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적용양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 적용양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 1

Ⅱ.본론
1)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 ………………………… 1
2)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 …………………… 3
3)일상속의 포스트모더니즘 ……………………………… 4
① 건축 ……………………………………………………………… 4
② 영화와 드라마…………………………………………………… 8
③ 미술 ………………………………………………………………10
(1). 팝 미술문학 ……………………………………………………10
(2). 비디오 예술 ……………………………………………………14

Ⅲ.결론 …………………………………………………………… 16

Ⅳ.참고문헌……………………………………………………… 17

본문내용

.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청하 . 1991. p.231
위의 작품들은 지금(2010년)에 비교하면 상당히 오래된 고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20년이 지난 오늘에 이러서는, 영화뿐만 아니라 드라마 심지어는 사극에까지 이르러 모든 것들이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 최근의 화제가 되었던 사극드라마『추노』를 보면, 고전 사극과 다른 양상들을 볼 수 있다. 항상 사극의 주체는 왕이었지만, 반대로 주체로 볼 것 없었던 노예로 삼고, 객체를 왕과 양반으로 변화시켜 포스트모던한 점을 확실히 보여준다.
③. 미술
미술계에서 포스트모던이란 말은 최초로 문학과 관련하여 이합 핫산에 의해 1971년 처음 사용되었고, 그것은 곧 사회과학, 심리학, 철학에서도 쓰였다. 시각예술에서는 찰스 젱크스가 1970년대의 건축 상황을 특징짓는 말로 처음 기용되었던 것이 미술 비평가들에 의해 픽업되어 미술에 적용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이란 일반적인 명칭 아래 전개되고 있는 1980년대의 미술계의 동향은 대체로 복고주의가 으뜸가는 특징으로 보이며 1970년대의 연장도 경시할 수 없는 요소다. 앞에서 잠시 언급했으나 이 동향을 정리해 보면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이 !) 신 표현주의로 1980년대 초에 미국. 이탈리아, 독일에서 거의 동시적으로 발생한 운동으로 복고적 요소가 특징이며 지역별로 좀 다르다. 2)일련의 <네오>가 접두어로 정의되는 동향들도 신 표현주의와 마찬가지로 복고적 경향을 띠고 있다. 네오 지오(신기하학), 네오팝(혹은 펑크미술)이 이에 속한다. 3)페미니즘 미술은 1970년대에 가장 전략적이고 액티비스트적인 미술로 루사 리파드가 대변인격인 비평가다. 4) 도용미술은 팝아트의 복제적 성격을 한층 부각시킨 미술경향으로 과거의 거장을 똑같이 복제하거나 또는 일종의 인스톨레이션 방법을 결합시켜 과거의 거장작품을 재해석하는 경향으로 나눌 수있다. 5) 프로젝트미술 또는 환경미술의 일환으로도 볼 수 있는 총제미술적 성격의, 미술이라기보다는 실험성이 강한 프로젝트가 작품의 주제켜 전시되는 것이 통례다. 다시말해 인스톨레이션으로 퍼포먼스의 장을 구성한 다음 작가의 퍼포먼스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퍼포먼스 직업을 인스톨레이션 방법과 결합시켜 변형한 경향이다. 7) 장식적 패턴 페인팅, 문자 그대로 패턴의 장식적 요소를 반복 병렬한 화면 조작으로 20세기 모더니즘의 거장인 마티스의 장식적 특징을 표방한 미술이다. 김욱동. 「포스트모더니즘과 예술」. 청하. 1991. p.225
여러 가지의 종류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양상을 띠고 있는 미술문학 중, 우리2조는 팝아트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예술작가 백남준의 작품에 대하여 조사해보았다.1
(1). 팝 미술문학
로이 리히텐슈타인과 앤디 워홀은 서로 독자적으로 똑같은 가승성에 도달하였다. 그들은 서로 판이하게 다른 전개과정을 보여준다. 리히텐슈타인의 팝이미지는 우아하게 마무리된 것이며, 적나라한 내용 밑에는 서구예술의 오랜 전통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적인 고안 위에 여러 가지 철학적인 사변을 함축하고 있다. 비평가들이 때때로 그를 가장 세련된 모더니즘 예술가들, 심지어 몬드리안 같은 추상작가들이나 1930년대의 기하주의자들과 연결 짓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저속함과 괴팍스러움을 함께 보여주는 워홀은 재스퍼 존스의 아이러닉한 거리감을 보여준다. 워홀이 물론 거리를 지니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아이러니를 워홀과 그 이미지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무모한 짓이다. 그가 자신과 자신의 예술은 모두 표면뿐이며, 그 뒤에 어떤 것도 숨기지 있지 않다고 이야기한 것은 정확한 말이다. 실제로 워홀의 예술은 완전한 무(無)밖에 암시하지 않는다. 이것이 진짜이든 거짓이든 우리가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로이 리히텐슈타인이 훌륭한 취향과 고상한 스타일에 대한 변형된 형태를 보여준다면 워홀은 자신의 이미지 작업을 발전시키는 데 있어 오히려 이러한 회화적인 세련됨을 피하려고 하였다는 점이다.
앤디 워홀의 수프 깡통과 클레스 올덴버그의 햄버거,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만화 그림과 제임스 로젠키스트의 조롱기 섞인 광고 게시판-이러한 팝 아트의 이미지는 미국 소비문화의 방대하고도 공허한 공간으로부터 심각한 고급 미학의 영역으로 단숨에 뛰어올랐다. 이에 대해 예술계의 많은 사람들이 경악한 것은 물론이다. 심각한 회화와 조각이 햄버거 상점과 도색잡지,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는 엄청난 광고와 영화, 텔레비전으로부터 도피처를 구하게 된 것이다. 팝 아트가 1960년대초, 처음으로 등장했을 대 추상표현주의 제2세대는 월렙 드 쿠닝, 잭슨 폴록, 바네트 뉴먼등이 장악하고 있던 미학적 정점에 일대 반격을 가하면서 활기를 띠고 있었다. 팝 아트는 이러한 예술가들의 희망과 가치, 그리고 이들이 수호자고자 하던 예술 전통에 대한 하나의 모욕으로 간주되었다.
앤디 워올이 딕 트레이시 만화 이미지를 감히 예술 작품으로 제시하는 것 자체부터가 불쾌한 일이었다. 보다 심각한 것은 『아트 뉴스』의 스웬슨과 미술사가 이면서 동시에 비평가이기도 한 로버트 로젠블럼같은 몇몇의 비평가들이 이러한 그림들은 진지하게 받아들이려고 한다는 점이다. 팝 아트에 동조하는 예술가들이 놀라운 속도로 불어나는 것도 심각한 우려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야심적인 예술 작품에서 일상적이고 진부한 이미지를 발견하기란 그다지 어렵지 않은 일이었으며, 오히려 주관적인 내면을 표현한 추상표현주의가 한물 간 것처럼 보이게 되었다. 1960년대의 가장 세련된 비구상적인 작품은 비평가들이 미니멀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차갑고 딱딱한 외곽을 지니는 것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팝 아트와 상반된 성격을 지닌 미니멀은 차갑고 비개성적 외양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팝 아트와 동일하다. 1965년 워홀은 자신을 ‘은퇴한 화가’로 지칭하면서 대신 영화제작에 헌신하겠다고 선언한다. 수프 깡통과 브릴로 상자 조각에 환호하던 관객을 외면하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결정은 매우 기이한 일로 여겨졌다 : 헐리우드 영화에 대한 패러디로 발전한 워홀의 영화는 일정한 논리에 의해 지배되고 있었다-브리지드 폴크, 에디 시그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0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