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신분석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해석(interpretation)
나)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다) 꿈의 분석(dream analysis)
라) 저항(resistance)
마) 전이(transference)
바) 기타 치료기법
2. 인지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인지적 기법
나) 정서적 기법
다) 행동적 기법
3. 행동주의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체계적 둔감화(systemic desensitization)
(1) 이완훈련
(2) 불안위계표 작성
(3) 체계적 둔감법 실시
나) 자기주장훈련(self-assertive training)
다) 모방학습
4. 인본주의 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반영
나) 명료화
다) 공감적 반응
참고자료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해석(interpretation)
나)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다) 꿈의 분석(dream analysis)
라) 저항(resistance)
마) 전이(transference)
바) 기타 치료기법
2. 인지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인지적 기법
나) 정서적 기법
다) 행동적 기법
3. 행동주의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체계적 둔감화(systemic desensitization)
(1) 이완훈련
(2) 불안위계표 작성
(3) 체계적 둔감법 실시
나) 자기주장훈련(self-assertive training)
다) 모방학습
4. 인본주의 이론의 치료기법
1) 치료 목표
2) 치료기법
가) 반영
나) 명료화
다) 공감적 반응
참고자료
본문내용
사례를 보면 대체로 반영, 명료화, 공감적 반응 등을 치료의 주요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치료자가 기법 사용에 종속되면 치료의 관계를 비인간적 관계로 이끌어 갈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적절한 기법을 사용할 때에는 치료자의 정직한 표현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반영
반영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기본적 감정, 생각 및 태도를 치료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해 주는 것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감정 및 태도 중 어떤 것을 반영할 것인지를 우선 선택한다. 이 선택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내담자가 표현한 말에 담긴 감정과 생각 중 가장 중요하고 강한 것이 어떤 것이냐에 따른다. 중요한 점은 내담자가 말로 표현한 수준 이상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내담자가 분명히 표현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는 것은 명료화나 해석이 되기 쉽다.
명료화
명료화는 내담자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내담자에게 명확하게 해 주는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내담자의 실제 반응에서 나타난 감정, 생각 속에 암시되었거나 내포된 관계 또는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말해 주는 것이다. 내담자에게 언급해 주는 내용 단위의 의미와 관계는 어디까지나 내담자의 표현 속에 포함되었다고 치료자가 판단한 것이다. 내담자가 애매하게만 느끼던 내용이나 자료를 치료자가 말로 표현해 준다는 점에서 내담자에게 자기가 이해를 받고 있으며 치료가 잘 진행된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측면을 생각하도록 하는 자극제가 된다.
공감적 반응
인본주의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치료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요소가 시대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표는 시대별로 인본주의 치료과정에서 역점을 둔 접근을 정리한 것이다.
시기
역점 요소
제1기(1940~1950)
비지시적 심리치료 : 이 단계에서는 치료자가 수용적이며 비간섭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줄 것을 강조한다. 수용과 명료화가 주요 기법이다.
제2기(1950~1957)
반영적 심리치료 : 치료자는 주로 내담자의 감정을 반영해 주고 위협을 취한다. 반영적 치료를 통해 내담자는 자아개념과 이상적 자아개념 간의 일치성의 정도를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3기(1957~1970)
경험적 심리치료 : 기본적 태도를 표현하려는 치료자의 광범위한 행동영역이 이 접근법을 특징짓는다. 치료는 내담자 경험과 치료자의 경험표현에 중점을 둔다. 내담자는 연속선상에서 직접 경험을 사용하는 것을 배움으로써 성장한다.
제4기(1970~1980)
공감적 심리치료 : 이 단계에서는 치료자의 솔직성, 긍정적 존중, 심층적 이해와 함께 치료관계에서의 공감적 과정을 가장 중요시한다. 어떤 유형의 치료관계에서든 치료자의 공감적 태도가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의 기본요인이다.
