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국어 서브 노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무원 국어 서브 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요소 : 주제, 구성, 문체(개성적, 독창적 존재 -> 문장 표현 양식)
구성의 3요소 : 인물, 사건, 배경
☆ 문체의 3요소 서술 : 주관적, 해설적, 추상적, 요약적, 템프가 빠름
묘사 : 시간의 축약력이 약하고, 펨프가 느림 - 구체적, 형상화에 유리, 객관적
대화 : 사건의 전개,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
(3) 소설의 주제 : 소설의 제재, plot, 인물, 배경 등을 한곳으로 응집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까닭에 소설의 내용에 통일성과 유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a) 작가의 작품을 통한 중심사상(작가의 인생관, 세계관)으로 소설의 각 요소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
b) 주제 제시의 방법
① 극적인 형식과 사건을 통한 주제 제시 방법(작가에 의한 직접제시 - 명시적 = 고대소설)
② 분위기를 통한 주제 제시(간접제시 - 암시적 = 현대소설) - 계몽주의 성향이 있는 것이 대부분
③ 갈등과 해소양상을 통한 주제 제시
④ 직접적 제시(요약적 제시, 분석적 제시)
(4) 소설의 구성(plot)
a) 스토리 : 현실적 줄거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나열,(인과성 無)
플롯 : 작가가 재구성한 사건의 인과적, 미적 질서.(인과성 有)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인물, 배경,
사건의 실마리
갈등 표출,
본격적인 사건전개
갈등의 심화
갈등의 최고조
사건 해결의
실마리 제시
갈등 해소
주제 제시
b) 구성의 단계(구성단계 구분 기준은 갈등 정도에 따라)
c) 구성의 유형
① 이야기의 가짓수에 따라
- 단순 구성 : 단일의 사건, 단순 진행. - 주로 단편소설. 단일한 주제, 인물, 구성
- 복합 구성 : 두 개 이상의 사건. - 주로 장편소설
☆ 단편소설 : 인생의 단면도(부분 - 전체), 압축적 재능, 기교중시
장편소설 : 총체적 단면, 주제의식(인생관, 사상관) 중시
② 사건의 진행 방식에 따라
- 평면적 구성(진행적, 순핵적) :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구성(고대소설)
- 입체적 구성(시간이 뒤업힌 구성) : 현대소설, 특히 심리 소설에 많음.(분석적, 역전적 구성)
☆ 평행적 구성(동시묘사법) : 같은 시간대에 여러 공간을 동시에 그려내는 기법.
③ 통합성의 유무에 따라
- 피카레스크식 구성 : 동일한 주인공 --<다른 사건>--> 동일한 주제 (연작 소설 형식)
A + B + C : 동일 구성
- 옴니버스식 구성 : 동일한 주제 --<다른 주인공, 이야기>--> 함께 묶음. 예) 봉산탈춤.
일화 + 일화 + 일화 : 동일 주제
④ 기타
- 상승 구성(주인공의 뜻이 성취되는 구성)과 하강 구성(주인공의 뜻이 성취 ×)
- 액자식 구성 : 이야기 속의 이야기 (1인칭 -> 3인칭 -> 1인칭 : 시점의 이동)
내화 : 주제 표출, 외화(도입, 안내 - 객관성, 신뢰인)
예) 박지원 ‘호질’, ‘허생전’, 김동인 ‘광화사’, ‘배따라기’, 현진건 ‘고향’, 김동리 ‘등신불’, ‘무녀도’
(5) 소설의 인물 : 인물의 창조가 되면 성공된 것이라 할 수 있다.
a) 인물의 유형
① 주제의 방향 주동 인물 < 중심 인물
반동 인물(주인공에 대항)
② 사건의 진행과 성격의 변화 평면적 인물(정적 인물) : 성격 변화 없음, 2차원적
입체적 인물(원형적 인물, 동적 인물) : 상황에 딸 성격 변화, 극적,
발전적, 3차원적
예) 황순원의 ‘학’에서의 성삼과 덕재, 김동리의 ‘등신불’에서의 ‘나’
③ 시대 계층의 대표성 여부 전형적 인물 : 시대, 계층, 집단을 대표하는 인물
개성적 인물 : 보편성을 전제, 개인의 고유한 본성이 뚜렷함.
예)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의 ‘김첨지’
☆ 고소설의 인물형 : 전형적, 평면적 인물
현대 소설의 인물형 : 입체적, 개성적 인물
가장 바람직한 인물형 : 전형적, 개성적 인물
b) 인물의 제시 방법
① 직접적, 분석적, 해설적, 편집자적 제시 : ‘telling\'(말하기, 서술) - 화자가 인물의 성격에 대해 직접적으로 제시, 추상적 경향, 독자와 거리는 멀다.
② 간접적, 극적, 장면적 제시 : ‘showing\' - ’대화‘와 ’행동‘을 통한 제시. 배경묘사,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를 묘사, 구체적 경향(구체성, 현실성), 독자 인물 파악 쉽다.
(독작 <- 거리 -> 인물 가깝다.)
(6) 배경 : 시간적, 공간적 배경 - 사건에 구체성(진실성)을 부여, 특별한 분위기를 형성, 인물의 심리와 사건의 전개를 암시하는 역할, 주제의 형상화에 기여.
예) ‘홍염’의 ‘바람이 몹시 부는 밤’, ‘감자’의 ‘빈민촌’, ‘날개’의 ‘골방’, ‘춘향전’의 ‘감옥’
(7) 소설의 시점
a) 1인칭 시점 : ‘나’
① 1인칭 주인공(서술자) 시점 : 나(화자이자 주동 인물, 극화된 자아, 허구적 자아) - 서술자와 인물의 거리가 가장 가까움, (사소설, 심리소설, 일기체, 서간체 소설)
장점 : 독자에게 친근감을 주고, 인물의 내면 세계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 중간이 작중 화자의 개
입이 없다. (주인공 ‘나’의 심리묘사에 용이), 고백적, 자전적
단점 : 서술의 제한 및 객관성, 신뢰성 유지의 곤란.
예) 탈출기(최서해), 날개(이상), 봄봄, 동백꽃(김유정), 그리운 흘릴 눈(현진건), 창랑정기(유진오)
② 1인칭 관찰자 시점 : 나(화자이자 부수적 인물) - 남(주인공)의 행위를 관찰하여 전달.
주인공 <- 나 -> 독자, 대부분의 액자소설
주인공의 생각을 숨겨서 경이감과 긴장감을 줌.
장점 : 독자에게 신뢰감을 주며, 주관적 해석과 객관적 묘사의 동시 추구가 가능
단점 : 전체적인 시야가 제한적
예) 빈처(현진건), 사랑 손님과 어머니(주요섭), 붉은 산, 배따라기, 광화사(김동인), 등신불(김동리)
b) 3인칭 시점 : 제3자
① 작가 관찰자 시점 : 작가(화자)가 주인공의 행동 및 외면을 관찰하여 전달함, 작가 = 서술자 = 관찰자.
외적 사항만 서술, 현대단편소설에서 가장 선호.
가장 객관적, 제한적 시점, 작중인물과 독자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느껴지는 시점.
장점 :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태도로 외부적인 사실만 관찰, 묘사하여 극적 효과를 얻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3페이지
  • 등록일2010.04.15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9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