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사의 개념, 종류, 특성
2. 관형사의 개념, 종류, 특성
3. 감탄사의 개념, 종류, 특성
4. 부사, 관형사, 감탄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2. 관형사의 개념, 종류, 특성
3. 감탄사의 개념, 종류, 특성
4. 부사, 관형사, 감탄사의 공통점과 차이점
본문내용
원, 육이오>
/ 나는 그와의 대화를 마친 뒤에 곧장 내가 쓰고 있는 방에 틀어박혀서 그와 나누었던 이야기를 {가급적} 생생하게 기록하였다. <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고기 종류는 다 좋은데 선지나 창자는 {가급적} 안 먹는 것이 좋아. 왜 먹지 말라는지에 대해서 는, 김 씨는 끝내 아무 설명도 해 주지 않았다. <홍성원, 흔들리는 땅>
Ⅱ. 관형사
) 정호성. 805p
* 가정적 [家庭的]
① 가정과 관계되거나 가정에서와 같은 또는 그런 것.
{가정적} 분위기
/ {가정적} 문제
/ 여성의 사회적, {가정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 순조로운 환경에서 단정히 자라나던 소년 공초는 십 육 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얼마 안 되어 계모 를 맞아 {가정적} 불행을 맛보게 되었다. <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그 하는 말이나 동작이 아무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나, 친정 오라비에게나 하듯이 {가정적} 정미 가 흐르는 것도, 전에 실없이 굴던 것과는 다르다. <염상섭, 취우>
/ 그는 {가정적인} 시련을 극복하였다.
/ 비행 청소년들은 {가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 그는 나보다 {가정적으로} 훨씬 유여했지만 워낙 공부가 싫어서 고등학교까지를 간신히 마치자 면서기가 되었고…… <김동리, 까치소리>
/ 그의 생애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어머니에 한한 것 같으며, 오히려 {가정적으로는} 행복하지 못했던 것같이 생각된다. <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부자는 마침내 단순한 인간적이요 {가정적인} 대립에서 정치적인 대립으로 대립이 되고 말았다. <채만식, 도야지>
② 가정생활에 충실한, 또는 그런 것.
{가정적} 남편
김 과장은 매우 {가정적인} 사람이다.
/ 그 자신도 은행원이란 직업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런 성품의 사람이 대부분 그렇듯 그는 {가정적 이었고} 소시민적이었다. <조정래, 태백산맥>
/ 익수는 마음이 놓여서인지 삼열이의 얌전한 {가정적인} 성격이 마음에 들어서인지 이런 생각을 하 였다. <염상섭, 대를 물려서>
Ⅲ. 감탄사
) 정호성. 1169p-1170p
* 가만
1. 부사
① 움직이지 않거나 아무 말 없이.
한 곳에 {가만} 서 있다.
/ 그 남자는 기막힌 듯이 {가만} 서 있었다.
/ 그 아이는 신기하게도 {가만} 책만 읽고 있다.
/ 선생님은 우는 아이의 말을 {가만} 듣고만 있었다.
/ {가만} 계세요, 자꾸 움직이면 침을 놓을 수 없어요.
/ 그 사람은 호숫가에서 움직이지도 않고 {가만} 앉아 있었다.
/ 어머니는 뒤에서 내가 공부하는 모습을 {가만} 지켜보고 있었다.
/ 모자 쓴 사람은 그 여자의 말을 {가만} 듣다가 눈물을 흘리곤 했다.
/ 숙자는 대답도 없이 {가만} 앉아 있더니 이런 말을 했다. <이병주, 지리산>
② 어떤 대책을 세우거나 손을 쓰지 않고 그냥 그대로.
나를 제발 좀 {가만} 내버려둬.
/ 깨진 유리 조각은 만지지 말고 {가만} 두어라.
/ 그런 모욕을 받는다면 나도 {가만} 보고 있지는 않을 거야.
/ 제발 나더러 어떻게든 손을 써 보라고, 그래도 {가만} 놔뒀다간 그 사람 제 명대로 못 살 거라고 은근히 압력을 넣어 오곤 해서.... <윤홍길, 무제>
/ 자기네 중선의 무사 안전을 위해서 눈 시퍼렇게 든 사람을 제수로 던져 넣으려 한 그들을 {가만} 두고 있는 하늘과 바다가 무심하고 야속했다. <한승원, 해일>
/ “아무래도 큰 불행이 닥칠 것만 같아요. 그걸 번연히 알면서 {가만} 보고만 있을 수가 없어요.” <이병주, 지리산>
/ 훨씬 더 늙은 그 영감이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아이들을 시켜 짬뚱이를 잡는다니까 {가만} 놔두 지 않았었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
③ (주로 ‘생각하다’, ‘돌이키다’ 따위의 동사와 함께 쓰여) 마음을 가다듬어 곰곰이.
혼자서 {가만} 생각해 보니까 기억이 어렴풋이 나더라.
/ {가만} 돌이켜 보면 내가 너무 심했다는 생각도 들어.
