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실환자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회복실환자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취로부터의 각성 (awakening)

2. 환자의 운반(transporting the patient)

3. 회복실의 입실 및 퇴실

4. 회복실에서 일어나는 문제들

5. 회복실 환자관리의 원칙

6. 회복실의 구조와 시설

본문내용

atropine의 gkdmuscarine성 작용시간보다 길어서 서백이 발생할 수 있다.
-심실조기수축, 심방조기수축 : 대사성 또는 관류상의 문제가 원인일 경우가 많다. 이뇨제 과다사용시 저칼류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산소투여, lidocaine 1.0-1.5mg/kg IV
④ 허혈성 심장 질환
-심근의 산소공급과 소모량의 불균형으로 심근허혈과 심근 경색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한 연구에서 회복실환자의 30-40%에서 협심증증상을 호소한다고 보고했고, 회복시 혈중 catecholamine 치 증가에 따른 혈압 변화와 맥박 변화는 이런 불균형을 심각하게 한다.
4) 비뇨계통의 합병증
-감뇨증, 혈뇨, 뇨축적, 경 요도전립샘 절제술 증후군
-술후 신기능 부전은 술후 사망의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급성요세관괴사(acute tubular necrosis/ ATN)환자의 사망률은 아직도 50%이상이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감뇨증(oliguria ; 0.5ml/kg/hr)원인-저혈량증, 저혈압, 심장수술 및 대혈관수술, 노인의 장시간수술, 심한 외상환자, 패혈증환자, 기존의 신기능 저하환자, 수술과 마취 스트레스에 따른 항이뇨호르몬 증가도 원인이다.
요카테터 유지(꺽여있는지 막혀있는지)와 수액투여와 배액량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혈뇨(hematuris)원인 : 수술에 의한 비뇨계손상, 요카테타에 의한 요도손상, 술중에 투여된 혈액제제의 수혈반응
혈뇨가 수혈반응 때문이라면 우선 충분한 수액투여와 함께 mannitol 12.5-50g IV, furosemide 20-40mg IV 하여 75ml/hr이상의 요량을 유지한다.
-급성뇨축적(acute urinary retention) : 비뇨생식계나 골반수술시 나타나며 atropine과같은 부교감 신경억제제는 부분적으로 방광근육긴장도를 억제시켜 술후 요저류의 원인이 된다.
-경 요도전립샘절제술 증후군(TURP syndrome) : TURP를 시행할 때 압력이 높은 세척액이 혈관내로 다량 유입시에 저나트륨혈증을 일으키고 수분중독을 일으켜 발생한다. 수술시 세척통을 너무 높이지 말고, 수술이 90분이상 길거나 조직손상이 클 때 나타난다. 증세는 순환 과혈량증에 따른 혈압상승과 서맥, 어지러움, 불안, 헛소리, 전해질 불균형, 폐부종, 뇌부종에 따른 청색증 호흡곤란, 두통, 경련, 혼수까지 일으킬수 있다.
산소를 투여하고 수액량을 제한해 주고 경련을 진정시켜준다.
5) 흥분, 소란
-각성기 흥분의 원인 : 통증, 기도폐쇄, 저산소증, 저혈압, 방광팽창, 근육이완제의 불완전한 반전, 불편한 수술체위로 오랫동안 지속된 경우, 수술결과에 따른 공포, 드물게 alcohol이나 다른약물의 금단증상이다.
-증세로 지남력 상실, 엉뚱한 말, 불안, 심한 몸부림 등
-치료는 진통, 충분한 환기, 혈압유지, 방광이나 위팽창의 원인제거, meperidine 10mg IV, 체위변경 등이 있다.
6) 통증
-통증의 원인 : 수술에 따른 외과적인 자극 외에 국소적인 근육경련, 드레싱이나 석고붕대내의 부종, 방광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05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6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