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환경오염의 의의와 종류
Ⅲ. 환경오염의 원인
1. 물질주의
2. 인간중심주의
3. 과학기술주의
Ⅳ.본론
Ⅴ. 수질오염
1. 수질오염의 정의
2. 수질 오염의 원인
3. 수질 오염의 지표
4. 수질 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수질 오염원의 방지대책
Ⅵ. 해양환경의 오염
1. 해양오염물의 유형
2. 해양 쓰레기 발생원인
3. 쓰레기가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
4. 해양 쓰레기에 의해 미치는 영향
5. 해양 오염의 대책
Ⅶ. 결론
Ⅱ. 환경오염의 의의와 종류
Ⅲ. 환경오염의 원인
1. 물질주의
2. 인간중심주의
3. 과학기술주의
Ⅳ.본론
Ⅴ. 수질오염
1. 수질오염의 정의
2. 수질 오염의 원인
3. 수질 오염의 지표
4. 수질 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수질 오염원의 방지대책
Ⅵ. 해양환경의 오염
1. 해양오염물의 유형
2. 해양 쓰레기 발생원인
3. 쓰레기가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
4. 해양 쓰레기에 의해 미치는 영향
5. 해양 오염의 대책
Ⅶ. 결론
본문내용
인
해변에 출입하는 관광객 또는 연안거주자의 무단투기 또는 방치로 인해발생
일회용품, 인스턴트식품용기, 도시락 통, 음료수병, 담배꽁초, 슬리퍼, 포장용기, 신문, 음식쓰레기, 폭죽, 물놀이용품, 주방용호일, 부탄가스등
해상기인
어업기인
어업낚시활동관련행위(레저용 낚시행위포함)로부터 발생
어망, 통발, 종패자루, 어구, 타이어, 와이어로프, 스티로폼, 부자, 폐어선, 미끼주머니, 낚시줄, 전구 등
선박기인
여객선이나상선등선박의운항이나해양시설에서발생하는쓰레기, 해저자원개발이나 해난사고로 인한 쓰레기 등
선박잔해, 선박의 로고가 있는 일반쓰레기, 공구, 카펫, 프로펠러, 페인트 통, 기름통 등
2. 해양 쓰레기 발생원인
이러한 폐기물 해양투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처리비용이 육상처리에 비해 현격하게 낮고 처리설비 설치에 대한 걸설비 부담이 없기 때문이고, 육상처리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처리단가의 문제도 궁극적으로는 잘못된 정책의 부산물로 볼 수 있다.
종 류
시 간
종 류
시 간
종이
1개월
통조림 캔
100년
로프
3-14개월
알루미늄 캔
200-500년
대나무
1-3년
그물 및 플라스틱제품
500년 이상
나무조각(페인트칠)
13년
3. 해양 쓰레기 분해 시간
4. 해양 쓰레기에 의해 미치는 영향
1)바다 쓰레기로 인한 피해
자원손실, 생태계 파괴 뿐만 아니라 오염의 원인자인 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 유발.
선박의 안전운항 위협(선박의 스쿠류에 철선이나 그물이 얽힘, 엔진이상: 플라스틱 냉각수 로 유입)
2)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생물의 영향
바다 쓰레기의 피해자 -무수한 해양생물
플라스틱 폐기물 - 먹이로 착각하거나 폐기물에 걸려 죽게 되는 경우
- 포만감을 주어 영양 실조
- 소화기관을 막거나 상처를 입힘
- 부력장애나 잠수장애
3)플라스틱으로 인해 생긴 쓰레기섬
4월17일 MBC-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충격적인 영상이 방영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태평양 동쪽 일본과 하와이 사이에 형성된 한반도의 6배크기의 쓰레기 섬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거대한 쓰레기 섬은 연구팀의 조사에 따르면 각질 제거제의 스커럽알갱이, 맥주팩, 페트병 뚜껑, 폴리스틸렌 포장, 음식을 쌌던 랩 조각, 검은 비닐봉지, 그리고 버려진 그물 등이었다고 한다. 이 섬은 첫 발견 후 12년만에 해양학자 보니 몬텔리오니가 다시 찾았을 때는 면적이 2배로 늘어났다고 하고 또한 살충제와 폴리 염화비닐 등 물에 녹지 않는 강력한 독성 물질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고 합니다. 쓰레기섬의 90%가 인간이 버린 비닐과 플라스틱이었다는 사실이 더욱 충격을 안겨 주는 내용이었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내용이었다.
4)버려진 그물에 걸려 죽은 해양생물 사례
일명 유령고기 잡이라고도 불리는 이 사례는 버려진 그물이나 어구가 바다를 떠다니면서 해양생물을 죽이는것을 말한다.
