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고대음악(기원전 5000년 - 3세기)
1.고대 동방의 음악
2.고대 그리스 음악
3.고대 이집트 음악
4.고대 로마 음악
Ⅱ.중세음악
Ⅲ. 로마네스크 음악(Romanesque)
Ⅳ. 고딕(Gothic)음악
Ⅴ. 세속 음악(Secular music)
기보법(Notation)의 발명
정량 기보법(Mensural notation 定量記譜法)
(참고)폴리포니 (Polyphony)
(참고)교회 선법
(참고) 네우마(Neuma)
(참고)정량음악
Ⅵ. 르네상스음악
악보 인쇄의 발명
Ⅶ. 바로크음악
Ⅷ. 오페라의 탄생
오라토리오와 칸타타
악기의 발달
기악곡
전기 바로크
후기 바로크
Ⅸ. 고전파음악
Ⅹ.낭만파 음악
전기 낭만파 음악 시기
후기 낭만파 음악 시기
(1) 전기 낭만파 음악가
(2) 후기 낭만파 시기
ⅩⅠ. 국민악파 음악(Nationalism Music)
ⅩⅡ. 근대와 현대음악
1890∼1918년 사이의 음악
인상주의(Impressionism 印象主義)
원시주의(Primitivism) 음악
표현주의(Expressionism)
1918∼1945년 사이의 음악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新古典主義)
12음 주의(Dodacaphonism)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新卽物主義)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
1945년 이후의 음악
뮈지크 콩크레트(Musique concrete 구체음악)
전자 음악(Elektronische Musik 電子音樂)
우연성의 음악(Music of chance operation 偶然性)
1.고대 동방의 음악
2.고대 그리스 음악
3.고대 이집트 음악
4.고대 로마 음악
Ⅱ.중세음악
Ⅲ. 로마네스크 음악(Romanesque)
Ⅳ. 고딕(Gothic)음악
Ⅴ. 세속 음악(Secular music)
기보법(Notation)의 발명
정량 기보법(Mensural notation 定量記譜法)
(참고)폴리포니 (Polyphony)
(참고)교회 선법
(참고) 네우마(Neuma)
(참고)정량음악
Ⅵ. 르네상스음악
악보 인쇄의 발명
Ⅶ. 바로크음악
Ⅷ. 오페라의 탄생
오라토리오와 칸타타
악기의 발달
기악곡
전기 바로크
후기 바로크
Ⅸ. 고전파음악
Ⅹ.낭만파 음악
전기 낭만파 음악 시기
후기 낭만파 음악 시기
(1) 전기 낭만파 음악가
(2) 후기 낭만파 시기
ⅩⅠ. 국민악파 음악(Nationalism Music)
ⅩⅡ. 근대와 현대음악
1890∼1918년 사이의 음악
인상주의(Impressionism 印象主義)
원시주의(Primitivism) 음악
표현주의(Expressionism)
1918∼1945년 사이의 음악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新古典主義)
12음 주의(Dodacaphonism)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新卽物主義)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
1945년 이후의 음악
뮈지크 콩크레트(Musique concrete 구체음악)
전자 음악(Elektronische Musik 電子音樂)
우연성의 음악(Music of chance operation 偶然性)
본문내용
하려 하였다. 멜로디는 무조(Atonality 無調)이고 화성은 불협화음을 사용했다. 이는 추상 세계라고 할만한 12음 기법에 이르는 과도기에 있어서의 표현주의로 간주할 수 있다.
인상주의가 프랑스를 중심한데 반해서 표현주의는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이는 특히 쇤베르크를 위시한 작곡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작품으로는 쇤베르크의 멜로드라마 \'달의 피에로\'와 교향시곡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를 들 수 있다.
1918∼1945년 사이의 음악
1890∼1918년 사이, 즉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후기 낭만파 음악 시대라 부르는 것 처럼 1918∼1945년까지의 양차 대전의 기간은 신고전 시대라 할 수 있다.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新古典主義)
이 음악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음악을 넓은 의미에서 보통 신고전주의 음악이라 한다. 이 시기의 음악은 낭만주의 음악에서 현대 음악에 이르는 과도기이기도 한다. 신고전주의는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지나친 주정(主情)성과 표제 음악적인 경향에의 반발로서 제1차 대전 후의 작곡가들의 경향이다. 이 음악은 고전 음악과 같이 간결한 형식미에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주관적인 정서의 과잉이라든가 방대한 관현악의 편성, 혹은 반음계의 남용, 표제적인 내용 등에 대한 반 낭만적 또는 인상주의와 표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객관적인 음악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은 스트라빈스키라고 하겠는데 부조니, 사티 등에 의해서 프랑스를 중심해 일어났다. 바르토크는 민족 음악을 바탕으로 하는 음악어법으로서 지금까지 볼 수 없던 새로운 음악을 창조했다. 말하자면 그는 민족적 신고전주의 작곡가로 간주할 수 있다.
