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회로 구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리회로 구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과 같은 인코더 회로를 구성한다. 7432의 7번 핀은 접지하며, 14번 핀은 +5V 전압을 인가한다. 입력의 상태를 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출력 상태를 기록하여라.
□ 시뮬레이션 결과
□ 결과 값
D3
D2
D1
D0
A
B
0
0
0
1
0
0
0
0
1
0
1
0
0
1
0
0
0
1
1
0
0
0
1
1
③ 7442 IC는 BCD를 10진수로 변환하는 디코더 회로다. 7442의 8번 핀은 접지하며, 16번 핀은 +5V 전압을 인가한다. 아래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A, B, C, D의 상태를 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출력 상태를 기록하여라.
□ 시뮬레이션 결과
□ 결과 값
D
C
B
A
0
1
2
3
4
5
6
7
8
9
0
0
0
0
0
1
1
1
1
1
1
1
1
1
0
0
0
1
1
0
1
1
1
1
1
1
1
1
0
0
1
0
1
1
0
1
1
1
1
1
1
1
0
0
1
1
1
1
1
0
1
1
1
1
1
1
0
1
0
0
1
1
1
1
0
1
1
1
1
1
0
1
0
1
1
1
1
1
1
0
1
1
1
1
0
1
1
0
1
1
1
1
1
1
0
1
1
1
0
1
1
1
1
1
1
1
1
1
1
0
1
1
1
0
0
0
1
1
1
1
1
1
1
1
0
1
1
0
0
1
1
1
1
1
1
1
1
1
1
0
④아래 그림은 디코더/드라이버인 7447 IC와 7-세그먼트를 이용하여 임의의 10진수를 표시하는 회로다. 7447의 8번 핀은 접지하며, 16번 핀은 +5V의 전압을 인가한다. 7-세그먼트는 공통 애노드형인 FND 507을 사용하고, COM 단자에 연결한 330Ω 저항은 보호용이다. 이래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A, B, C, D의 상태를 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출력 상태를 기록하여라. 여기서 7447의 3번, 4번, 5번 핀은 +5V 전압을 인가한다.
□ 시뮬레이션 결과
□ 결과 값
10진수
D
C
B
A
a
b
c
d
e
f
g
표시
0
0
0
0
0
0
0
0
0
0
0
1
0
1
0
0
0
1
1
0
0
1
1
1
1
1
2
0
0
1
0
0
0
1
0
0
1
0
2
3
0
0
1
1
0
0
0
0
1
1
0
3
4
0
1
0
0
1
0
0
1
1
0
0
4
5
0
1
0
1
0
1
0
0
1
0
0
5
6
0
1
1
0
1
1
0
0
0
0
0
6
7
0
1
1
1
0
0
0
1
1
1
1
7
8
1
0
0
0
0
0
0
0
0
0
0
8
9
1
0
0
1
0
0
0
1
1
0
0
9
10
1
0
1
0
1
1
1
0
0
1
0
11
1
0
1
1
1
1
0
0
1
1
0
12
1
1
0
0
1
0
1
1
1
0
0
13
1
1
0
1
0
1
1
0
1
0
0
14
1
1
1
0
1
1
1
0
0
0
0
15
1
1
1
1
1
1
1
1
1
1
1
⑤74138 IC 핀 배치도를 참조하여 그림과 같은 디코더 회로를 구성한다. 입력의 상태를 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출력 상태를 기록하여라. 여기서 인에이블 단자인 4번, 5번 핀은 접지하고, 6번 핀은 +5V 전압을 인가한다.
□ 시뮬레이션 결과
□ 결과 값
C
B
A
Y7
Y6
Y5
Y4
Y3
Y2
Y1
Y0
0
0
0
1
1
1
1
1
1
1
0
0
0
1
1
1
1
1
1
1
0
1
0
1
0
1
1
1
1
1
0
1
1
0
1
1
1
1
1
1
0
1
1
1
1
0
0
1
1
1
0
1
1
1
1
1
0
1
1
1
0
1
1
1
1
1
1
1
0
1
0
1
1
1
1
1
1
1
1
1
0
1
1
1
1
1
1
1
⑥ 74148 IC 핀 배치도를 참조하여 그림과 같은 8X3 우선순위 인코더 회로를 고성하여라. 74148의 8번 핀은 접지하며, 16번 핀은 +5V 전압을 인가한다. 입력의 상태를 표와 같이 변화시키면서 출력 상태를 기록하여라.
□ 시뮬레이션 결과
□ 결과 값
EI
D7
D6
D5
D4
D3
D2
D1
D0
A2
A1
A0
GS
EO
1
X
X
X
X
X
X
X
X
1
1
1
1
1
0
1
1
1
1
1
1
1
1
1
1
1
1
0
0
1
1
1
1
1
1
1
0
1
1
1
0
1
0
1
1
1
1
1
1
0
X
1
1
0
0
1
0
1
1
1
1
1
0
X
X
1
0
1
0
1
0
1
1
1
1
0
X
X
X
1
0
0
0
1
0
1
1
1
0
X
X
X
X
0
1
1
0
1
0
1
1
0
X
X
X
X
X
0
1
0
0
1
0
1
0
X
X
X
X
X
X
0
0
1
0
1
0
0
X
X
X
X
X
X
X
0
0
0
0
1
7. 결과 ( 과제 후기 )
이번 과제를 통해서 이론으로만 배워왔던 여러 가지 기본적인 게이트부터 인코더나 디코더처럼 조금 복잡한 게이트 까지 직접 작성해 볼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게이트 등을 직접 작성해 봄으로써 입력 값으로부터 결과 값이 어떻게 산출 되는지 바로바로 확인 해볼 수 있어서 좋았고, 이해가 빨랐습니다. 과목 자체가 실습을 통해서 공부 하게 된다면 훨씬 좋을 것 같은데 환경이 따라주지 않아서 많이 아쉬웠습니다.
이번 과제를 수행하면서 사용한 프로그램에는 여러 가지 칩들이 내장 되어 있어서, 가져다 쓰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에 매우 편리했고, 처음 써보는 사람도 교재 686쪽의 가이드를 따라서 조금만 해보면 쉽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입력 값을 다르게 하려면 클럭값의 변화를 주어서 1과 0이 바뀌는 차이를 주어야 했는데 클럭을 클릭 한 뒤 단축키 ctrl + k 를 통해서 클럭값 변경 창을 띄운 뒤 값을 변경 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칩을 선택 하기 위해서는 오른쪽에 있는 메뉴를 클릭하여
그에 해당하는 칩을 선택하고 드래그 해서 가져오던지 더블 클릭을
통해서 가져다 쓸 수 있었습니다.
과제를 수행하면서 검토에 나와 있는 부분들도 직접 해보았는데,
결과 값을 확대해서 보게 되면 같은 칩이라도 미세하게 출력이
다르게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수업을 수강하기 전에 컴퓨터 구조론 수업을 들어서
구조론 시간에 수업을 이해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번
2학년 들은 이 수업을 들은 후에 컴퓨터 구조론 수업을 듣기
때문에 구조론 수업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 좋은 수업 감사드립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0.04.29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