1978년 처음 보고 되었고 피해사례는 1980년 북태평양에서 건진 1500m 자망에서 새(99마리),상어(2마리), 연어(75마리)의 피해 사례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1991년 UN총회에서 북양의 유자망 어업금지 결의안이 통과 되었다.
5)피해사례 사진 자료
5. 해양오염의 대책
해양오염 방지법 , 폐기물 관리법 ->불법투기 근절
영해 내에서 감시와 감독
외국의 사례
-광범위한 환경교육, 일반인이 참여하는 해변정화 사업(국제연안정화)
국제 연안정화의 날
-1986년 가을 미국 민간 환경단체인 해양정보센터 주관으로 시작
-현재 미 해양대기청에서 행사 주관
-각 지역별 책임자 선정, 시민 참여 유도
국내의 사례
-해양폐기물 수매사업(2003년3월) :조업중 인양된 폐기물
-환경개선부담금제 시행 : 해양배출폐기물의 종유레 따라 오염도, 재활용가능성여부 고려 m3 당 800-1872원 부담금
-수중침적폐기물 분포 및 실태조사 : 양방향음파탐지기와 위치 정보시스템을 이용 수중 침적폐기물의 분포량, 종류, 위치 조사 이를 토대로 오염분포도 및 D/B작성
-해양관리대 운영 : 공익근무요원, 전국연안의 쓰레기 투기 등 해양오염행위 감시업무
Ⅶ. 결론
자연은 상태가 날로 악화되어 가고 있다. 위의 조사한 내용은 빙산의 일각도 되지 않는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위의 내용에서는 수질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의 문제점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였지만 그밖에도 환경오염의 문제점 들이 있고 점점 심해지는 공해와 생태계의 파괴로 동물, 식물은 물론 인간까지 위협하고 있다. 불과 몇 세기전만 하더라도 이러한 일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바로 과학기술의 발전 때문이다. 오존층의 파괴, 동물들의 떼죽음, 기형아,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뉴스를 볼 때마다, 또 일상생활에서 늘 느낄 수 있는 문제들이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이나 식물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항상 인간을 위해, 동물이나 식물등이 피해를 보아야만 했다. 과학의 발전은 의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의학의 발전은 인구의 증가를 촉진 시켰다. 전세계 60억이 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구의 파괴는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 삼림의 황폐화, 동식물종의 손실, 토양침식, 오존층 파괴, 온실효과,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그대로 방치해 왔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먹을 식량또한 문제이고, 지하자원등이 언제 고갈될지 모른다. 화석연료는 온난화를 유발시키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게다가 삼림이 점점 줄고 있어 온난화가 빨라지고 있다.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면 빙하들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그럼 물에 잠기는 지역들도 생겨날 것이다. 그 외에도 점점 늘어나는 쓰레기, 재생 불가능한 물건들이 점점 많아진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문제들을 과학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까. 이미 생태계의 파괴는 지구의 자정 능력을 넘어섰다. 현재의 과학기술들을 자연을 무시하고 지배하는 쪽이 아닌, 자연을 위하고 그 안의 인간을 위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갸야 할 것이다. 노력한다면 더 이상의 자연의 훼손을 막고, 생태계의 상태도 좋아질 것이다. 결국, 자연 위의 인간이 아닌 자연 속의 인간이 되어 자연과 어울려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해변에 출입하는 관광객 또는 연안거주자의 무단투기 또는 방치로 인해발생
일회용품, 인스턴트식품용기, 도시락 통, 음료수병, 담배꽁초, 슬리퍼, 포장용기, 신문, 음식쓰레기, 폭죽, 물놀이용품, 주방용호일, 부탄가스등
해상기인
어업기인
어업낚시활동관련행위(레저용 낚시행위포함)로부터 발생
어망, 통발, 종패자루, 어구, 타이어, 와이어로프, 스티로폼, 부자, 폐어선, 미끼주머니, 낚시줄, 전구 등
선박기인
여객선이나상선등선박의운항이나해양시설에서발생하는쓰레기, 해저자원개발이나 해난사고로 인한 쓰레기 등
선박잔해, 선박의 로고가 있는 일반쓰레기, 공구, 카펫, 프로펠러, 페인트 통, 기름통 등
2. 해양 쓰레기 발생원인
이러한 폐기물 해양투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처리비용이 육상처리에 비해 현격하게 낮고 처리설비 설치에 대한 걸설비 부담이 없기 때문이고, 육상처리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처리단가의 문제도 궁극적으로는 잘못된 정책의 부산물로 볼 수 있다.
