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역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영역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반적인 수영역학
1. 동작의 연속성
2.리커버리할 때에 쉬는 근육
3, 힘을 고루 분배함
4. 관절의 적절한 각도와 지렛대의 역할 응용

1. 몸을 유선형화 하라
2. 추진력에 도움이 안되는 시간을 줄인다
3.가능하면 일정한 스피드를 유지한다.
4.역 회전에 의해 보다 넓은 면적이 물과 마찰되는 것을 피하라.

본문내용

전면이 수면(물)과 접촉 함으로서 전면을 향하는 데에 많은 저항력이 발생 한다. 평영 경기에서는 \"whip kick\"을 이용한다. 즉 파이프를 통과하는 수영을 한다는 의미의 좁은 영법을 말한다. 양손의 recovery를 가능하면 좁은 터널을 통과한다는 느낌으로 해서 저항력을 줄이고, 신체 뒤 방향으로의 後流를 생성시킬 수 있다. 배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잘못은 히프를 구부려 세우고 머리를 숙여 굽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신체가 유선형으로 되지 못한다. 즉 신체 혹은 다리가 각도를 이루므로 저항력을 유발시킨다. 유선형을 잘 이루려면 머리를 펴고 히프를 올려야 한다. 자유형이나 접영에서 손이 입수시에 저항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섯째 손가락을 가장 위로 해서 입수하게 하는 것이다. 즉 손바닥이 수면을 마주보도록 해서 입수하는 것이 아니라 손바닥이 몸의 바깥쪽을 보도록 해서 입수하는 것이다. Cooper와 Blanksby 등은 접영에서 recovery시에는 팔을 굽힘으로서 손이 올바르게 입수하게 할 수 있다고 말한다. 2. 추진력에 도움이 안되는 시간을 줄인다.
추진력이 저항력보다 작을 경우는 drag효과로 속도가 뚝 떨어진다. 따라서 이 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자유형에서는 반쪽 팔이 물을 긁는 pulling동작동안 다른 팔은 recovery 상태에 있으므로 이런 추진력에 도움이 안 되는 시간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영에서는 양팔이 동시에 움직이므로 양팔에 의해서 추진력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분명한 시간이 생긴다. 이것이 바로 자유형이 접영보다 더 빠르고 덜 피곤한 주된 이유이다. 이와 유사한 문제점은 평영에서도 볼 수 있다. stroke를 짧게 하므로 recovery 시간을 최소화하고 따라서 recovery시의 속도의 감속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pull과 kick 동작에 의한 추진력이 동시적으로 일어난다. 이것이 추진력에 도움이 안 되는 시간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Mason, Patton, Newton 등은 뛰어난 수영선수들은평영에서 제3의 추진력 유발시키기를 가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가적인 추진국면을 가짐으로써 덜 숙련된 사람들에 비해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유사하게Mason,Tong, Richards 등은 뛰어난 접영선수들은 접영 stroke 주기동안 4번을 특이하게 가속화함으로써 가속시기를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고 하였다. 접영에서 팔을 굽혀서 recovery를 하여 팔의 관성을 줄임으로써 추진력에 도움이 안 되는 기간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이렇게 팔을 평 것에 비해서 근력의 소모가 덜하다. 그러나 몸통을 너무 굽히면(tilt 시키면) 그에 따라 drag 힘이 생기므로, 유연한 어깨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3.가능하면 일정한 스피드를 유지한다.
일정한 스피드를 유지한다는 원리는 위에서 언급한 원리들과 관계가 있다. 어떤 평균적인 스피드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 평균에서 크게 벗어나는 스피드를 만들어 내는 운동동작은 가능한 한 평균적인 스피드를 유지하는 운동동작에 비해 생리학적으로 부담이 훨씬 더 크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최대의 스피드를 내는데 드는 신체 대사량은 너무 높다는 것이고, 둘째는 평균속도 이하의 기간을 보상하기 위한 최대한의 스피드는 대개 평균스피드를 초과하게 된다는 것이다. 대개 저항력은 속도의 제곱승에 비례하는데 이렇게 큰 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큰 추진력이 필요하게 되고 신체 대사량은 엄청 증가하게 된다. 뛰어난 평영선수들은 일반인에 비해 그들의 스피드를 더욱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숙한 사람들은 반면에 다리가 recovery시에는 거의 멈춰 버리는 경향이 있으며, 뛰어난 선수들은 계속 전진함으로서 이러한 멈칫하는 동작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접영에서는 정확한 타이밍을 가지므로 확실한 가속기를 나타내면서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데 일조를 한다. 가속기는 팔이 입수할 때킥 동작이 팔의 바깥쪽 및 아래쪽으로 쓸어 내는 동작(out-sweep &down sweep), 그리고 양쪽 및 위쪽으로의 sweep시, 그리고 두 번째 킥을 하면서 행하는 뒤쪽으로의 sweep시에 가속이 된다. 초보자들의 접영을 보면 특징적으로 jerky한 동작(동작이 순간순간 갑작스러운)을 볼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가속시기 다음 속도가 확 줄면서 몸이 가라앉는 현상을 말한다. 이런 사람들은 가속기에 많은 힘을 쏟게 되므로 곧 지치게 된다. 접영에서는 recovery시에 신체의 일직선을 잘 유지 함으로서 추진력에 도움이 안 되는 non-propulsion 기간동안의 스피드 감소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킥을 함으로서 히프와 다리를 띄울 수 있고 따라서 물을 미는 전 면적을 줄일 수 있다. 4.역 회전에 의해 보다 넓은 면적이 물과 마찰되는 것을 피하라.
신체 일부분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신체 다른 부위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관절에 대해 작용하는 비꼬는 힘에 대한 반작용 때문이다. 예를 들면 자유형에서 한쪽 팔을 너무 바깥쪽으로 recovery 시키면 몸이 신체의 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신체 측면이 물에 대해 저항을 받으므로 저항력이 증가하게 된다.(그림1) recovery시 팔을 가능하면 신체에 붙여서 운동시키므로 신체의 장축을 가능하면 작게 하면서 팔을 몸통에 붙여서 recovery하기 위해서는 어깨의 유연성이 매우 중요하다. 어깨가 유연하지 못하면 넓은 recovery를 함으로서 생기는 회전효과를 상쇄시키기 위해 kick을 crossover로 하는 경향이 있다. 같은 원리를 배영시의 pull동작에 적용시킬 수 있다. 만약 pull 동작의 손 운동이 몸통에서 너무 바깥쪽으로 나가게 되면 신체가 회전하면서 저항성 drag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손이 몸의 중앙선에 가까이 pull 동작을 하려면 약간의 롤링이 중요하다. 또한 팔꿈치를 굽혀서 손과 전박부가 신체 중심부에 되도록 밀접하도록 한다.roll하면 다리가 서로 각도지게 되므로 kick을 해주므로 손과 전박부의 힘에 의해 생긴 회전효과를 상쇄시킨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6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