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흉곽 X-선검사(chest X-ray study)
2. 동맥혈 가스 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 ABGA)
3. 맥박 산소 계측(pulse oximetry)
4. 폐 단층촬영검사(Tomography of the Lung)
5. 가래검사(Sputum studies)
6. 기관지경 검사 (Bronchoscopy)
7. 폐생검(Lung biopsy)
8.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Studies : PFT)
9.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10. 흉부 CT 검사(Computer Tomography of the Chest)
11. 흉강천자와 늑막액 분석(Thoracentesis and Pleural Fluid Analysis)
12. 늑막생검 (pleural biopsy)
13. 기관지조영술(후두조영술)(bronchography bronchgram laryngogaphy)
14. 알파 Ⅰ-항트립신 검사 (Alpha Ⅰ-Antitrypsin Determination)
1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yme : SACE)
2. 동맥혈 가스 분석(arterial blood gas analysis : ABGA)
3. 맥박 산소 계측(pulse oximetry)
4. 폐 단층촬영검사(Tomography of the Lung)
5. 가래검사(Sputum studies)
6. 기관지경 검사 (Bronchoscopy)
7. 폐생검(Lung biopsy)
8.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Studies : PFT)
9.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10. 흉부 CT 검사(Computer Tomography of the Chest)
11. 흉강천자와 늑막액 분석(Thoracentesis and Pleural Fluid Analysis)
12. 늑막생검 (pleural biopsy)
13. 기관지조영술(후두조영술)(bronchography bronchgram laryngogaphy)
14. 알파 Ⅰ-항트립신 검사 (Alpha Ⅰ-Antitrypsin Determination)
1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Serum Angiotensin Converting Enyme : SACE)
본문내용
족
검사과정과 관련된 잠재성 안위 장애
시술전 사용한 진정제의 부작용과 관련된 잠재적 손상
잠재성 합병증 : 발열, 저산소혈증, 후두 경련, 기관지경련, 흡인
7. 폐생검(Lung biopsy)
① 정상 : 병적인 증거가 나타나지 않음
개방적 방법은 흉곽개봉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폐쇄법에는 횡기관지 폐 생검(transbron
-chial biopsy),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생검(transcarherer bronchial brushing biopsy)방법 등이 있다. 생검은 암이나 육종이나 사르코이드종(sarcoidosis)같은 폐 실질조직의 이상이나 폐 병소가 있을 때 시행한다.또한 가족성 질환이나 환경적 위험등을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기흉,농흉, 폐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
② 검사과정
시술 하루 전날 저녁부터 금식이 필요하며 시술 30분~1시간 전에 진정제와 가래배출 억제제를 투약한다. 환자의 자세는 검사방법과 병소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횡기관지 생검은 유연한 굴절성 기관지경을 통하여 병소를 보면서 기관지경의 관을 통하여 섭자를 삽입하여 병소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 생검은 기관지경을 보면서 기관지경을 통해서 형광수시상에서 확인된 종양의 부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주사바늘과 연결된 관과 주사기로 종양조직을 흡인한다.
횡 카테터 기관지 브러슁 생검은 기관지경을 통하여 브러쉬를 삽입하여 병소위치에서 위 아래로 브러쉬를 움직여 묻어나오는 조직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폐쇄적 방법 중 또 다른 방법은 경피적 주사바늘 생검(percutaneous needle biopsy)이다. X-선상에서 확인된 위치에 척수 천자 때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주사바늘을 피부를 통해 삽입하여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보지 않고 실시하므로 혈관을 다칠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개방적 폐 생검은 수술실에서 전신마취하에 작은 흉곽 절개창을 낸 후 폐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수술 후 24시간 동안 다른 흉곽절개술에서와 같이 흉곽 배액을 실시한다.
③ 금기사항
폐수종, 혈관이상, 출혈성 경향, 폐성 고혈압, 폐부전등이 있을 때는 금하는 것이 좋으나 위험부담보다는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할 때는 할 수도 있다.
④ 간호진단
기관지경검사와 관련된 간호진단
잠재성 합병증: 기흉, 출혈, 폐농양
8.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Studies : PFT)
① 정상 : 나이, 성, 키, 몸무게에 따라 다양하다. 예측되는 값의 50%이하이면 폐기능인 나쁜 것으로 평가하며 흉곽 수술 후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
폐기능 검사는 폐기능이 비정상이나 비정상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폐기능 검사를 하는 중요한 이유
폐절제술이나 폐엽 절제술과같은 폐조직 상실을 가져오는 수술을 할 때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폐부전의 위험성을 미리사정하기 위하여 환자와 심한 폐기능 부전을 갖고 있는 경우는 수술시 위험이 크다.
기관지 확장제 사용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폐쇄성 폐질환자는 장기간의 기관지 확장제 사용 후에야 기관지가 이완된다.
폐쇄성 폐질환과 억제성 폐질환 환자를 구별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폐쇄성 폐질환자에서는 기도저항이 증가되어 호기가 어려우나 억제성 폐질환(종양, 흉벽손상)에서는 폐의 팽창이 어려운 흡기 장애가 나타난다.
