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작용이 아주 약한 큰 과립을 가진 백혈구로 주로 알러지 반응때 증가하여 항원, 항체 반응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 호염구(Basophils)
강력한 항응고제인 헤파린을 간에서 유리, 함유하고 있어 혈액의 응고 방지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염증 부위의 치유를 촉진하는데 관여한다.
③ 무과립구(Agranulocytes) : 림프구와 단핵구를 포함
- 림프구(Lymphocytes)
골수에서 유래되지 않고 대개 림프선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무색 무과립의 둥글고 큰핵을 가진 백혈구로 식작용은 없으나 면역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T 림프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종양 세포에 대항하여 직접 작용하으로써 면역반응 기능을 담당한다. B림프구는 혈장세포를 생성하고, 혈장세포가 항체를 생산하며 항체는 혈액으로 방출된 다.
- 단핵구(Monocytes)
한개의 큰 핵을 가진 식균 작용이 가장 강한 백혈구이다. 결핵과 같은 만성감염시에 활발하게 탐식 작용을 하며, 바이러스와 세포내 세균성 기생충에 대한 인체 방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
효소혈소판은 작은 원형질 판 모양이고, 핵이 없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세포가 아니다. 크기는 지름이 2-5 ㎛ 이다. 이 속에 응혈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물질이 들어 있으며, 혈관이 손상된 곳에 모여 돌기를 내면서 서로 연결되고, 이것들이 중심이 되어 혈액응고가 시작된다. 또 파괴된 혈소판에서 세로토닌이 나와서 혈관을 수축시켜 출혈을 멈추도록 작용한다. 혈소판 수는 혈액 1mm3 속에 30만~60만 개이다. 혈소판도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골수의 거핵세포(megakaryocyte)의 세포질 조각들이 떨어져서 된 것으로 순환혈액 속에서는 색깔이 없다. 거대한 세포가 그 세포질을 헛발처럼 골수의 정맥동 속에 뻗쳐서 그 끝에서부터 떨어져 나와 혈소판이 된다. 혈액 속에서 혈소판의 수명은 9~12일로 짧다.
2) 혈장
혈액의 약 55%를 차지하는 혈장 (plasma)은 모든 영양물질을 운반하는 액체인데,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영양물질, 호르몬, 조직에서 대사작용의 결과로 생긴 노폐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혈장은 또한 체온 조절, 산, 염기의 균형 및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한다. 혈장은 혈액세포 외에 용해된 가스, 무기질염 (inorganic salt),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그리고 약간의 유기물질을 갖고 있으며 약알칼리성을 띤다. 특히 단백질은 전체 부피의 약 7%인데, 종류로는 혈액단백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는 알부민과 α, β, γ 글로불린 (globulin) 및 섬유소원 (fibrinogen)이 있다.
(1) 물 90%, :물질운반 : 영양분, 노폐물, CO2, 호르몬, 항체, 효소
(2) 혈장단백질 7-8% ㆍ글로블린 : 항체형성 - 면역에 관여
ㆍ알부민 : 삼투압 및 점성유지
ㆍ피브리노겐 : 혈액 응고에 관여
(3) 당, 지질, 무기염류 : pH 조절, 체온조절
혈당량 : 혈장에 있는 포도당의 양
혈액이 공기중에 노출되거나 혈관이 손상되면 혈장 속의 globulin 중의 한 가지인 섬유소원이 미세한 피덩어리 (혈병) blood clot가 되어 더 이상의 출혈을 방지한다. 혈액이 응고되고 난 후에 맑고 노란색을 띠는 액체를 혈청 (serum)이라고 한다. 즉, 혈장에서 섬유소원이 빠진 것이 혈청이다. 그런데 피덩어리 중의 일부가 작은 덩어리로 떨어져 나와 혈액 속을 떠돌아 다니게 되면 이를 색전 (embolus)이라 하고, 이것이 좁은 혈관 속을 막아 버리면 이른바 혈전증 (thrombosis)을 일으켜 혈류장애를 가져올 수도 있다.
- 호염구(Basophils)
강력한 항응고제인 헤파린을 간에서 유리, 함유하고 있어 혈액의 응고 방지를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염증 부위의 치유를 촉진하는데 관여한다.
③ 무과립구(Agranulocytes) : 림프구와 단핵구를 포함
- 림프구(Lymphocytes)
골수에서 유래되지 않고 대개 림프선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무색 무과립의 둥글고 큰핵을 가진 백혈구로 식작용은 없으나 면역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T 림프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종양 세포에 대항하여 직접 작용하으로써 면역반응 기능을 담당한다. B림프구는 혈장세포를 생성하고, 혈장세포가 항체를 생산하며 항체는 혈액으로 방출된 다.
