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들어가기
2. 고려가요에서 나타난 여성
3. 조선시대 문학작품으로 본 여성
4. 맺은말
1. 들어가기
2. 고려가요에서 나타난 여성
3. 조선시대 문학작품으로 본 여성
4. 맺은말
본문내용
알 수 있듯 고려시대의 남녀 관계는 아직 유교의 영향을 받지 않은 터라 상당히 공개적이었으며 자유로운 연애 또한 가능했었다. 이시기의 성(性)의 인식은 숨겨져야 하는, 구분되어야 하는 유교의 것과는 다른 것이었으며 여성의 목소리 또한 더 높았고 더욱 능동적일 수 있었다. 다음의 노래도 남녀간의 문란한 사랑을 대범하게 노래하고 있다.
花店(쌍화점)에 花(쌍화) 사라 가고신
回回(회회)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점)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티 거츠니 업다.
......(후략)........ 악장가사 <쌍화점> 작자 미상
위의 노래는 쌍화점의 일부로 조선시대 남녀상열지사로 구분되어 금지 되었던 노래이다. 만두집에 갔다가 회회아비에게 손목을 잡혔다는 이 노래의 화자 역시 여성으로 성적인 주제를 자연스럽고 대범하게 입에 담는 것을 보아 당시의 성 인식이 상당히 개방 적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에도 여성의 역할이 분명하게 존재 하였는데 다음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花店(쌍화점)에 花(쌍화) 사라 가고신
回回(회회)아비 내 손모글 주여이다
이 말미 이 店(점) 밧긔 나명들명
다로러거디러 죠고맛감 삿기광대 네 마리라 호리라
더러둥셩 다리러디러 다리러디러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자리예 나도 자라 가리라
위 위 다로러거디러 다로러
긔 잔 티 거츠니 업다.
......(후략)........ 악장가사 <쌍화점> 작자 미상
위의 노래는 쌍화점의 일부로 조선시대 남녀상열지사로 구분되어 금지 되었던 노래이다. 만두집에 갔다가 회회아비에게 손목을 잡혔다는 이 노래의 화자 역시 여성으로 성적인 주제를 자연스럽고 대범하게 입에 담는 것을 보아 당시의 성 인식이 상당히 개방 적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에도 여성의 역할이 분명하게 존재 하였는데 다음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