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체험학습 및 수학여행 안내서 작성하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장체험학습 및 수학여행 안내서 작성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산도에서 여수까지 300리의 아름다운 뱃길

우리들의 여행

한. 이렇게 떠나요........................................p.2

려. e-세상으로 미리 만나보세요.................p.4

해. 체험학습 프로그램 이렇게 구성됩니다...p.5

상. 소중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문화유산...p.11

국. 알고 떠나는 여행은 재미있다...............p.18

립. 지켜야 할 행동 수칙.............................p.18

공. 지도교사 유의 사항...............................p.19

원. 현장 체험학습 비용...............................p.19

본문내용

모든 전시작들은 모두 국내 유명 조각가의 작품으로, 자연과 어우러져 그 예술적 가치를 더욱 발하고 있다.
외도의 전경과 푸른 바다의 모습이 한눈에 훤히 보이는 제 2전망대와 편벽방풍림을 테피스트리로 잘 짜 놓은 천국의 계단이 눈에 들어온다.
그 계단 사이로 여러 가지 꽃들과 나무들이 주제별로 짜여져 있어 천국으로 올라가는 듯한 느낌을 준다. 또한 내려오는 길에 수백년 된 후박나무 약수터가 있어 여행객의 목을 시원하고 축여준다.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2) 학동, 몽돌이야기 - 학동 몽돌 해수욕장
① 몽돌의 생성과정
② 몽돌 구르는 소리 듣기
③ 몽돌 쌓기 체험
④ 바다 생태 이야기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3) 멀지 않은 과거로의 여행
전쟁, 그리고 포로의 체험 - 거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거제 포로수용소는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에 의한 포로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1951년 2월부터 고현, 수월 지구를 중심으로 설치되었습니다. 1951년 6월 말까지 인민군 포로 15만, 중공군 포로 2만 명, 등 최대 17만 3천 명의 포로를 수용하였으며 그 중에는 300명의 여자 포로도 있었습니다.
① 6. 25 전쟁 이야기.
② 포로수용소 등장배경에 대해서...
③ 포로들의 하루일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④ 휴전회담과 포로의 갈등.
⑤ 돗드 준장 납치사건에 대해서...
⑥ 우리들의 소원, 통일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4) 이순신장군의 숨결을 느껴지는 한산도 - 제승당
이곳은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한산대첩의 유서
깊은 곳이다.
또한 선조26년~30년(1593~1597년)까지 수군의 본영으로 삼아
재해권을 장악하고 국난을 극복한 중심지이기도 하다.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은 한산면 두억리 제승당 일원의 104필지(600
,461㎡)181,640평에 조성된 지상건물, 각종 비석, 동산문화재, 광장,
조경물 등과 풍치림야를 통칭한다.
정유재란 때 원균의 패전으로 한산진영이 불타버리고 폐허가 된지
142년만인 영조15년(1739년) 조경(趙儆) 제107대 통제사가 이곳에
유허비를 세우면서 운주당(運籌堂) 옛터에 집을 짓고「 制勝堂(제승
당) 」 이라는 친필 현판을 걸었다.
그 후 여러번 중수가 있어 오다가 1975년 경역을 확장하고 보수하여
오늘의 모습으로 정화하였다.
이 유적지에는 충무사(忠武祠), 제승당(制勝堂), 수루(戍樓), 한산정(閑
山亭) 등 당우(堂宇)를 비롯, 수려한 경관과 더불어 당시 조선 수군
본영의 모습을 되찾아 볼 수 있다.
① 난중일기에 대해서...
②거북선은 어떻게 만들어졌나요?
③임진왜란 때 호남 곡창지대를 보호할 수 있었던 이유는?
④ 국궁과 양궁의 차이점은?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5) 생명의 땅, 갯벌 - 이락사 주변 갯벌
① 한려해상국립공원 이해하기
②달과 태양의 힘 겨루기... 갯벌이 만들어집니다.
③햇빛과 적을 피해 숨어 있어요... 암반 옆, 갯벌 속
④생물 관찰 고둥 껍질이 보금자리죠... 집게 관찰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6) 자연의 조각품 금산 ‘38경’
금산의 야생화 기행 - 남해 금산, 보리암
① 기도도량 보리암... 사찰 속 우리 문화 이해하기
②아름다운 바위들... 누구의 작품인가요?
③금산 38경의아름다운 전설들...
④쌍홍문과 세존도... 석가 세존의 전설
⑤ 한려해상국립공원 이해하기
⑥ 금산의 야생화 소개
⑦ 야생화 관찰
⑧ 숲의 개척자... 이끼, 최고의 짝궁... 지의류
⑨생명이 넘치는... 계곡(소금쟁이 외 관찰)
⑩대나무 숲의 파도소리
아하! 보고, 느낀 점을 적어 봅시다.
4. 소중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문화유산...
금산(도기념물 제18호)
가장 높은 곳은 망대(701m)이며, 해발 500m 이상은 기암괴석과 울창한 난·온대 식물이 어우러져 독특한 경관을 보여준다. 일부지역은 녹지자연도 8등급으로 자연보전상태가 양호하며, 약 780여 종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금산은 정규 탐방로가 있는 한려해상 유일의 산악지역으로 국립공원이면서 산 전체가 도기념물(제1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정상에서는 바다와 주변의 섬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보리암(전통사찰 제25호)
신라 문무왕 3년(663년)원효대사가 창건하고 수도하였던 곳으로 전국 3대 기도도량 중의 하나이다. 원래는 보광사라고 하였으나 1,600년경 조선 현종이 왕실의 원당(왕실의 명복을 빌던 곳)으로 삼으면서 보리암이라 불리게 되었으며, 가락국 김수로왕비 허 태후의 전설이 깃든 보리암 삼층석탑(도유형문화재 제 74호)을 비롯하여 보광전, 극락전 등 여러 전각이 있다.