- 단핵구(Monocytes)
한개의 큰 핵을 가진 식균 작용이 가장 강한 백혈구이다. 결핵과 같은 만성감염시에 활발하게 탐식 작용을 하며, 바이러스와 세포내 세균성 기생충에 대한 인체 방어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혈소판(platelet, thrombocyte)
효소혈소판은 작은 원형질 판 모양이고, 핵이 없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세포가 아니다. 크기는 지름이 2-5 ㎛ 이다. 이 속에 응혈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물질이 들어 있으며, 혈관이 손상된 곳에 모여 돌기를 내면서 서로 연결되고, 이것들이 중심이 되어 혈액응고가 시작된다. 또 파괴된 혈소판에서 세로토닌이 나와서 혈관을 수축시켜 출혈을 멈추도록 작용한다. 혈소판 수는 혈액 1mm3 속에 30만~60만 개이다. 혈소판도 골수에서 만들어진다. 골수의 거핵세포(megakaryocyte)의 세포질 조각들이 떨어져서 된 것으로 순환혈액 속에서는 색깔이 없다. 거대한 세포가 그 세포질을 헛발처럼 골수의 정맥동 속에 뻗쳐서 그 끝에서부터 떨어져 나와 혈소판이 된다. 혈액 속에서 혈소판의 수명은 9~12일로 짧다.
2) 혈장
혈액의 약 55%를 차지하는 혈장 (plasma)은 모든 영양물질을 운반하는 액체인데, 소화기관에서 흡수된 영양물질, 호르몬, 조직에서 대사작용의 결과로 생긴 노폐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혈장은 또한 체온 조절, 산, 염기의 균형 및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한다. 혈장은 혈액세포 외에 용해된 가스, 무기질염 (inorganic salt),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그리고 약간의 유기물질을 갖고 있으며 약알칼리성을 띤다. 특히 단백질은 전체 부피의 약 7%인데, 종류로는 혈액단백질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는 알부민과 α, β, γ 글로불린 (globulin) 및 섬유소원 (fibrinogen)이 있다.
(1) 물 90%, :물질운반 : 영양분, 노폐물, CO2, 호르몬, 항체, 효소
(2) 혈장단백질 7-8% ㆍ글로블린 : 항체형성 - 면역에 관여
ㆍ알부민 : 삼투압 및 점성유지
ㆍ피브리노겐 : 혈액 응고에 관여
(3) 당, 지질, 무기염류 : pH 조절, 체온조절
혈당량 : 혈장에 있는 포도당의 양
혈액이 공기중에 노출되거나 혈관이 손상되면 혈장 속의 globulin 중의 한 가지인 섬유소원이 미세한 피덩어리 (혈병) blood clot가 되어 더 이상의 출혈을 방지한다. 혈액이 응고되고 난 후에 맑고 노란색을 띠는 액체를 혈청 (serum)이라고 한다. 즉, 혈장에서 섬유소원이 빠진 것이 혈청이다. 그런데 피덩어리 중의 일부가 작은 덩어리로 떨어져 나와 혈액 속을 떠돌아 다니게 되면 이를 색전 (embolus)이라 하고, 이것이 좁은 혈관 속을 막아 버리면 이른바 혈전증 (thrombosis)을 일으켜 혈류장애를 가져올 수도 있다.
추천자료
[간호학]검사결과(혈액검사, 생화학검사, 전해질검사, 소변검사)
[생물학실험]혈구관찰 및 혈액형분석
PBL - 의학용어, 약물, X-RAY검사, 혈액검사, 일반화학검사, ABGA
임상랩결과(LAB) 혈액랩결과분석
수혈요법의 원리와 종류 및 접합성 여부 검사 및 혈액제제의 개념 및 수혈간호
생물학실험 - 원생생물관찰, 박테리아의 운동성, PTC 미맹검사, 척추동물해부, 혈구세포 관찰...
[생물학 실험]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아주대-생물학실험] (결과)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생물학] 혈구세포 관찰 및 혈액형 판정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생물학실험] 혈구 관찰과 혈액형 분석
생물학 실험 - 혈구관찰 및 혈액형분석
수혈요법 레포트 {수혈, 수혈의 목적, 수혈 준비물품, 수혈 전 검사 혈액의 종류, 수혈 절차 ...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간호, 신생아용혈성질환, HDN, 혈액부적합증, 임상증상, 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