/ {가만} 생각해 보니까, 장 박사를 처음에 우리 학교에 모시게 된 것은 1975년이군요.
/ 방금 전화가 미스터 서한테서 왔는데 죽고 싶은 심정이라니? 그 이상 설명도 없이 전화는 끊어졌 는데 {가만} 생각해 보니 막상 농담이 아닌 것 같아. <이병주, 행복어 사전>
/ 버스를 타고 말야 서울역을 지나다 {가만} 생각해 보니, 갑자기 운희 누님이 보고 싶더군, 그래서 버스에서 내렸지. <윤홍길, 묵시의 바다>
④ 말없이 찬찬히.
{가만} 보니 문제가 많네.
/ 그는 {가만} 집을 떠날 준비를 한다.
/ 누워 있는 남편 앞에 상을 내려놓으며 {가만} 맥을 보았다.
/ 그 사람을 {가만} 바라보니, 기가 막히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저 작자가 {가만} 보니 초장부터 이 일에 훼방을 놓자고 나온 작자구먼. <송기숙, 녹두장군>
2. 감탄사
남의 말이나 행동을 막을 때 쓰는 말.
{가만}, 저게 무슨 소리지?
/ {가만}, 내 말 좀 들어 봐.
/ {가만}, 이것 마저 듣고 얘기하지.
/ {가만}, 이것 놓고 얘기하라니깐.
/ {가만}! 늠연히 울린 신왕의 음성에 보련은 그 자리에 섰다. <김동인, 운현궁의 봄>
/ {가만}! 젊은 출들이 욱 몰려가는 것을 박응언이가 제지했다. <한무숙, 돌>
|참고 문헌|
서상규(1993), ‘현대 한국어의 시늉말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 “J j 숯 149집, 조선
이운영(2002),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국립국어연구원.
이익섭·남기심(1986), “국어문법론·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임홍빈·장소원(1995), “국어문법론·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최현배(1937, 1983),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허웅(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이주행(2000) “한국어 문법의 이해”,
이광호(2005).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정호승(2004) “주요 어휘 용례집: 부사·관형사·대명사·수사·감탄사·의존명사 편”,
국립국어연구원
노대규(1997)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김기혁(1995) "국어문법연구" 박이정출판사
김기덕외(2003)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임유종(1999) "한국어 부사연구" 한국문화사
/ 나는 그와의 대화를 마친 뒤에 곧장 내가 쓰고 있는 방에 틀어박혀서 그와 나누었던 이야기를 {가급적} 생생하게 기록하였다. <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고기 종류는 다 좋은데 선지나 창자는 {가급적} 안 먹는 것이 좋아. 왜 먹지 말라는지에 대해서 는, 김 씨는 끝내 아무 설명도 해 주지 않았다. <홍성원, 흔들리는 땅>
Ⅱ. 관형사
) 정호성. 805p
* 가정적 [家庭的]
① 가정과 관계되거나 가정에서와 같은 또는 그런 것.
{가정적} 분위기
/ {가정적} 문제
/ 여성의 사회적, {가정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 순조로운 환경에서 단정히 자라나던 소년 공초는 십 육 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얼마 안 되어 계모 를 맞아 {가정적} 불행을 맛보게 되었다. <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그 하는 말이나 동작이 아무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나, 친정 오라비에게나 하듯이 {가정적} 정미 가 흐르는 것도, 전에 실없이 굴던 것과는 다르다. <염상섭, 취우>
/ 그는 {가정적인} 시련을 극복하였다.
/ 비행 청소년들은 {가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 그는 나보다 {가정적으로} 훨씬 유여했지만 워낙 공부가 싫어서 고등학교까지를 간신히 마치자 면서기가 되었고…… <김동리, 까치소리>
/ 그의 생애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것은 어머니에 한한 것 같으며, 오히려 {가정적으로는} 행복하지 못했던 것같이 생각된다. <정병욱 외, 한국의 인간상>
/ 부자는 마침내 단순한 인간적이요 {가정적인} 대립에서 정치적인 대립으로 대립이 되고 말았다. <채만식, 도야지>
② 가정생활에 충실한, 또는 그런 것.
{가정적} 남편
김 과장은 매우 {가정적인} 사람이다.
/ 그 자신도 은행원이란 직업에 만족하고 있었다. 그런 성품의 사람이 대부분 그렇듯 그는 {가정적 이었고} 소시민적이었다. <조정래, 태백산맥>
/ 익수는 마음이 놓여서인지 삼열이의 얌전한 {가정적인} 성격이 마음에 들어서인지 이런 생각을 하 였다. <염상섭, 대를 물려서>
Ⅲ. 감탄사
) 정호성. 1169p-1170p
* 가만
1. 부사
① 움직이지 않거나 아무 말 없이.
한 곳에 {가만} 서 있다.
/ 그 남자는 기막힌 듯이 {가만} 서 있었다.
/ 그 아이는 신기하게도 {가만} 책만 읽고 있다.
/ 선생님은 우는 아이의 말을 {가만} 듣고만 있었다.