금산봉수대(도기념물 제87호)
지정일자: 1998.05.19
위치: 상주면 금산 정상(규모: 둘레 25m)
금산 정상(해발701m)에 있으며 자연석으로 쌓은 것이다.
맑은 날 삼천포와 여수는 물론, 석가 세존이 지나갔다는 세존도를 볼 수 있다.
남해군의 최남단에 있는 봉수대로 낮에는 이리의 배설물을 피우고 밤에는 불을 피워 당시의 상황을 즉시 조정에 알리는 통신 역할을 했던 곳이다. 1894년 고종31년에 현대적인 전화 통신 체제로 바뀌면서 금산봉수대도 폐지되었다.
금산 봉수대는 전국 5거선 중 제2거선인 동래부터 시작되는 간선봉수대 역할을 맡았다. 금산봉수대에서 연락하면 가까운 창선 대방산 봉수대를 거쳐 삼천포 각산 봉수대나 전라도 돌산 봉수대로 연결되었다.

보리암전 3층석탑(도문화재 제74호)
지정일자: 1974.2.16
소재지: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산 2065번지
김수로왕비 허태후가 인도에서 돌아올 때 풍파를 만나 건너오지를 못하던 중 婆娑石(파사석)을 싣고오니 아무사고없이 무사히 건너왔다고 하며, 이 석재를 원효대사가 보리암 앞에 세웠다고 한다. 이 돌을 원효대사가 보리암 앞에 세웠다고 한다. 석탑의 재질은 花崗岩(화강암)으로 상륜부 이상은 결실된채 복원되어 있다. 석탑은 하대석에서 3층 옥개석까지 높이가 1.8m이며, 하대석 한번의 폭은 1.20m이다. 보리암 3층석탑은 제1탑신석이 2.3탑신석보다 높이의 비가 월등하게 세장화된 점, 옥개석의 옥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09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78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