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외 이
1) 외이의 구조
2) 외이의 기능
2. 중 이
1) 중이의 구조
2) 중이의 기능
3. 내이 및 청신경
1) 내이의 구조
2) 내이의 기능
3) 청신경
4) 청각전도로

Ⅲ.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각전도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의 진동수는 약 16~20,000㎐ 사이이며, 이것을 가청음역이라 하며, 이들 중 회화음역은 250~4,000㎐ 사이이다. 이와 같은 음이 전잘되는 통로는 전음성 전도와 감음성 전도로 구분한다.
음파가 내이에 전달되는 통로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외이도를 통해 들어간 음파는 고막과 이소골 연쇄를 거쳐서 난원창으로 들어가느 것을 기도전도라 하고, 고막을 거치지 않고 두개골을 통해서 음파가 내이롤 직접 전달되는 것을 골도전도라 한다.
기도 전도로는 이개-외이도-고막-추골-침골-등골-난원창-전정계의 외림프진동-중간계의 내림프진동-코르티기 유모세포에서 음파는 전기적 자극으로 전환-와우신경섬유-나선신경절-대뇌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반면에 골도 전도로는 두개골에서 바로 중간계의 내림프를 진동시켜서 대뇌의 청각피질에 이르는 통로이다.
Ⅲ. 결 론
사람의 청각기관은 크게 외이, 중이, 내이 및 청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어느 부분에 손상을 입게 되면 청각장애를 가진다. 청각장애는 어느 부위에, 언제, 무슨 원인에 의해서 손상을 입었으냐에 따라 청각장애의 유형과 본징을 달리하며 이는 청각재활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청각장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서 요즘 주목받고 있는 인공와우 수술에 대해서도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 같다.
청각장애 아동의 교육 현실은 너무나 다양한 입장이 존재하기에 공통의 실천 방안이나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하지만 앞으로의 청각장애 아동 교육은 보다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방향으로 변화해 나가야 함이 맞을 것이다.
‘완전 참여와 평등’을 한 사람이 꿈꾼다면 꿈으로 끝나겠지만, 많은 사람들이 함께 꿈꾼다면 그 꿈은 현실이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청각장애 아동 교육은 청각장애 아동들과 그들의 부모, 형제,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들, 그들과 함께 살아갈 사람들의 맺힘 마음을 풀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저, 2004. 청각장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이규식외 12인 공저, 2004, 청각장애아교육, 학지사.
이규식석동일 공저, 1998. 청각학, 대구대학교 출판부.
김병하외 3인, 1994. 청각장애와 언어, 대구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5.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