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기업개요
1) 연혁
2) 선정동기 및 기업소개
3) 비전
2. LG의 현재 경영전략
3. 시장분석
4.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2) 내부환경분석
5. SWOT분석
6. 해외진출전략
Ⅲ. 결 론
1. 조원토의를 통한 문제점과 대안 도출
2. 향후 LG전자가 나가야할 방향
※ 참고문헌
Ⅱ. 본 론
1. 기업개요
1) 연혁
2) 선정동기 및 기업소개
3) 비전
2. LG의 현재 경영전략
3. 시장분석
4.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2) 내부환경분석
5. SWOT분석
6. 해외진출전략
Ⅲ. 결 론
1. 조원토의를 통한 문제점과 대안 도출
2. 향후 LG전자가 나가야할 방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이 예상되고 있고, 일본도 2% 미만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은 긴축정책에도 불구하고 적정수준의 고정투자가 계속되고 있어 2004년에 근접한 성장이 예상된다.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정보통신) 분야
정보통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4% 신장한 4조2,357억원의 매출을 올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특히, 이동 단말기는 전년 동기대비 37%의 성장률을 보인 GSM의 매출 증가 등에 힘입어 6% 성장한 3조6,94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다.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는 휴대폰, 위성방송수신기 등 주력 품목의 세계경쟁력 확보 및 세계적인 디지털제품 수요 기반 확대로 미국, 중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주요 제품의 한국시장 내 시장점유율
(단위 : %)
구분
\'05년 연간
\'04년 연간
\'03년 연간
C-TV
50.5
50.2
50.6
세탁기
56.0
57.5
57.2
냉장고
51.0
52.4
51.2
MWO
56.0
56.7
55.8
이동단말기
17.5
22.5
21.6
●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비율)
디지털어플라이언스
제품/상품 등
에어컨,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청소기,컴프레서, 모터, 마그네트론 등
가정용, 전기제품 및 핵심부품
58,529(24.62%)
디지털디스플레이
제품/상품 등
TV, Monitor, PDP Module, Video Tape 등
영상기기, PDP, TV용 모듈 등
51,211(21.54%)
디지털 미디어
제품/상품 등
Strorage Device, Audio, VCR, DVD, PC 등
멀티미디어제품, 음향기기, 영상녹화/재생기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정보기기 등
31,789(13.37%)
정보통신
제품/상품 등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시스템, 기간통신시스템, PBX, Key Phone, MLB,DSB 등
개인휴대통신용, 이동통신기기국, 통신망 구축 등
94,590(39.79%)
기타
1,623(0.68%)
합 계
237,742(100.00%)
4.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 산업의 특성
전자산업은 기술, 지식 및 노동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산업으로서 고도의 성장산업이자 국가의 중추산업으로서 산업용기기(유선 및 휴대 전화기, 개인 컴퓨터, 모니터, 플로피/하드 디스크 등), 가전기기(냉장고, 세탁기, TV, DVD/VCR 등), 반도체(집적회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그리고 일반부품(브라운관, PCB, LCD, 건전지 등) 4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 산업에 비해 지식·기술 집약도가 높으며 특히 컴퓨터, 정보통신, 멀티미디어 관련 제품 및 기술은 향후 전자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산업의 성장성
디지털 전자산업은 \'05년 원유가 상승 및 환율 하락 등 경영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6.3% 증가한 수출 실적을 보였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따른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 및 PDP, LCD로 대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매출 증가 등에 기인하였다. 지역별로는 미국이 환율의 하락 및 경쟁 심화 등으로 전년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가운데, 중국 수출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전자산업의 제1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06년 전자산업은 세계 IT경기의 견고한 성장, 월드컵 특수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세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WCDMA 및 DMB 등 신규 수요 창출에 따른 이동단말의 매출 증가 및 PDP 및 LCD를 중심으로 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매출이 중심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변동의 특성