12음 주의(Dodacaphonism)
12음 기법으로 작곡한 음악을 12음 음악이라 한다. 이는 쇤베르크가 종래의 조성 음악에서 벗어나 무조성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창조하였다. 이 기법은 1옥타브 안에 있는 12의 서로 다른 음을 1회씩 일정한 순서에 따라 사용한다. 여기서 세리(Serie) 라고 하는 음렬(Tonreihe 音列)을 만들어 이 세리를 여러 가지로 조작하여 음악을 만드는 방법이다.
말하자면 지금까지의 전통 음악의 음조직을 해체하고 12개의 음을 모두 평등한 가치로서 독립시켜 새로운 음의 표현을 시도한 것이다. 따라서 장대한 곡에 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음을 중복해서 만드는 기능 화성(Functional harmony)적인 성격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선적인 대위법의 수법을 사용하기 마련이다. 이 음악은 쇤베르크의 제자, 베베른과 베르크에 의해서 계승되었고 제2차 대전 후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되었으며 더욱 새로운 발전을 보였다.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新卽物主義)
제1차 대전과 제2차 대전 사이에 일어난 독일의 예술 사조이다.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을 철저히 하려 하였다. 이 같은 점에서는 신고전주의와 같은 경향인데 독일의 주관적인 표현주의에의 강한 반동으로 생긴 것이다.
신즉물주의란 본래 미술 용어 로서 주로 독일에서 일어난 예술상의 사조이다. 신즉물주의 문학에는 표현주의의 흥분성을 제거해 버리고 건강하고 명확하게 현실에 부합하도록 사물의 핵심을 보고 또한 파악해가려는 것이다.
이 음악은 힌데미트, 바일 등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
19세기 러시아 음악은 5인조 등의 작곡가들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유럽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이래로 러시아는 세계 민족 음악 운동의 선구자 내지는 추진력이 되어 왔다.
1917년의 혁명을 계기로 1920년경에는 예술에 있어서도 혁명적인 것, 또는 전위적인 것이 용인되었다. 1928년, 제1차 5개년 계획을 계기로 하여 예술 부문에까지 이데올로기의 강화가 시작되었다. 1930년에 \'혁명에 있어서는 민족적, 내용에 있어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슬로우건을 내걸었고 1934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선언했던 것이다.
그 후 당시의 정치적 요 청에 따라 서구적인 모더니즘을 깨끗이 털어 없앰으로써 작곡 양식은 19세기로 되돌아간 감이 있다. 사회주의적 창조 방법을 추구하는 이 음악은 개인주의적 형식주의에 의해서 행하여진 대중과 예술의 분열을 없애고서 개성적인 창조 활동을 사회에 재통합하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이념을 고도의 기술을 통해 간결 명랑하고 진실한 표현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주의적 예술 창조의 방법이기도 하다.
1945년 이후의 음악
제2차 대전이 1945년에 끝나자 지금까지 폐쇄되었던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길은 다시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궤도에 올라 새로운 양식이 나타나기는 1950년대에 가서야 비로소 가능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반낭만적인 사조가 강한데 비해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예컨대 메시앙과 같이 르네상스와 중세기의 기교의 부활을 꾀하는 작곡가도 있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는 전혀 새로운 영역으로 개척해 나가려는 경향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여기서는 세대의 교체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뮈지크 콩크레트(Musique concrete 구체음악)
이 음악은 제2차 대전 후 1948년에 프랑스의 파리 방송국의 기사 셰페르(Pierre Shaefer 1910~ )에 의해서 창시된 것으로서 새로운 표현 방법이다. 그 특징은 현실에 구체적으로 존재해 있는 음향을 자기(磁氣) 녹음 테이프에 녹음하여 그 음향을 중복하든가 녹음기의 회전 속도를 바꾸어 가며 음질을 변화시키면서 구성하는 음악이다.