폐의 확산 능력을 평가한다. 확산율은 호흡한 공기 안에 있는 가스들의 농도에 비례한다.
흡입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의 흡인 검사 실시를 위하여 실시한다.
분당 환기량(minute volume) : 1분동안 들락들락하는 공기량을 말한다.
Krypton을 사용하면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도 환기 검사는 시행될 수있다. Krypton영상은 관류영상전, 중, 후에도 나타난다. 대조적으로 Tc-DTPA 영상은 보통 관류 영상 전에 행해지고 환자가 심호흡을 잘 해줘야 하며 오염을 막기 위해 호흡기구를 잘 사용해야 한다.
환자가 받는 방사선의 양은 최소량이다. 이 검사는 30분 정도 걸린다. 만약 요오드가 들어있는 요소가 쓰인다면 요오드가 투여되기 전 몇 시간 전에 Lugol\'s 용액을 투여해서 환자의 갑상선을 보호해야 한다.
② 금기사항
심한 고혈압과 불안정한 혈압이 있는 환자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때 안정적이라고 여겨지는 환자는 아무도 없다. 그러나 이 검사도중 집중적 간호가 부족해도 견디낼 수 있는 환자를 구분해야한다.
폐렴, 농흉, 늑막삼출, 종양등의 폐 실질 조직문제를 가진 환자
이런 문제들이 있어도 관류 결함이 있음을 보여주므로(가양성 반응) 폐쇄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 검사는 폐색전의 가능성을 배척하기 위해 행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임신부
임신한 경우 자궁에는 불필요한 방사선을 피해야 한다.
9.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① 정상 : 정상적 폐혈관 분포
이 검사는 방사성 조영제를 폐동맥 네에 주사하여 폐혈관 분포를 관찰한다. 이 검사는 폐색전을 알아내고, 폐혈관의 선천성 및 후천성 병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된다. 폐색전이 의심되면 폐검사가 먼저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폐스캔이 양성이라도 폐색전이라는 진단은 확실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폐실질조직의 병리과정도 폐조사에서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폐색적 확진하기 위해서는 폐혈관 조영술이 필요하다.
② 관련 합병증
1. 심부정맥 : 오른쪽 심방에 카테터를 집어넣을 동안 생기는 심실조기수축은 심실빈맥과 심실세동을 유발할 수 있다.
2. 과민증 :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조영제는 조영제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 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사망위험 : 중환자실에서 밀접한 관찰을 하지 않으면 불안정한 환자는 죽음을 이를 수 있는 심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기관지혈관 조영술은 폐내의 출혈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될 수 있다. 이때는 카테터를 동맥을 통해 기관지 동맥내에 삽입한댜. 그 후 방사선을 물질은 주입하면 동맥이 보이게 된다.
③ 검사과정
전날밤 자정부터 금식한다. 환자는 보통 아트로핀과 meperidine으로 진정시킨다. 혈관조영실내에서 환자를 X-선 테이블 위에 눕힌다. 서혜부를 준비하여 무균적 방버
검사과정과 관련된 잠재성 안위 장애
시술전 사용한 진정제의 부작용과 관련된 잠재적 손상
잠재성 합병증 : 발열, 저산소혈증, 후두 경련, 기관지경련, 흡인
7. 폐생검(Lung biopsy)
① 정상 : 병적인 증거가 나타나지 않음
개방적 방법은 흉곽개봉술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폐쇄법에는 횡기관지 폐 생검(transbron
-chial biopsy),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생검(transcarherer bronchial brushing biopsy)방법 등이 있다. 생검은 암이나 육종이나 사르코이드종(sarcoidosis)같은 폐 실질조직의 이상이나 폐 병소가 있을 때 시행한다.또한 가족성 질환이나 환경적 위험등을 미리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기흉,농흉, 폐출혈 등이 있을 수 있다.
② 검사과정
시술 하루 전날 저녁부터 금식이 필요하며 시술 30분~1시간 전에 진정제와 가래배출 억제제를 투약한다. 환자의 자세는 검사방법과 병소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횡기관지 생검은 유연한 굴절성 기관지경을 통하여 병소를 보면서 기관지경의 관을 통하여 섭자를 삽입하여 병소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횡기관지 주사바늘 흡인 생검은 기관지경을 보면서 기관지경을 통해서 형광수시상에서 확인된 종양의 부위에 주사바늘을 삽입하여 주사바늘과 연결된 관과 주사기로 종양조직을 흡인한다.
횡 카테터 기관지 브러슁 생검은 기관지경을 통하여 브러쉬를 삽입하여 병소위치에서 위 아래로 브러쉬를 움직여 묻어나오는 조직을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폐쇄적 방법 중 또 다른 방법은 경피적 주사바늘 생검(percutaneous needle biopsy)이다. X-선상에서 확인된 위치에 척수 천자 때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주사바늘을 피부를 통해 삽입하여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보지 않고 실시하므로 혈관을 다칠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개방적 폐 생검은 수술실에서 전신마취하에 작은 흉곽 절개창을 낸 후 폐 조직을 얻는 방법이다. 수술 후 24시간 동안 다른 흉곽절개술에서와 같이 흉곽 배액을 실시한다.
