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운동의 구성주의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등장배경

2. 스노우와 벤포드의 틀 정렬과정이론 (frame alignment process)
(1) 개념 정의
(2) 틀 정렬과정의 유형

3. 갬슨의 사회적 저항의 구성(constructing social protest)
(1) 틀 구성으로서의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 as a framing resource)
(2) 집합행동의 틀(collective action frames)
(3) 결론

4. 멜루치-현대운동에 있어서의 상징적 도전
(1) 행동체계(action systems)
(2) 집합적 정체성의 구성
(3) 체계영역과 행위자
(4) 세계 규정(naming the world)
(5) 정치로의 귀환(coming back to politics)

5. 클랜더맨스의 이론
(1) 집합적 신념(collective beliefs)
(2) 복합적 조직의장(multi organizational field)
(3) 개인의 사회운동 참여과정

본문내용

인 부문은 갈등체계(conflict system)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합체계는 운동조직을 위한 자원과 기회를 제공하나, 갈등체계는 제한한다. 그러나 이러한 두 부문의 경계는 유동적이며 상황에 따라 변화 할 수 있으며 중복되기도 한다.
특정 쟁점을 둘러싸고 집합행동이 표면화되기 전에 그 쟁점과 관련된 공론(public discourse)이 형성되어, 사회내 개인과 집단, 조직들은 그 쟁점에 대한 '동정적(sympathetic)', 적대적(antipathetic)', '무관심(indifference)'의 입장과 의견을 지니고 있으며, 운동조직은 동정적. 친화적 개인과 집단을 대상으로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을 벌인다. 그러나 운동조직은 지지자뿐만 아니라 반대자들에게도 메시지를 보낸다. 이와 같은 운동조직들의 주장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공중에게 전달되고 그러는 과정 중에 무관심하거나 중립적인 공중은 어느 한쪽에 가담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정운동 조직의 생애는 복합조직의장이 지닌 동태성(dynamics)에 의해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임희섭, p146)
(3) 개인의 사회운동 참여과정
1) 사회운동 참여 단계
클랜더맨스는 개인들이 그들의 불만을 어떻게 집합행동으로 전환시켜 나가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사회심리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개인이 집합행도에 참여 하게 되는 과정을 ① 동원의 잠재성 형성의 단계 ② 동원의 단계 ③동기화의 단계 ④장애극복의 4단계를 제안 하고 있다. (Klandermans, 1997, 임희섭, p170재인용)
참여에의
동기를 갖지 않음
비참여
참여
동원대상
에서
제외됨
동원의
대상이

운동에
대해
동정적
참여에의
동기를
가짐
운동에
대해
비동정적
그림1- 사회운동 참여에 이르는 네 단계(임희섭, p171 재인용)
2) 개인의 집합참여 동기
클랜더멘스는 "동기화"의 단계에 있는 개인 이 집합행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집합행동의 목표가 추구할 가치가 있다는 인식과 집합행동이 목표달성에 성공 할 것이라는 인식을 내용으로 하는 '집합적 보상(collectives benefits)'에의 기대와 사회운동이 참여자에게만 제공하는 선택적 유인(selective incentives)들을 고려하여 참여 동기를 갖는다고 한다. (임희섭, p170)
운동의 목표 가치
집합적 보상
운동의 목표의 성취 가능성에 대한 기대
참 여
선택적 유인
그림2-참여에의 동기구성의 모델
3) 참여의 지속과 이탈과정
클랜더메스는 집합행동 참여자들의 헌신의 강도에 따라 참여를 계속 할 것인지 이탈 할 곳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만 족
정서적 관여
지속적 참여
투 자
계속적 관여
잔류 또는 이탈의 의도
대 안
이 탈
규범적 관여
사회화
그림3- 헌신과 지속적 참여의 모델(임희섭, p172)
(4) 평가
클랜더메스는 개인들이 사회운동에 참여하고, 참여를 계속하게 된느 과정을 사회심리학적 접근과 구성주의적 접근을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설명하려고 시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6. 구성주의론의 종합적 평가
(1) 벤포드의 비판
벤포드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사회운동연구들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들로 일곱 가지를 들고 있다.(임희섭, pp175-178)
1) 체계적인 경험적 연구(systematic empirical studies)를 수행하지 않았다.
개별적인 사례를 넘어서서 사회운동의 틀구성의 전략에 대한 일반화를 시도하는 체계적인 연구들은 별로 없었다. 그 이유의 하나는 틀구성(framing)의 인식론적 혼란에 있다.
2) 구성주의적 사회운동 연구들은 대부분 분석적이지 못한 기술 적인 편향성(descriptive bias)을 지니고 있다.
구성주의자들이 시도한 수많은 '집합행동틀'에 대한 연구들은 한정적인 특수한 틀의 분석에 매달려 왔다. 결과적으로 틀구성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을 수행했다기보다는 형태론적, 유형론적 분석을 수행했을 뿐이라고 말할 수 있다.
3)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정태적 경향을 지니고 있었다.
대부분의 틀구성 연구들이 틀구성의 과정보다는 틀의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4) 물화의 오류에 빠지는 경향을 보인다.
5) 심리학적 환원론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
6) 엘리트 편향적이다.
7) 구성주의적 접근은 단원론적 경향을 지닌다.
(2) 맥아담의 비판
맥아담은 구성주의적 접근의 문제점으로 '관념론적 편향성(ideational bias)'을 들고 있다. 그는 구성주의적 접근이 사회운동의 '행동(action)'을 소홀히 취급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4.21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1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