참고자료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9
상담이론 및 실제, (주)에이원플러스, 편집부, 2006.2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8
임의영,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현대의 지성71, 문학과지성사, 1993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작성자
반영
반영은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된 기본적 감정, 생각 및 태도를 치료자가 다른 참신한 말로 부연해 주는 것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감정 및 태도 중 어떤 것을 반영할 것인지를 우선 선택한다. 이 선택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내담자가 표현한 말에 담긴 감정과 생각 중 가장 중요하고 강한 것이 어떤 것이냐에 따른다. 중요한 점은 내담자가 말로 표현한 수준 이상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내담자가 분명히 표현하지 않은 것을 언급하는 것은 명료화나 해석이 되기 쉽다.
명료화
명료화는 내담자의 말 속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내담자에게 명확하게 해 주는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내담자의 실제 반응에서 나타난 감정, 생각 속에 암시되었거나 내포된 관계 또는 의미를 보다 분명하게 말해 주는 것이다. 내담자에게 언급해 주는 내용 단위의 의미와 관계는 어디까지나 내담자의 표현 속에 포함되었다고 치료자가 판단한 것이다. 내담자가 애매하게만 느끼던 내용이나 자료를 치료자가 말로 표현해 준다는 점에서 내담자에게 자기가 이해를 받고 있으며 치료가 잘 진행된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또한 내담자로 하여금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측면을 생각하도록 하는 자극제가 된다.
공감적 반응
인본주의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치료과정에서 중요시하는 요소가 시대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 표는 시대별로 인본주의 치료과정에서 역점을 둔 접근을 정리한 것이다.
시기
역점 요소
제1기(1940~1950)
비지시적 심리치료 : 이 단계에서는 치료자가 수용적이며 비간섭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줄 것을 강조한다. 수용과 명료화가 주요 기법이다.
제2기(1950~1957)
반영적 심리치료 : 치료자는 주로 내담자의 감정을 반영해 주고 위협을 취한다. 반영적 치료를 통해 내담자는 자아개념과 이상적 자아개념 간의 일치성의 정도를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제3기(1957~1970)
경험적 심리치료 : 기본적 태도를 표현하려는 치료자의 광범위한 행동영역이 이 접근법을 특징짓는다. 치료는 내담자 경험과 치료자의 경험표현에 중점을 둔다. 내담자는 연속선상에서 직접 경험을 사용하는 것을 배움으로써 성장한다.
제4기(1970~1980)
공감적 심리치료 : 이 단계에서는 치료자의 솔직성, 긍정적 존중, 심층적 이해와 함께 치료관계에서의 공감적 과정을 가장 중요시한다. 어떤 유형의 치료관계에서든 치료자의 공감적 태도가 내담자의 변화와 성장의 기본요인이다.
참고자료
권중돈 김동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07.9
상담이론 및 실제, (주)에이원플러스, 편집부, 2006.2
노안영,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5.8
임의영, 스키너의 행동주의적 인간관, 현대의 지성71, 문학과지성사, 1993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작성자
키워드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정신분석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지주의 이론)
'놀이'의 이론 중 현대적 놀이이론을 (1) 정신분석 이론 (2) 인지발달 이론으로 제시.
놀이의 이론 중 현대적 놀이이론을 정신분석 이론과 인지발달 이론으로 제시하시오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유아기 특징을 기술 하고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를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인지적 상담이론’을 비교 및 설명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의 인간발달단계...
[상담이론과 실제] 상담이론에는 정신분석상담, 행동주의 상담, 형태주의 상담, 실존주의 상...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아동 발달 이론(兒童發達理論) {성숙 이론, 정신분석 이론(프로이트...
인지발달 이론(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과 정신분석 이론(Psychoanalytic Theory)의...
[사이버대학]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영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영아를 바라보는 관...
성인학습 상담의 이론에는 여러 가지 이론이 있는데 그 중에서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정신분...
인지발달 이론과 정신분석 이론의 유아기 특징을 기술하고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유...
인간중심적 상담이론,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그리고 인지정서행동적 상담이론의 각각의 특성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