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류 형성의 배경
•본 론
1. 한류 열풍의 현황
1) 중국
2) 타이완
3) 홍콩
4) 일본
2. 한류 열풍의 효과
•한류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참고 문헌
•본 론
1. 한류 열풍의 현황
1) 중국
2) 타이완
3) 홍콩
4) 일본
2. 한류 열풍의 효과
•한류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핸드폰은 젊은이들이 받고 싶은 최고의 선물(사기에는 비싸므로)입니다. 벤츠, 베엠베(BMB), 툐요타들 사이로 EF소나타가 달립니다.
중국에서 물건을 사러 백화점에 가면 "일본인 아니면 한국인?"이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혹은 "안녕하세요"라며 한국말로 인사를 건네는 중국인종업원도 꽤 됩니다. 예전에는 거의 "일본인이냐?"라는 질문을 받아 속이 불편했던 것에 비하면 상당한 발전입니다.
이 모든 것이 한류열풍의 결과입니다.
중국에도 반미감정과 반일감정이 있습니다. 그 정도는 한국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습니다. 그 반사이익을 한류열풍을 등에 업고 한국이 누리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 한류열풍을 한순간의 현상이 아닌 중국내의 한 문화로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그 영향은 한 세대안에 한국의 국익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한류의 세계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숙제는 역시 세계에 통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창작능력 강화이다.
이에 문화관광부에서는 문화콘텐츠 창작, 문화산업 경영 인력 육성을 위해 문화콘텐츠기술(CT) 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문화산업 핵심인력 양성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 제작기술 공유과 스타프로젝트 지원 등 중소콘텐츠 업체의 창작을 도울 수 있는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한류 콘텐츠의 해외 마케팅 지원과 해외 지적재산권 보호 협의체를 운영 중이며 투자 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 특수목적회사(SPC) 설립 제도를 마련했다.
한류 세계화의 또다른 주요 요소는 한류 콘텐츠의 다양화와 더불어 지역적 확산이다.
우리는 현재 한류의 중심이 되고 있는 대중문화 분야뿐 아니라 전통예술 등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풍부한 문화 자산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예술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전통문화, 순수예술 등의 문화콘텐츠도 함께 해외에 소개되도록 해 한류의 저변을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한국관광공사, ‘2004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영화진흥위원회(http://www.kofic.or.kr)
-한류 경제학 (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2005)
-한류의 경제적 효과 (박귀현, 무역연구소,2005)
- 황성빈 / 일본의 한류열풍 / 창비 / 2005
- LG경제연구원 / 2010 대한민국 트랜드 / 한국경제신문사 / 2005
- 강철근 / 한류 이야기 / 이채 / 2006
- 유상철 / 한류의 비밀 / 생각의나무 / 2005
중국에서 물건을 사러 백화점에 가면 "일본인 아니면 한국인?"이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혹은 "안녕하세요"라며 한국말로 인사를 건네는 중국인종업원도 꽤 됩니다. 예전에는 거의 "일본인이냐?"라는 질문을 받아 속이 불편했던 것에 비하면 상당한 발전입니다.
이 모든 것이 한류열풍의 결과입니다.
중국에도 반미감정과 반일감정이 있습니다. 그 정도는 한국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습니다. 그 반사이익을 한류열풍을 등에 업고 한국이 누리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이 한류열풍을 한순간의 현상이 아닌 중국내의 한 문화로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그 영향은 한 세대안에 한국의 국익으로 나타날 것입니다. 한류의 세계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숙제는 역시 세계에 통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창작능력 강화이다.
이에 문화관광부에서는 문화콘텐츠 창작, 문화산업 경영 인력 육성을 위해 문화콘텐츠기술(CT) 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문화산업 핵심인력 양성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 제작기술 공유과 스타프로젝트 지원 등 중소콘텐츠 업체의 창작을 도울 수 있는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문화콘텐츠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한류 콘텐츠의 해외 마케팅 지원과 해외 지적재산권 보호 협의체를 운영 중이며 투자 활성화를 위한 문화산업 특수목적회사(SPC) 설립 제도를 마련했다.
한류 세계화의 또다른 주요 요소는 한류 콘텐츠의 다양화와 더불어 지역적 확산이다.
우리는 현재 한류의 중심이 되고 있는 대중문화 분야뿐 아니라 전통예술 등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풍부한 문화 자산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중문화예술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전통문화, 순수예술 등의 문화콘텐츠도 함께 해외에 소개되도록 해 한류의 저변을 확대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고 문헌
-한국관광공사, ‘2004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영화진흥위원회(http://www.kofic.or.kr)
-한류 경제학 (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2005)
-한류의 경제적 효과 (박귀현, 무역연구소,2005)
- 황성빈 / 일본의 한류열풍 / 창비 / 2005
- LG경제연구원 / 2010 대한민국 트랜드 / 한국경제신문사 / 2005
- 강철근 / 한류 이야기 / 이채 / 2006
- 유상철 / 한류의 비밀 / 생각의나무 / 2005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 여성들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한국 TV 드라마와 한류
베트남 내 한류형성의 배경과 원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엔터테인먼트와 산업의 이해와 제2의 한류 성공전략 최종(아이돌가수중심)
유럽 발 신 한류 Kㅡpop의 의미와 한류의 지속적 발전방안
‘한류’(韓流) 현상의 문화산업정책적 함의 - 한류 문화 현상 특징,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
싸이(Psy) 강남스타일 성공사례분석과 한국의 문화컨텐츠 한류의 성공을위한 사업전망 및 한...
[사회학개론] 한류에 대해 나름의 정의를 내리고, 한류의 원인, 효과, 한계에 대해 서술하...
한류문화의 특징과 과제에 대하여 논하시오 : 한류문화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