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혈요법의 적합성 판정
(1)항원
(2)항체
(3)기타 적혈구 항원
2.수혈의 종류
(1)자가 수혈(Autologous transfusion)
(2)동종 수혈(Homogenous transfusion)
(3)직접 수혈(Directed transfusion)
3.혈액제제 판별감사
(1)혈청검사(Serologic testing)
(2)감염성 질환검사
4.혈액제제의 기본 개념 및 수혈간호(1)전혈(Whole blood)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2)농축 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3)농축 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4)혈장(Plasma)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5)Cryoprecipitate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6)분리혈장물(Fractionated plasma product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1)항원
(2)항체
(3)기타 적혈구 항원
2.수혈의 종류
(1)자가 수혈(Autologous transfusion)
(2)동종 수혈(Homogenous transfusion)
(3)직접 수혈(Directed transfusion)
3.혈액제제 판별감사
(1)혈청검사(Serologic testing)
(2)감염성 질환검사
4.혈액제제의 기본 개념 및 수혈간호(1)전혈(Whole blood)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2)농축 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3)농축 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4)혈장(Plasma)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5)Cryoprecipitate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6)분리혈장물(Fractionated plasma products)
①기본 개념
②간호방법
본문내용
다.
③검사를 요하는 특정한 상태는 다음과 같다.
-간염: B형간염의 표면 항원과 최근에는 C형 간염,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A, B형 간염검사
-HIV: 세균에 대한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HIV에 대한 항체의 유무검사
-Cytomegalovirus검사 : CMV에 대한 항체 유무검사
-매독: spirochete에 대한 항체 유무 검사
-세균: 혈액을 수집하는 동안과 후에 혈액이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정맥 절개술시 멸균 유지와 혈액관리 절차, 정확한 저장 기술 ,혈액의 시진과 저장 기간을 제한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4.혈액제제의 기본 개념 및 수혈간호(1)전혈(Whole blood)
①기본 개념
-전혈 1unit은 대개 수집 후 단시간 내에 다양한 구성물로 분리된다.
-수집된 혈액의 3% 이하만이 전혈의 형태로 투여된다.
-혈액 구성물의 사용은 혈액 공급의 한계점을 보완해 최적의 치료적 혜택을 제공하고 순호나 과부담의 위험을 줄여준다.
-전혈은 적혈구, 혈장, 혈장단백질로 이뤄지고 있으며, 전혈 500ml 중 약 60ml의 항응고/보존액이 함유되어 있다.
-1000ml 이상 다량의 급성 출혈이 있는 경우나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요구되는 경우에 의해 혈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혈을 투여하게 된다. 총 혈량의 1/3의 급성 출혈이 있더라도 교질용액을 투여해 신속하게 안전하게 혈량을 대치할 수 있다.
②간호방법
-다량의 전혈을 빠른 속도로 주입하는 경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혈을 위해 부가적인 몇 단계를 거친다.
수혈을 다량으로 한 환자의 폐에서 검출되는 미소응집을 제거하기 위해 구경이 작은 필터를 사용한다.
저체온증과 냉장 보관된 용액을 빠르게 주입해 발생되는 심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 보온기의 사용이 지시된다.
빠른 속도로 혈액을 주입하기 위해 전기 기계적 주입 기구를 사용할 때, 적혈구의 용혈을 초래할 수 있어 사용시 주의가 요구된다.
-전혈을 수혈해 발생되는 가장 흔한 급성 합병증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순환 과부담등.
(2)농축 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s)
①기본 개념
-주로 적혈구와 소량의 혈장으로 구성되면 1unit 인 약 250~300ml 중 100ml 의 항응고/보존액이 함유되어 있다.
-농축 적혈구는 약간의 수혈 반응과 동종 면역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혈구에 의해 오염되어 있다. 수혈을 자주 하는 환자의 경우 백혈구를 제거하기 위해 혈액 은행에서 혈액을
③검사를 요하는 특정한 상태는 다음과 같다.
-간염: B형간염의 표면 항원과 최근에는 C형 간염,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A, B형 간염검사
-HIV: 세균에 대한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HIV에 대한 항체의 유무검사
-Cytomegalovirus검사 : CMV에 대한 항체 유무검사
-매독: spirochete에 대한 항체 유무 검사
-세균: 혈액을 수집하는 동안과 후에 혈액이 세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 정맥 절개술시 멸균 유지와 혈액관리 절차, 정확한 저장 기술 ,혈액의 시진과 저장 기간을 제한해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4.혈액제제의 기본 개념 및 수혈간호(1)전혈(Whole blood)
①기본 개념
-전혈 1unit은 대개 수집 후 단시간 내에 다양한 구성물로 분리된다.
-수집된 혈액의 3% 이하만이 전혈의 형태로 투여된다.
-혈액 구성물의 사용은 혈액 공급의 한계점을 보완해 최적의 치료적 혜택을 제공하고 순호나 과부담의 위험을 줄여준다.
-전혈은 적혈구, 혈장, 혈장단백질로 이뤄지고 있으며, 전혈 500ml 중 약 60ml의 항응고/보존액이 함유되어 있다.
-1000ml 이상 다량의 급성 출혈이 있는 경우나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가요구되는 경우에 의해 혈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혈을 투여하게 된다. 총 혈량의 1/3의 급성 출혈이 있더라도 교질용액을 투여해 신속하게 안전하게 혈량을 대치할 수 있다.
②간호방법
-다량의 전혈을 빠른 속도로 주입하는 경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혈을 위해 부가적인 몇 단계를 거친다.
수혈을 다량으로 한 환자의 폐에서 검출되는 미소응집을 제거하기 위해 구경이 작은 필터를 사용한다.
저체온증과 냉장 보관된 용액을 빠르게 주입해 발생되는 심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 보온기의 사용이 지시된다.
빠른 속도로 혈액을 주입하기 위해 전기 기계적 주입 기구를 사용할 때, 적혈구의 용혈을 초래할 수 있어 사용시 주의가 요구된다.
-전혈을 수혈해 발생되는 가장 흔한 급성 합병증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순환 과부담등.
(2)농축 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s)
①기본 개념
-주로 적혈구와 소량의 혈장으로 구성되면 1unit 인 약 250~300ml 중 100ml 의 항응고/보존액이 함유되어 있다.
-농축 적혈구는 약간의 수혈 반응과 동종 면역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혈구에 의해 오염되어 있다. 수혈을 자주 하는 환자의 경우 백혈구를 제거하기 위해 혈액 은행에서 혈액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