의자?
--------------(2) 웨슬리의 과학과 신학의 관계
7. 창조론과 진화론의 시도
------------1) 창조론 VS 진화론
------------2) 웨슬리의 입장

Ⅲ. 결론

본문내용

힘의 방향과 같다.” - 작용 반작용의 법칙(제 3법칙) : “두 물체가 서로 힘을 미치고 있을 때 두 물체의 상호작용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를 말한다.)을 즐겨 공부했고, 뉴턴에 의해 제시된 새로운 세계관에 깊은 매력을 느꼈을 정도로 변화하는 세계에 대해서 무척 민감했다. 물론 웨슬리가 전문적인 과학자는 아니었기에 직접적인 실험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과학현상에 대해 능동적인 관찰과 설명을 시도하였다. 특히 성서적인 지식, 교육과 신유를 강조하는 그의 목회에서는 이 지식을 적극 활용하였다. 웨슬리에게 있어서 최대의 관심은 결국 복음의 선포와 죄의 고통에서 백성을 해방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웨슬리에게 있어 과학은 성서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되고, 의학적인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창훈, “John Wesley의 자연철학의 현대적 이해:환경 그리고 인간” 「한국교회사학회지」22(2009)
웨슬리는 조지아 선교를 하며 스스로 약을 나누어주기도 하고, 간단한 병은 치료도 했다. 어떤 병은 약사의 조언을 구하기도 했으며, 능숙한 의사처럼 중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전문의에게 의뢰하기도 했다. 결국 그는 1747년 『원조의학』(Primitive Physick: or, An Easy and Natural Method of Curing Most Diseases)을 발간하면서, 적당한 영양섭취, 위생, 치료, 그리고 병자의 돌보는 일들을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했다. 당시 의사들이 너무나 기술적이고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했던 것에 비해, 웨슬리는 인간 경험과 상식을 모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평이한 건강백서를 만들었던 것이다. 박창훈 “존 웨슬리의 기독교 경제관” 성결교회역사연구소 『환태평양시대의 웨슬리안 성결운동』(부천: 서울신학대학교, 2006) p241
여기서 웨슬리는 모든 질병이 타락과 하나님에 대한 반역에서 유래되었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으므로, 생사의 권한 즉, 무덤에도 집어넣으시고 일으키기도 하시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라고 설득했다. 박창훈, “John Wesley의 자연철학의 현대적 이해:환경 그리고 인간” 「한국교회사학회지」22(2009)
원조의학을 발간하게 된 계기에 대해 터틀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웨슬리는 비정상적인 죽음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차터하우스는 소년들을 위한 학교라는 사실을 떠나서 노인들을 위한 요양소였다. 그는 죽음을 목격하는 일에 점점 익숙해져 갔다. 그러던 중 셰인(Cheyne)박사의 『건강과 장수의 책』(Book of Health and Long Life)을 발견했는데, 그의 조언을 즉시 실행에 옮겼다. 웨슬리는 1725년 출판된 이 책의 네 번째 판을 읽고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것에 대해 언급했다. Letters, Vol. I, p11을 참조하라. Robert G. Tuttle, p63 재인용
웨슬리는 그 외에도 의약(醫藥)에 대한 관심을 발전시켰는데, 1747년에 발간된 『기초 의학서(원조의학):또는 제 질병의 치유에 대한 간편하고 자연적인 방법』을 펴내기에 이르렀다 Robert G. Tuttle, p63
는 것이다.
② 자연철학개론(A Survey of the Wisdom of God in the Creation)
당시에 새롭게 풍미하게 된 과학지식으로 인해, 전통적인 신학자들은 과학과 신학의 조화를 이루려고 시도하였다. 조화를 이루려는 의도에서 웨슬리는 자연과 하나님에 대한 당시의 과학 이론서들에 만족할 수 없어 이성덕 박사는 웨슬리가 과학을 일반인들이 알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신의 신학적인 관점에서 선택한 당시의 여러 학자들의 책을 요약하여 출판하였다고 말한다. 이성덕, “존 웨슬리와 과학:뉴턴에 대한 그의 견해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20 (2007) p213 참조하라.
, 스스로 『자연철학개론』(A Survey of the Wisdom of God in the Creation: or a Compendium of Natural Philosophy)을 쓰기 시작했다. 웨슬리는 이 책을 1758년부터 쓰기 시작하여, 1763년 첫 두 권을 출판했으며, 1770년(3권), 1777년(5권), 그리고 1784년 4번의 편집을 하면서 그 분량은 점차 늘어났다. 각 5권은 1권 인간에 관하여, 2권 짐승에 관하여, 3권 식물과 화석에 관하여, 4권 흙, 물, 불, 공기 그리고 유성에 관하여, 5권 세계, 천체, 자연계의 속성과 원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슬리는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자신의 『자연철학개론』의 집필 의도를 밝히고 있다: 박창훈, “John Wesley의 자연철학의 현대적 이해:환경 그리고 인간” 「한국교회사학회지」22(2009)
나는 오랫동안 다음과 같은 자연철학개론을 보기 원했다. 너무 산만하거나 너무 많은 말로 설명하지 않고, 적당한 범주 내에서 이루어져서 시간으로나 재정적으로 큰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 것; 부족하거나 불완전하지 않아, 땅과 하늘 어느 쪽에 관해서도 확실하게 알려진 주제들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다음과 같은 것을 보기 원했는데, 사물의 본질이 드러내는 가장 평이한 형식으로, 가장 명확하고도 쉽고 지적인 방법으로, 단순하고도 솔직하게 표현되어, 특히 평범한 독자들에게 이교적 헬라어와 같이 들리는 수학의 전문어로부터 벗어난 것. 동시에 나는 그 목적에 맞게, 보이는 창조물에 대한 이러한 짧고, 풍성하며, 평이한 설명을 보고 싶었다. 단순히 게으르고 쓸모없는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부분(things), 그분의 능력, 지혜, 그리고 선함을 보이기 위해서 Ibid. 재인용
이 서문을 통해서 말하는 것은, “게으르고 쓸모없는 호기심을 채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부분, 그 분의 능력, 지혜, 그리고 선함”을 보이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Ibid.
그리고 이 뿐 아니라, 웨슬리의 다른 글을 보면 자신의 『자연철학개론』에 대한 의도를 알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일이 우리에게 안주할 수는 없지만, 또 다른 전망을 펼쳐 보이지 않는가? 하나님의 지혜를 드러내는 창조에 대한 이 같은 관찰이 끔찍한 무지와 인간의 근시안을 드러내지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3.30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