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유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식유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규동에서 마카롱까지 60가지 음식의 유래

본문내용

1.규동-일본의 서민적음식중 하나
규동하면 특히 일본에서는 \'요시노야\'라는 규동 전문점을 떠올리게 된다
이 \'요시노야\' 규동이 인기가 있었던 가장 주요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맛이 좋으면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입니다.일본에 배낭여행을 하는 대학생들도 고물가의 일본에서
그나마 편하게 사먹을 수 있었던 요리가 바로 \'오시노야\'의 규동이었을 뿐만 아니라.
주머니가 가벼운 샐러리맨인 일본 사람들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식당이었던 겁니다.
그런데 안타까운 점은 \'요시노야\'가 2004년 광우병 파동 이후 일본에서 쇠고기 수입이 전면 금지되자 더 이상 규동을 판매하지 않게 되었다는 사실!!!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저렴한 서민의 식사였던 \'요시노야\'의 규동이사라진 아쉬움 때문인지 규동을 판매하던 마지막날 길게 꼬리를 이은 사람들이 마지막 \'요시노야\'의 규동을 먹는 모습이 매스컴에 보도된 바도 있죠.
이처럼 유명한 요시노야의 규동은 여전히 판매가 재개되지 않고 있는 상태랍니다.
요시노야의 규동 말고도 사실 규동은 일본의 대표적인 돈부리 즉 덮밥 음식 중에 하나에요.
지금은 덮밥을 뜻하는 돈부리는 원래 음식을 담는 그릇 이름을 말했다고 합니다.
\'본조식감\'이라는 일본 문헌에 따르면, 본래 돈부리는 법가의 음식으로 흰밥과 각종 채소와 어류 말린 것에 김을 부수어 뿌리고서 맛을 낸 장국을 부어 먹는다고 했죠. 이것이 귀족이나 무사들이 사냥이나 들놀이 식품으로 애용되고 또 간단히 먹는 점심으로 보편화 되면서 곁다리 밥이라고 불리기고 했다고 합니다. 일본의 덮밥은 우리의 비빔밥과 달리 양념 국물이나 장국이 함께 나오는 음식이에요.
덮밥이기 때문에 밥 위에 올리는 것에 따라 종류도 달라집니다.
돈부리를 줄여서 \'동\'이라고도 하는데요. 그래서 달걀을 얹으면 \'다마고동\' 쇠고기를 얹으면 \'규동\'튀김을 올리면 \'덴동\' 돈까스를 올린 \'가스동\'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렇게 밥 위에 올려진 각종 재료들과 적당한 국물 그리고 알맞게 잘 된 밥이 하나의 조화를 이루어 돈부리의 맛을 만들어 내게 되는 것입니다.
2.오코노 미야끼-일본의 빈대떡?
서민적인 요리인 오꼬노미야끼가 시작된 것은 일본 에도시대 후기 에도지방이랍니다.
밀가루를 물로 반죽해서 얇은 철판 위에 구워낸 후일본 된장인 미소를 발라 먹던 것이 그 시초입니다. 일본에서 오꼬노미야끼가 본격적인 먹거리로 인식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격변기였던 관동대지진 이후의 일이죠.식량이 부족했던 시기에 대용식으로 애용되다가
오늘날과 같은 오꼬노미야끼로 발전하게 됩니다.
오꼬노미미야키의 이름을 보면요.\'오꼬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선택한다는 뜻이고
\'야끼\'는 구이라는 의미입니다. 즉 오꼬노미야끼는 자신이 좋아하는 재료를 넣어 구운 요리라는 뜻이 되는 거죠.
일본의 대표적인 서민 요리의 하나인 오꼬노미야끼는각각의 지방색을 강조한 것들이 많고,
지역마다 첨가하는 재료가 조금씩 다르고 소스로 조금 다르게 쓰는 것 같은데요.
토속적인 먹거리의 하나로 많은 일본인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즘은 위리나라 종로 길거리에도 김치전을 파는 노점상 옆에
오꼬노미야끼를 파는 노점도 함께 볼 수 있는 시절이 되었답니다.
3.화전-우리 여인네들이 일년중 가장 기다리던날
음력 3월 3일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고
산과 들에 봄기운이 약동하는 시절입니다. 지천으로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어나고
흐르는 시냇물에 절로 콧노래가 나와서 어느 새 봄의 풍경을 노래하는
상춘곡을

키워드

음식,   요리,   유래
  • 가격3,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10.04.19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06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