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서비스론요약,박준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서비스론요약,박준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보서비스론 요약본임. 문헌정보학 학생의 시험공부 자료로 유용할 듯..

본문내용

연구에서 연방정부의 역할
◎ 도서관 네트워크의 기능
-상호대차(ILL: interlibrary loan)와 문헌배달서비스
-정보검색과 정보서비스
-통신서비스
-협동수서
-공동편목
-협동연속간행물통정
-협동보존기능
◎ 서지네트워크 정의와 기능
-정의: 회원도서관들간의 서지사항의 공동작성과 공동이용을 위하여 MARC(기계가독형목록 machine-readable cataloging)을 중심으로 구축된 네트워크
-기능: 1차자료의 신속한 소재파악
직·간접의 파일 이용을 통한 자료의 수서
대출통제와 원거리 목록의 엑세스
컴퓨터 터미널에서 각 회원 도서관의 계속적인 분담 목록 업무
미의회도서관(LC)의 인명 전거파일에 대한 온라인 접근
◎ 국내 네트워크
-국가전자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한국과학정보연구원(KISTI), 전자저널 국가컨 소니엄(KESLI), 학술정보공동활용협의회(KORSA)
◎ 해외 네트워크
-OCLC(주요서비스:FirstSearch, WorldCat, Resource Sharing, Digitization and Preservation)
-RLIN(비영리 회원단체기구, RLG union catalog, English Short Title Catalogue DB 제공)
-CARL(콜로라도주에 있는 도서관 비영리 협력체, ERIC, Magazine Index, Facts on File 색 인 초록 서비스, prospector:종합목록시스템, Gold Rush:전자저널관리시스템, UnCover:학술 잡지 기사 검색 및 원문 전송 서비스-현재 Ingenta에서 서비스)
-OCLC Western Service(WLN: 현재 OCLC western service center, 주립도서관이 중심체)
◎ 지역 네트워크
-AMIGOS, CAPCON, FEDLINK, MLC, OHIONET, SOLINET
◎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특징
-문자, 기호, 도형, 음성, 화상, 영상 등 상호 관련된 다수의 콘텐츠를 정보처리 및 정보통 신기기에 의하여 체계적으로 수집축적하여 다양한 용도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 리한 정보의 집합체
-특징: 실시간 접근, 계속적인 변화, 동시공유, 내용에 의한 참조
◎ 참고사서의 DB 선택 시 판단고려 요소
- 탐색의 정확성, 신속성, 포괄성, 경제성
◎ 인용색인
-종류: SCI(Science Citation Index), SSCI(Social science citation index)
, A&HIC(Arts&humanities citation index)
-개념: 저자명이나 논문명(서명)을 색인어로 하여 그 저작이 다른 어떤 논문에 인용되었는 가를 검색하기 위한 색인.
-기능: 논문의 인용상태 체크, 여러 가지 색인상황을 색인보다 더 많이 알수있어 유용성이 높다. 논문의 수준체크가 가능
◎ 참고자료(데이터베이스) 평가기준
-데이터(정확성, 최신성, 완전성, 일관성, 포괄성, 권위, 객관성, 유일성)
-서비스(검색성, 상호 작용성, 디자인, 접근성, 비용)
-효과성(정보적합성, 정보탐색충족률, 정보유용성, 정보영향력, 비용대비 효과성,이용자만족도)
◎ 관종별 특성
-공공도서관: 지역사회 주민을 봉사대상으로 지역적 특성에 맞는 정보봉사를 제공
즉답형 질문유형의 비율이 타 관종의 도서관베 비해 높음
-대학도서관: 학생, 대학원생과 교수집단을 봉사대상으로 대학교육의 발전과 학술연구의 진 보를 위해 교육활동을 지원
-전문도서관: 재정을 지원하는 설립모체의 이익창출을 위해 정보활동을 하며 한정된 이용 자를 대상으로 봉사제공
-학교도서관: 학교교육의 지원에 목적을 두고 봉사
◎ 이용자교육 정의
-도서관 서비스, 시설, 조직, 자료 및 자료검색방법에 대하여 이용자를 교육하기 위한 일련 의 활동을 지칭하는 말(문헌정보학사전 정의). 정보서비스 업무의 한 부분으로 참고정보원 의 이용지도, 도서관 이용법 지도, 서지 교육 등을 포괄하는 명칭(ALA 정의)
-사무엘 S 그린: 도서관 이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목록을 찾거나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없으므로 사서는 이러한 이용자들에게 협조하여 적합한 자료를 찾도록 도와주어야 한 다고 처음 이용자교육의 필요성을 제안
◎ 이용자교육 내용
① 도서관건물, 내부 시설과 조직의 소개
② 문헌분류 및 목록법의 기초적 지식 소개
③ 문헌 및 온라인서비스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소개
④ 도서관이용 규정
⑤ 참고도서를 포함한 정보자료의 안내와 이용법
⑥ 상호대차 및 원문제공서비스의 이용
⑦ 리포트 및 논문작성법
◎ 이용자교육 유형
1)비공식적 교육-개별교육
-서비스현장교육: 사서가 가장 일상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교육의 형태, 가장 오래된 교육 의 방법, 개별이용자 대상으로 구두교육이 주류며 교육보조자료가 거의 필요없는 참고면 의 형식
2)공식적 교육-단체교육
-오리엔테이션: 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실시되는 교육으로 학교도서관 신입생이나 지역 주 민을 대상으로 하는 초보적 단계의 이용자 교육. 시행방법으로 ‘구두설명, 슬라이드, 비디 오 방영, 관내 투어. 전자키아스크, 전자게시판 등
-도서관교육: 학부생 수준의 중급단계 교육, 특정 주제나 테마에 대한 정보를 찾는 이용자 를 대상으로 교육, 시행방법으로 ‘도서관 주최 강습회(워크숍), 특상형식의 강의’,
-서지교육: 학부의 상급 학생이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준 높은 이용교육, 정보 접 급이 도서관에 제한되지 않고 매체(멀티미디어, 컴퓨터보조교육)을 활용, 서지교육내용~> 도서관견학, 도서관 자료 탐색전략에 관한 비디오 상영, 특정 도서관용으로 쓰여진 정보 탐색기술 지침서의 활용, 온라인 공동목록 탐색실습, 데이터베이스 탐색기법에 대한 수 업, 논문을 쓸 때 필요한 자료의 탐색에 관한 자문
-정보관리교육: 최근 도입된 개념, 정보확인-검색-평가에 대한 이용교육, 전문도서관의 이 용자나 대학원생 이상을 대상, 1980년대 의학도서관에서 의사들에게 MEDLINE과 같은 의학정보를 탐색하는 방법과 수집된 복사자료를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친 것에서 비롯됨
◎ 이용자교육의 방법
1)강의-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①직접교수법~>사서가 강의 주체, 장점: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0.04.26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3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