이것은 처음에 레코드로 만들어졌으나 얼마 후에는 테이프 레코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악보와 연주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그것은 전자 음악과 공통되는 점이다. 그런데 음악은 악음(樂音)으로 구성한다는 본질에서 본다면 이는 반음악적 이라 하겠다. 셰페르는 \'철도의 에튀드\', \'멕시코의 피리\'를 1952년 블레즈는 \'에튀드 Ⅰ Ⅱ\', 메시 앙은 \'음색=지속\' 등의 작품을 썼고 1954년 바레즈는 \'사막\'을 작곡하였다.
전자 음악(Elektronische Musik 電子音樂)
이 음악은 1950년부터
인상주의가 프랑스를 중심한데 반해서 표현주의는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이는 특히 쇤베르크를 위시한 작곡가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작품으로는 쇤베르크의 멜로드라마 \'달의 피에로\'와 교향시곡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를 들 수 있다.
1918∼1945년 사이의 음악
1890∼1918년 사이, 즉 제1차 세계대전까지를 후기 낭만파 음악 시대라 부르는 것 처럼 1918∼1945년까지의 양차 대전의 기간은 신고전 시대라 할 수 있다.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新古典主義)
이 음악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음악을 넓은 의미에서 보통 신고전주의 음악이라 한다. 이 시기의 음악은 낭만주의 음악에서 현대 음악에 이르는 과도기이기도 한다. 신고전주의는 후기 낭만주의 음악의 지나친 주정(主情)성과 표제 음악적인 경향에의 반발로서 제1차 대전 후의 작곡가들의 경향이다. 이 음악은 고전 음악과 같이 간결한 형식미에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주관적인 정서의 과잉이라든가 방대한 관현악의 편성, 혹은 반음계의 남용, 표제적인 내용 등에 대한 반 낭만적 또는 인상주의와 표현주의에 대한 반동으로서 객관적인 음악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은 스트라빈스키라고 하겠는데 부조니, 사티 등에 의해서 프랑스를 중심해 일어났다. 바르토크는 민족 음악을 바탕으로 하는 음악어법으로서 지금까지 볼 수 없던 새로운 음악을 창조했다. 말하자면 그는 민족적 신고전주의 작곡가로 간주할 수 있다.
12음 주의(Dodacaphonism)
12음 기법으로 작곡한 음악을 12음 음악이라 한다. 이는 쇤베르크가 종래의 조성 음악에서 벗어나 무조성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창조하였다. 이 기법은 1옥타브 안에 있는 12의 서로 다른 음을 1회씩 일정한 순서에 따라 사용한다. 여기서 세리(Serie) 라고 하는 음렬(Tonreihe 音列)을 만들어 이 세리를 여러 가지로 조작하여 음악을 만드는 방법이다.
말하자면 지금까지의 전통 음악의 음조직을 해체하고 12개의 음을 모두 평등한 가치로서 독립시켜 새로운 음의 표현을 시도한 것이다. 따라서 장대한 곡에 이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음을 중복해서 만드는 기능 화성(Functional harmony)적인 성격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선적인 대위법의 수법을 사용하기 마련이다. 이 음악은 쇤베르크의 제자, 베베른과 베르크에 의해서 계승되었고 제2차 대전 후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되었으며 더욱 새로운 발전을 보였다.
신즉물주의(Neue Sachlichkeit 新卽物主義)
제1차 대전과 제2차 대전 사이에 일어난 독일의 예술 사조이다.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을 철저히 하려 하였다. 이 같은 점에서는 신고전주의와 같은 경향인데 독일의 주관적인 표현주의에의 강한 반동으로 생긴 것이다.
신즉물주의란 본래 미술 용어 로서 주로 독일에서 일어난 예술상의 사조이다. 신즉물주의 문학에는 표현주의의 흥분성을 제거해 버리고 건강하고 명확하게 현실에 부합하도록 사물의 핵심을 보고 또한 파악해가려는 것이다.
이 음악은 힌데미트, 바일 등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 Realism)
19세기 러시아 음악은 5인조 등의 작곡가들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유럽에 비해 뒤떨어져 있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 이래로 러시아는 세계 민족 음악 운동의 선구자 내지는 추진력이 되어 왔다.
