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의기술 및 수영과건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영의기술 및 수영과건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수영의기술
- 자유형
- 배영
- 접영
- 평영
- 스타트
- 턴

2.수영과건강

본문내용

지는 관계로 중심이 앞에 자리잡게 된다. 프렛트
영법은 일본의 다구찌 선수의 포옴이 모델이며, 씨 호스 영법의 모델 케이스는 T.콜킨스, D.윌키 선수 등이다. 미래에는 위의 두 가지 영법을 혼합한, 즉 좋은 점만 따서 만들어진
새로운 영법이 고안될 것이다. 기본적인 자세에는 일반적 영법의 경우 머리를 수면 상에 내어놓고 수영을 하므로 발의 깊이가 가라앉게 되어 나아갈 방향에 상당한 저항이 따르
므로 머리의 위치를 낮게 할 필요가 있고, 반면에 경기용 영법의 경우에는 머리를 수면 위에 내어놓은 시간만큼 불리한 자세이므로 머리를 들고 있는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하는데 필요한 연구를 해야 한다.

팔 동작
평영에서의 팔은 심장 모양의 타원형을 그리면서 움직이는데, 다리동작에 의하여 추진
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 중에는 양손을 모아 쭉 뻗으면서 전진하고, 다리동작에 의한
추진력이 소멸되면 호흡을 위해 물을 누른다. 팔동작에 있어서 양손을 너무 넓게 벌린다던
가, 팔꿈치를 너무 몸쪽으로 당긴다거나, 팔꿈치를 내린 상태에서 물을 끌어당길 경우에
는 추진력이 약화된다. 평영의 팔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바깥으로 밀기(outsweep)
수면에 뜬 상태에서 손바닥을 아래를 향하게 한 다음 서서히 팔을 바깥쪽으로 벌리면서
손 바닥도 바깥쪽으로 향한다. 바깥으로 밀기는 추진력을 위한 동작이 아니며 호흡을
하기 위해 상체를 물위로 약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동작이다.
② 잡기(catch)
팔이 어깨너비보다 넓어지고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 후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팔을 밀기 시작한다. 잡기는 팔꿈치를 든 상태에서 실시하고 손바닥은 뒤를 향하게
한다.
③ 잡아당기기(insweep)
잡기 후 턱 아래로 손바닥을 가져올 때까지 손바닥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또 위쪽으
로 돌이면서 팔꿈치를 천천히 굽힌다. 힘 있게 원을 그리듯이 물을 젓는다.
④ 되돌리기(recovery)
손바닥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뒤집으면서 양손을 내민다. 좌우의 손바닥을 가지런히
하고 몸 앞쪽으로 팔을 내밀어 유선형을 만든다.

다리 동작
평영의 다리동작에는 개구리 차기와 휘돌려 차기가 있는데 개구리 차기는 휘돌려 차기 다리동작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선수들은 휘돌려 차기를 선호한다. 평영의 휘돌려 차기 다리동작은 크게 다리를 굽히는 동작과 물을 뒤로 차는 동작으로 나뉠 수 있다.
① 잡기(catch)
발을 엉덩이 쪽으로 당길 때 발끝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고 무릎은 붙이며 다리는
어깨너비보다 넓게 벌린다.
②차기(insweep)
발바닥을 뒤쪽, 아래쪽, 안쪽으로 차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킥의 마지막 동작은
다리를 펴고 엄지발가락을 합치며 발끝을 쭉 편다.
③ 되돌리기(recovery)
다리의 차기 동작이 끝나면 저항을 줄이기 위해 양쪽 다리를 수평이 될 때까지 들어
올린다. 그 후 무릎을 굽히고 발뒤꿈치를 엉덩이 쪽으로 당기면서 준비동작으로 들어간다. 이때 허리를 약간 굽혀 물의 저항을 작게 한다.