전자산업도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국내/외적인 경기변동의 일반적 영향을 받으나 첨단 기술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변화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산업용기기와 반도체 및 일반부품은 첨단 기술의 개발 및 이의 상용화에 따라 상당기간 동안의 경기변동을 야기한다. 가전기기의 경우 고객의 요구변화에 맞물린 기술의 변화뿐 아니라 계절적 특성에 따라 일부 제품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수출의존도가 높은 전자산업은 해외시장의 경기변동에도 밀접한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국가전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한국시장의 경기변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 경쟁요소
핵심경쟁요소는 첨단 신기술 개발, 원가 및 생산성 혁신을 통한 가격 및 품질, 마케팅능력 우위이다. 반도체 및 LCD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자동차 및 선박 등 중공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나, 제품의 복합화 및 융합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대응력이 핵심경쟁요소로 부각되고 있고 또한 최근 저임금을 바탕으로 기술력을 높여가는 중국기업들의 급부상으로 전자업계의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 자원조달상의 특성
일부 첨단 제품에 대한 원천 특허 등을 제외하고는 해외 의존도가 높지 않으며 해외 자원 조달 비중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 중국 중심의 수요급증 및 투기자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주요 원자재인 철강, Resin, 비철금속의 가격인상 및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전자산업 육성·지원을 위하여 조세감면, 자금 지원 등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특히 신제품, 신기술 개발, 시설투자 등에 대한 다양한 정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는 범정부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발전전략을 \'04년부터 본격화하는 한편 디지털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는 데 앞장서 나가고 있다. 또한 핵심 전자부품·소재를 국산화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융합기술의 조기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를 위해 민간기업이 산업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해외 마케팅을 지원하고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체제 구축에도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신규진입자
제 3국에 위치한 동종 산업내의 중소 기업자
공급자
TV 제작에 필요한 각 부품제조업자와 유통업자
산업 내 경쟁
삼성, 대우 등의 국내업체 및 소니 등의 국외업체
구매자
20~30대의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정보통신) 분야
정보통신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4% 신장한 4조2,357억원의 매출을 올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고 특히, 이동 단말기는 전년 동기대비 37%의 성장률을 보인 GSM의 매출 증가 등에 힘입어 6% 성장한 3조6,947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다.
정보통신 및 산업용기기는 휴대폰, 위성방송수신기 등 주력 품목의 세계경쟁력 확보 및 세계적인 디지털제품 수요 기반 확대로 미국, 중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주요 제품의 한국시장 내 시장점유율
(단위 : %)
구분
\'05년 연간
\'04년 연간
\'03년 연간
C-TV
50.5
50.2
50.6
세탁기
56.0
57.5
57.2
냉장고
51.0
52.4
51.2
MWO
56.0
56.7
55.8
이동단말기
17.5
22.5
21.6
●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비율)
디지털어플라이언스
제품/상품 등
에어컨,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청소기,컴프레서, 모터, 마그네트론 등
가정용, 전기제품 및 핵심부품
58,529(24.62%)
디지털디스플레이
제품/상품 등
TV, Monitor, PDP Module, Video Tape 등
영상기기, PDP, TV용 모듈 등
51,211(21.54%)
디지털 미디어
제품/상품 등
Strorage Device, Audio, VCR, DVD, PC 등
멀티미디어제품, 음향기기, 영상녹화/재생기기, 개인용컴퓨터, 휴대용정보기기 등
31,789(13.37%)
정보통신
제품/상품 등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시스템, 기간통신시스템, PBX, Key Phone, MLB,DSB 등
개인휴대통신용, 이동통신기기국, 통신망 구축 등
94,590(39.79%)
기타
1,623(0.68%)
합 계
237,742(100.00%)
4. 환경분석
1) 외부환경분석
● 산업의 특성
