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국부의 증진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국부란 여러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비단 한 국가의 재화나 용역 등의 화폐가치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국가이미지나 국민들의 국가에 대한 만족도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아담 스미스는 국부에 대해서 자유방임주의의 원리 하에 국부의 증진을 제창하였다. 이는 그 당시 경제학에 있어서 실로 획기적인 이론의 정립이었고, 그간 체계화되지 못했던 여러 이론들을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런 아담 스미스의 주장도 이론과 현실의 괴리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야기하게 되었다. 시장실패(market failure, 市場失敗)가 바로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정부의 역할이 작은 정부로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는 더 큰 정부의 역할을 해야 했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시장실패와 정부실패(government failure, 政府失敗)가 거듭되었고, 그 결과 현재 혼합경제체제(mixed economy, 混合經濟體制)가 대두되게 된 것이다. 이런 현제의 상황에서 그 쟁점의 핵심이 되고 있는 성장과 분배사이의 결정은 아직도 경제학에서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다. 각 국가들은 자국의 상황을 잘 파악해서 성장과 분배의 정책결정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도 외형만 크게 부풀리기보다는 내실을 단단하게 하고 성장을 해야 할 것이다. 안정속의 성장이 이루기 힘든 과제일지 모르지만, 최대한 정책결정에 신중을 기한다면 국부의 증진을 이룩함에 있어서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고르게 나아갈 수 있을 것 이다.
추천자료
국제정치경제(3대시각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와 신보수주의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
죽은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경제 서적
부의 기원(the origin of wealth)
신자유주의와 세계화 [사회과학]
사회주의의 형성배경과 전개
경제사상사 정리
고전학파 경제학의 역사, 고전학파 경제학의 배경, 고전학파 경제학의 이론, 고전학파 경제학...
경제학 클래식 카페를 읽고
경제학클래식카페 요약 및 후기
최진기 생존경제18회
국제마케팅 레포트
[경영학원론] 경영학의 역사 - 경영학 형성 이전시기, 경영학의 역사적 발전(1900-1990년대)...
[역사와 문명의 이해]중상주의의역사배경,식민지쟁탈정책,중상주의 vs 중농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