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선정 이유

2. 주제 내용

3. 본 주제 내용 및 연구가 현장교육에 주는 구체적 시사점

본문내용

다. 교육평가는 곧 교육활동의 평가라는 의미에서 볼 때, 교육평가는 교육에 영향을 주는 모든 요인들에 대한 평가로 그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즉, 교육평가가 단순히 학생들의 학업성적을 점수화하는 일만이 아니라, 교육목표에 대한 타당성 점검으로부터 시작하여 교육과정이나 수업활동의 적절성 판단 그리고 교육의 제반 여건이나 학교 내의 인간관계에 이르기까지 학 교육의 모든 측면이 바로 교육평가의 대상이 되는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교육평가는 교육적 가치의 판단활동이다. 평가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것의 가치나 수준을 판단하고 평정하는 일이므로 교육평가의 어의적 의미는 분명 교육의 가치를 따지고 판단하는 활동인 것이다. 이처럼 평가를 가치판단의 활동이라고 이해한다면, 평가에는 반드시 일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 또한 평가를 통해 가치를 판단하였다면 그 판단결과에 따른 어떤 조치가 취해져야만 완벽한 평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평가는 교육활동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교육평가는 분명 교육을 위해 존재한다는 당연한 사실을 강조해둘 필요가 있다. 교육평가는 어떤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한 수단적인 활동임을 부인할 수 없다. 보다 나은 교육을 하기 위해 평가하는 것이지, 평가하기 위해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 교육평가가 교육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교육평가의 결과가 다시 교육활동과 연결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교육평가의 결과는 학생들에게 학습활동에 대한 교정적 정보를 줄 뿐 아니라, 교사의 교수활동이 갖는 잘잘못을 따져 고쳐나갈 수 있도록 관련되어져야 한다. 결국 교육평가란 바로 교사의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반성의 행위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평가도 교육활동이며, 그것은 교육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덕 시간에 친구 사이의 믿음과 협동을 가르치고 그것을 시험문제로 출제하여 평가하면서 책상 위에 책가방으로 친구와의 사이에 불신의 담을 쌓고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하기도 한다. 결국 교육평가도 교육활동의 일부라는 사실은 교육평가의 행위 그 자체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어떤 영향을 주게 된다는 점을 말해 준다. 따라서 교육평가가 교육활동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교육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수업의 과정이 학생들의 올바른 학습을 돕는 과정인 것과 같이 평가의 장면은 학생들로 하여금 교육의 열매를 잘 거둘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적 과정이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4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