③ 금기사항
폐수종, 혈관이상, 출혈성 경향, 폐성 고혈압, 폐부전등이 있을 때는 금하는 것이 좋으나 위험부담보다는 진단을 하는 것이 중요할 때는 할 수도 있다.
④ 간호진단
기관지경검사와 관련된 간호진단
잠재성 합병증: 기흉, 출혈, 폐농양
8.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Studies : PFT)
① 정상 : 나이, 성, 키, 몸무게에 따라 다양하다. 예측되는 값의 50%이하이면 폐기능인 나쁜 것으로 평가하며 흉곽 수술 후 사망할 가능성이 크다.
폐기능 검사는 폐기능이 비정상이나 비정상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폐기능 검사를 하는 중요한 이유
폐절제술이나 폐엽 절제술과같은 폐조직 상실을 가져오는 수술을 할 때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폐부전의 위험성을 미리사정하기 위하여 환자와 심한 폐기능 부전을 갖고 있는 경우는 수술시 위험이 크다.
기관지 확장제 사용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폐쇄성 폐질환자는 장기간의 기관지 확장제 사용 후에야 기관지가 이완된다.
폐쇄성 폐질환과 억제성 폐질환 환자를 구별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폐쇄성 폐질환자에서는 기도저항이 증가되어 호기가 어려우나 억제성 폐질환(종양, 흉벽손상)에서는 폐의 팽창이 어려운 흡기 장애가 나타난다.
폐의 확산 능력을 평가한다. 확산율은 호흡한 공기 안에 있는 가스들의 농도에 비례한다.
흡입에 알러지가 있는 환자의 흡인 검사 실시를 위하여 실시한다.
분당 환기량(minute volume) : 1분동안 들락들락하는 공기량을 말한다.
Krypton을 사용하면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도 환기 검사는 시행될 수있다. Krypton영상은 관류영상전, 중, 후에도 나타난다. 대조적으로 Tc-DTPA 영상은 보통 관류 영상 전에 행해지고 환자가 심호흡을 잘 해줘야 하며 오염을 막기 위해 호흡기구를 잘 사용해야 한다.
환자가 받는 방사선의 양은 최소량이다. 이 검사는 30분 정도 걸린다. 만약 요오드가 들어있는 요소가 쓰인다면 요오드가 투여되기 전 몇 시간 전에 Lugol\'s 용액을 투여해서 환자의 갑상선을 보호해야 한다.
② 금기사항
심한 고혈압과 불안정한 혈압이 있는 환자
폐색전증이 의심되는 때 안정적이라고 여겨지는 환자는 아무도 없다. 그러나 이 검사도중 집중적 간호가 부족해도 견디낼 수 있는 환자를 구분해야한다.
폐렴, 농흉, 늑막삼출, 종양등의 폐 실질 조직문제를 가진 환자
이런 문제들이 있어도 관류 결함이 있음을 보여주므로(가양성 반응) 폐쇄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 검사는 폐색전의 가능성을 배척하기 위해 행해진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임신부
임신한 경우 자궁에는 불필요한 방사선을 피해야 한다.
9. 폐혈관조영술(Pulmonary Angiography)
① 정상 : 정상적 폐혈관 분포
이 검사는 방사성 조영제를 폐동맥 네에 주사하여 폐혈관 분포를 관찰한다. 이 검사는 폐색전을 알아내고, 폐혈관의 선천성 및 후천성 병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된다. 폐색전이 의심되면 폐검사가 먼저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폐스캔이 양성이라도 폐색전이라는 진단은 확실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폐실질조직의 병리과정도 폐조사에서 비정상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폐색적 확진하기 위해서는 폐혈관 조영술이 필요하다.
② 관련 합병증
1. 심부정맥 : 오른쪽 심방에 카테터를 집어넣을 동안 생기는 심실조기수축은 심실빈맥과 심실세동을 유발할 수 있다.
2. 과민증 : 이 검사에서 사용되는 조영제는 조영제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게 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사망위험 : 중환자실에서 밀접한 관찰을 하지 않으면 불안정한 환자는 죽음을 이를 수 있는 심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기관지혈관 조영술은 폐내의 출혈부위를 알아내기 위해 시행될 수 있다. 이때는 카테터를 동맥을 통해 기관지 동맥내에 삽입한댜. 그 후 방사선을 물질은 주입하면 동맥이 보이게 된다.
③ 검사과정
전날밤 자정부터 금식한다. 환자는 보통 아트로핀과 meperidine으로 진정시킨다. 혈관조영실내에서 환자를 X-선 테이블 위에 눕힌다. 서혜부를 준비하여 무균적 방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