/ {가만} 계세요, 자꾸 움직이면 침을 놓을 수 없어요.
/ 그 사람은 호숫가에서 움직이지도 않고 {가만} 앉아 있었다.
/ 어머니는 뒤에서 내가 공부하는 모습을 {가만} 지켜보고 있었다.
/ 모자 쓴 사람은 그 여자의 말을 {가만} 듣다가 눈물을 흘리곤 했다.
/ 숙자는 대답도 없이 {가만} 앉아 있더니 이런 말을 했다. <이병주, 지리산>
② 어떤 대책을 세우거나 손을 쓰지 않고 그냥 그대로.
나를 제발 좀 {가만} 내버려둬.
/ 깨진 유리 조각은 만지지 말고 {가만} 두어라.
/ 그런 모욕을 받는다면 나도 {가만} 보고 있지는 않을 거야.
/ 제발 나더러 어떻게든 손을 써 보라고, 그래도 {가만} 놔뒀다간 그 사람 제 명대로 못 살 거라고 은근히 압력을 넣어 오곤 해서.... <윤홍길, 무제>
/ 자기네 중선의 무사 안전을 위해서 눈 시퍼렇게 든 사람을 제수로 던져 넣으려 한 그들을 {가만} 두고 있는 하늘과 바다가 무심하고 야속했다. <한승원, 해일>
/ “아무래도 큰 불행이 닥칠 것만 같아요. 그걸 번연히 알면서 {가만} 보고만 있을 수가 없어요.” <이병주, 지리산>
/ 훨씬 더 늙은 그 영감이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아이들을 시켜 짬뚱이를 잡는다니까 {가만} 놔두 지 않았었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
③ (주로 ‘생각하다’, ‘돌이키다’ 따위의 동사와 함께 쓰여) 마음을 가다듬어 곰곰이.
혼자서 {가만} 생각해 보니까 기억이 어렴풋이 나더라.
/ {가만} 돌이켜 보면 내가 너무 심했다는 생각도 들어.
/ {가만} 생각해 보니까, 장 박사를 처음에 우리 학교에 모시게 된 것은 1975년이군요.
/ 방금 전화가 미스터 서한테서 왔는데 죽고 싶은 심정이라니? 그 이상 설명도 없이 전화는 끊어졌 는데 {가만} 생각해 보니 막상 농담이 아닌 것 같아. <이병주, 행복어 사전>
/ 버스를 타고 말야 서울역을 지나다 {가만} 생각해 보니, 갑자기 운희 누님이 보고 싶더군, 그래서 버스에서 내렸지. <윤홍길, 묵시의 바다>
④ 말없이 찬찬히.
{가만} 보니 문제가 많네.
/ 그는 {가만} 집을 떠날 준비를 한다.
/ 누워 있는 남편 앞에 상을 내려놓으며 {가만} 맥을 보았다.
/ 그 사람을 {가만} 바라보니, 기가 막히지 않을 수 없습니다.
/ 저 작자가 {가만} 보니 초장부터 이 일에 훼방을 놓자고 나온 작자구먼. <송기숙, 녹두장군>
2. 감탄사
남의 말이나 행동을 막을 때 쓰는 말.
{가만}, 저게 무슨 소리지?
/ {가만}, 내 말 좀 들어 봐.
/ {가만}, 이것 마저 듣고 얘기하지.
/ {가만}, 이것 놓고 얘기하라니깐.
/ {가만}! 늠연히 울린 신왕의 음성에 보련은 그 자리에 섰다. <김동인, 운현궁의 봄>
/ {가만}! 젊은 출들이 욱 몰려가는 것을 박응언이가 제지했다. <한무숙, 돌>
|참고 문헌|
서상규(1993), ‘현대 한국어의 시늉말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 “J j 숯 149집, 조선
이운영(2002), “「표준국어대사전」 연구 분석”, 국립국어연구원.
이익섭·남기심(1986), “국어문법론·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임홍빈·장소원(1995), “국어문법론·I”,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최현배(1937, 1983),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허웅(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이주행(2000) “한국어 문법의 이해”,
이광호(2005). “근대국어문법론”, 태학사
정호승(2004) “주요 어휘 용례집: 부사·관형사·대명사·수사·감탄사·의존명사 편”,
국립국어연구원
노대규(1997) “한국어의 감탄문”, 국학자료원
김기혁(1995) "국어문법연구" 박이정출판사
김기덕외(2003)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임유종(1999) "한국어 부사연구" 한국문화사
추천자료
미국과 로마의 공통점과 차이점
유교와 도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유학적 지도자와 현대위정자의 공통점과 차이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의 차이점 - 공통점과 차이점
장애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리더십-관리자와 리더의 공통점과 차이점 (나는 리더가 될 것인가 관리자가 될 것인가)
예수와 바울의 공통점과 차이점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논하십시오.
정신위생운동과 지역사회정신건강운동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시오.
프로이드와 에릭슨 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다중지능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사회복지와 자원봉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적으시오 [사회복지개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