1917년의 혁명을 계기로 1920년경에는 예술에 있어서도 혁명적인 것, 또는 전위적인 것이 용인되었다. 1928년, 제1차 5개년 계획을 계기로 하여 예술 부문에까지 이데올로기의 강화가 시작되었다. 1930년에 \'혁명에 있어서는 민족적, 내용에 있어서는 사회주의적\'이라는 슬로우건을 내걸었고 1934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선언했던 것이다.
그 후 당시의 정치적 요 청에 따라 서구적인 모더니즘을 깨끗이 털어 없앰으로써 작곡 양식은 19세기로 되돌아간 감이 있다. 사회주의적 창조 방법을 추구하는 이 음악은 개인주의적 형식주의에 의해서 행하여진 대중과 예술의 분열을 없애고서 개성적인 창조 활동을 사회에 재통합하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이념을 고도의 기술을 통해 간결 명랑하고 진실한 표현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주의적 예술 창조의 방법이기도 하다.
1945년 이후의 음악
제2차 대전이 1945년에 끝나자 지금까지 폐쇄되었던 국제적인 문화 교류의 길은 다시 열리게 되었다. 그러나 제대로 궤도에 올라 새로운 양식이 나타나기는 1950년대에 가서야 비로소 가능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반낭만적인 사조가 강한데 비해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예컨대 메시앙과 같이 르네상스와 중세기의 기교의 부활을 꾀하는 작곡가도 있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볼 때는 전혀 새로운 영역으로 개척해 나가려는 경향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여기서는 세대의 교체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다.
뮈지크 콩크레트(Musique concrete 구체음악)
이 음악은 제2차 대전 후 1948년에 프랑스의 파리 방송국의 기사 셰페르(Pierre Shaefer 1910~ )에 의해서 창시된 것으로서 새로운 표현 방법이다. 그 특징은 현실에 구체적으로 존재해 있는 음향을 자기(磁氣) 녹음 테이프에 녹음하여 그 음향을 중복하든가 녹음기의 회전 속도를 바꾸어 가며 음질을 변화시키면서 구성하는 음악이다.
이것은 처음에 레코드로 만들어졌으나 얼마 후에는 테이프 레코드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것은 악보와 연주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그것은 전자 음악과 공통되는 점이다. 그런데 음악은 악음(樂音)으로 구성한다는 본질에서 본다면 이는 반음악적 이라 하겠다. 셰페르는 \'철도의 에튀드\', \'멕시코의 피리\'를 1952년 블레즈는 \'에튀드 Ⅰ Ⅱ\', 메시 앙은 \'음색=지속\' 등의 작품을 썼고 1954년 바레즈는 \'사막\'을 작곡하였다.
전자 음악(Elektronische Musik 電子音樂)
이 음악은 1950년부터
추천자료
[디지털음악][디지털음악산업][디지털음반유통산업][MP3][P2P][저작권문제][대중음악]디지털...
[고전주의음악][하이든][모짜르트][모차르트][베토벤]고전주의음악의 정의, 고전주의음악의 ...
[음악][폴란드의 음악][러시아의 음악][북한의 음악][독일의 음악][로마의 음악][미국의 음악...
[서양음악사][고대음악][중세음악][르네상스음악][바로크음악][고전주의음악][낭만주의음악][...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 내용체계,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 교재, 초등학교 음악과(음...
디지털음반(디지털음악)의 개념, 전개, 장점, 디지털음반유통(디지털음악유통) 현황, 디지털...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성격,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성장과정, 음반산업(음악산업)의 규모, 음...
[음악치료][즉흥음악치료][음악교육]음악치료의 의미, 음악치료의 목적, 음악치료의 원리, 음...
대중가요(대중음악) 개념, 대중가요(대중음악) 50년사, 대중가요(대중음악) 주제, 대중가요(...
[한국음악][미국음악][독일음악][러시아음악][로마음악][선사시대음악][삼국시대음악]한국의 ...
[음악][고구려시대 음악][백제시대 음악][신라시대 음악][고려시대 음악][조선시대 음악][고...
[근현대음악, 근대 현대 음악, 대표작곡가, 양식]근현대음악(근대 현대 음악)의 정의, 근현대...
[고전음악의 이해] 바로크음악, 고전주의음악, 낭만주의음악
[ 음악치료 개념과 사례연구 ] 음악치료 개념과특성/ 음악치료 방법과 기대효과/ 음악치료 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