호흡
평영에서는 양팔을 1회 당길 때마다 1회 호흡해야한다. 호흡은 들이마시기와 내쉬기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들이마시기는 양팔로 물을 끌어당겨 가슴이 젖혀져서 상체가 물밖으로 올라온 후 얼굴을 내밀고 \'파\'하는 소리와 함께 크게 들이 마신다. 내쉬기는 얼굴이
수중으로 들어가고 팔을 앞으로 뻗으면서부터 물을 끌어당기기까지 천천히 \'음\'하는
소리를 내면서 천천히 코와 입으로 숨을 내쉰다.
4. 접영
접영은 전신을 펴서 수면에 엎드린 자세로 떠서 자유형과 같은 팔, 다리의 동작을 좌
·우 손발을 동시에 그리고 몸통의 율동까지 섞어서 한번 젓고, 한번 차낼 때마다 강
한 추진력을 내어 전진하는 영법이며 자유형 다음으로 속도가 빠른 영법이다. 4가
지 영법 중에서 가장 새로운 영법이며 본래 평영의 기록 경신을 위하여 고안된
영법이었다. 1952년부터 평영과 분리되어 정식으로 1개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그 뒤
다리동작으로 4돌핀킥이 쓰여지고 두팔로 1회 물을 저을 때마다 1회 킥하는
영법에서 킥을 2회하는 2비트 영법으로 발전했다. 현재도 이 두가지가 함께 쓰여지고
있다. 이 같은 평영으로부터 파생된 영법이므로 규칙은 평영과 거의 같지만 헤엄의
특성은 자유형과 흡사하다.

팔 동작
양 팔을 동시에 대칭으로 움직이는 점을 제외하고는 물 위로 되돌려 물을 누르고
젓는 동작은 크롤과 비슷하다.
① 입수(entry)
어깨 너비 또는 어깨 너비보다 조금 바깥쪽으로 하여 엄지손가락부터 입수한다.
팔은 곧게 뻗은 상태에서 손바닥을 바깥쪽으로 향한다.
② 내리기(outsweep)
입수 후 양손은 팔이 뒤쪽으로 향할 때까지 바깥쪽으로 향한다. 이때 손바닥은 바깥
쪽으로 향하게 하는데 내리기는 추진력을 얻기 위한 전 단계로 힘을 주지 말고 천천
히 팔을 뻗으면서 물을 잡아 당길 준비를 한다. 손바닥이 아래쪽을 향할 경우에는
물을 아래로 밀어 몸이 수면 위로 올라와 추진력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③ 잡기(catch)
물을 잡는 동작은 팔이 외측으로의 움직임을 끝내고 물을 당기기 위해 내측으로 막
움직일 때 시작한다. 이 때 팔꿈치는 든 상태에서 손바닥을 뒤로 향하게 해야 한다.
④ 잡아당기기(insweep)
팔은 양손이 몸 허리부분에 올 때까지 아래쪽, 안쪽을 향하여 물을 젓는다.
팔꿈치는 천천히 구부려 약 90°정도가 되게 하는데 손바닥은 몸 안으로 하여 위쪽을
향하게 한다.
⑤ 들어올리기(upsweep)
팔을 바깥쪽, 뒤쪽, 위쪽으로 향하게 하면서 물을 젓는다. 팔꿈치는 천천히 펴고 손바
닥을 바깥쪽에서 뒤로 돌린다.
⑥ 빼기(release)
팔을 어깨에서부터 엉덩이까지 밀어서 젓히고 엉덩이 관절 바로 뒤에 있던 손은 물
수면을 향해 손바닥의 날을 세워 빼낸다. 위로 빠져 나올 때에는 물의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 손바닥을 안쪽으로 하여 새끼손가락부터 빠져 나온다.
⑦ 되돌리기(recovery)
어깨부분이 팔꿈치나 손보다 먼저 수면 위로 나와야 한다. 물에서 빼낸 팔은 수면
위를 낮게 옆으로 휘돌려서 앞으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3.31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