전자산업은 기술, 지식 및 노동이 복합적으로 집약된 산업으로서 고도의 성장산업이자 국가의 중추산업으로서 산업용기기(유선 및 휴대 전화기, 개인 컴퓨터, 모니터, 플로피/하드 디스크 등), 가전기기(냉장고, 세탁기, TV, DVD/VCR 등), 반도체(집적회로,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 그리고 일반부품(브라운관, PCB, LCD, 건전지 등) 4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타 산업에 비해 지식·기술 집약도가 높으며 특히 컴퓨터, 정보통신, 멀티미디어 관련 제품 및 기술은 향후 전자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 산업의 성장성
디지털 전자산업은 \'05년 원유가 상승 및 환율 하락 등 경영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6.3% 증가한 수출 실적을 보였다. 이는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따른 프리미엄 제품 비중 확대 및 PDP, LCD로 대표되는 평판 디스플레이의 매출 증가 등에 기인하였다. 지역별로는 미국이 환율의 하락 및 경쟁 심화 등으로 전년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가운데, 중국 수출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며 전자산업의 제1 수출 대상국으로 부상하였다. 06년 전자산업은 세계 IT경기의 견고한 성장, 월드컵 특수 등으로 지속적인 성장세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특히 WCDMA 및 DMB 등 신규 수요 창출에 따른 이동단말의 매출 증가 및 PDP 및 LCD를 중심으로 한 평판 디스플레이의 매출이 중심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변동의 특성
전자산업도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국내/외적인 경기변동의 일반적 영향을 받으나 첨단 기술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변화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는다. 특히 산업용기기와 반도체 및 일반부품은 첨단 기술의 개발 및 이의 상용화에 따라 상당기간 동안의 경기변동을 야기한다. 가전기기의 경우 고객의 요구변화에 맞물린 기술의 변화뿐 아니라 계절적 특성에 따라 일부 제품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수출의존도가 높은 전자산업은 해외시장의 경기변동에도 밀접한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국가전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 한국시장의 경기변동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 경쟁요소
핵심경쟁요소는 첨단 신기술 개발, 원가 및 생산성 혁신을 통한 가격 및 품질, 마케팅능력 우위이다. 반도체 및 LCD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자동차 및 선박 등 중공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나, 제품의 복합화 및 융합화에 대한 고객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대한 대응력이 핵심경쟁요소로 부각되고 있고 또한 최근 저임금을 바탕으로 기술력을 높여가는 중국기업들의 급부상으로 전자업계의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 자원조달상의 특성
일부 첨단 제품에 대한 원천 특허 등을 제외하고는 해외 의존도가 높지 않으며 해외 자원 조달 비중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 중국 중심의 수요급증 및 투기자금 유입 등의 영향으로 주요 원자재인 철강, Resin, 비철금속의 가격인상 및 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전자산업 육성·지원을 위하여 조세감면, 자금 지원 등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특히 신제품, 신기술 개발, 시설투자 등에 대한 다양한 정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정부는 범정부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발전전략을 \'04년부터 본격화하는 한편 디지털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화를 선도하는 데 앞장서 나가고 있다. 또한 핵심 전자부품·소재를 국산화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융합기술의 조기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이를 위해 민간기업이 산업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해외 마케팅을 지원하고 나아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환경규제에 대한 대응체제 구축에도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신규진입자
제 3국에 위치한 동종 산업내의 중소 기업자
공급자
TV 제작에 필요한 각 부품제조업자와 유통업자
산업 내 경쟁
삼성, 대우 등의 국내업체 및 소니 등의 국외업체
구매자
20~30대의
추천자료
SM엔터테인먼트 해외시장진출전략(A+레포트)
현대자동차 국제마케팅 및 해외진출전략
해외시장진출전략
맥도날드의 해외진출전략과 성공요인분석
[경영]풀무원&풀무원 기업의 해외진출전략에관한 연구^-^
[마케팅]오뚜기마요네즈 마케팅전략 분석 및 해외진출전략
우리나라기업의해외진출전략
(주)동방플랜텍 해외진출전략 보고서
뽀로로 마케팅사례와 해외진출전략,향후전망과 나의의견 - 헬로키티와 비교분석
뚜레쥬르vs파리바게트 비교분석(마케팅,4P,SWOT,해외진출전략)
[일본차] 일본자동차 기업의 경영전략-해외시장진출
[일본차] 일본자동차 기업의 경영전략-해외시장진출.PPT자료
아모레퍼시픽(Amorepacific) - 아모레퍼시픽 기업경영분석과 아모레퍼시픽 해외진출전략 실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