종 류
시 간
종 류
시 간
종이
1개월
통조림 캔
100년
로프
3-14개월
알루미늄 캔
200-500년
대나무
1-3년
그물 및 플라스틱제품
500년 이상
나무조각(페인트칠)
13년
3. 해양 쓰레기 분해 시간
4. 해양 쓰레기에 의해 미치는 영향
1)바다 쓰레기로 인한 피해
자원손실, 생태계 파괴 뿐만 아니라 오염의 원인자인 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 유발.
선박의 안전운항 위협(선박의 스쿠류에 철선이나 그물이 얽힘, 엔진이상: 플라스틱 냉각수 로 유입)
2)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생물의 영향
바다 쓰레기의 피해자 -무수한 해양생물
플라스틱 폐기물 - 먹이로 착각하거나 폐기물에 걸려 죽게 되는 경우
- 포만감을 주어 영양 실조
- 소화기관을 막거나 상처를 입힘
- 부력장애나 잠수장애
3)플라스틱으로 인해 생긴 쓰레기섬
4월17일 MBC-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충격적인 영상이 방영되었습니다.
그 내용은 태평양 동쪽 일본과 하와이 사이에 형성된 한반도의 6배크기의 쓰레기 섬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거대한 쓰레기 섬은 연구팀의 조사에 따르면 각질 제거제의 스커럽알갱이, 맥주팩, 페트병 뚜껑, 폴리스틸렌 포장, 음식을 쌌던 랩 조각, 검은 비닐봉지, 그리고 버려진 그물 등이었다고 한다. 이 섬은 첫 발견 후 12년만에 해양학자 보니 몬텔리오니가 다시 찾았을 때는 면적이 2배로 늘어났다고 하고 또한 살충제와 폴리 염화비닐 등 물에 녹지 않는 강력한 독성 물질로 구성돼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고 합니다. 쓰레기섬의 90%가 인간이 버린 비닐과 플라스틱이었다는 사실이 더욱 충격을 안겨 주는 내용이었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내용이었다.
4)버려진 그물에 걸려 죽은 해양생물 사례
일명 유령고기 잡이라고도 불리는 이 사례는 버려진 그물이나 어구가 바다를 떠다니면서 해양생물을 죽이는것을 말한다.
1978년 처음 보고 되었고 피해사례는 1980년 북태평양에서 건진 1500m 자망에서 새(99마리),상어(2마리), 연어(75마리)의 피해 사례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1991년 UN총회에서 북양의 유자망 어업금지 결의안이 통과 되었다.
5)피해사례 사진 자료
5. 해양오염의 대책
해양오염 방지법 , 폐기물 관리법 ->불법투기 근절
영해 내에서 감시와 감독
외국의 사례
-광범위한 환경교육, 일반인이 참여하는 해변정화 사업(국제연안정화)
국제 연안정화의 날
-1986년 가을 미국 민간 환경단체인 해양정보센터 주관으로 시작
-현재 미 해양대기청에서 행사 주관
-각 지역별 책임자 선정, 시민 참여 유도
국내의 사례
-해양폐기물 수매사업(2003년3월) :조업중 인양된 폐기물
-환경개선부담금제 시행 : 해양배출폐기물의 종유레 따라 오염도, 재활용가능성여부 고려 m3 당 800-1872원 부담금
-수중침적폐기물 분포 및 실태조사 : 양방향음파탐지기와 위치 정보시스템을 이용 수중 침적폐기물의 분포량, 종류, 위치 조사 이를 토대로 오염분포도 및 D/B작성
-해양관리대 운영 : 공익근무요원, 전국연안의 쓰레기 투기 등 해양오염행위 감시업무
Ⅶ. 결론
자연은 상태가 날로 악화되어 가고 있다. 위의 조사한 내용은 빙산의 일각도 되지 않는 작은 부분에 불과하다. 위의 내용에서는 수질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의 문제점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였지만 그밖에도 환경오염의 문제점 들이 있고 점점 심해지는 공해와 생태계의 파괴로 동물, 식물은 물론 인간까지 위협하고 있다. 불과 몇 세기전만 하더라도 이러한 일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바로 과학기술의 발전 때문이다. 오존층의 파괴, 동물들의 떼죽음, 기형아,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뉴스를 볼 때마다, 또 일상생활에서 늘 느낄 수 있는 문제들이다.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이나 식물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항상 인간을 위해, 동물이나 식물등이 피해를 보아야만 했다. 과학의 발전은 의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의학의 발전은 인구의 증가를 촉진 시켰다. 전세계 60억이 넘는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구의 파괴는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 삼림의 황폐화, 동식물종의 손실, 토양침식, 오존층 파괴, 온실효과, 수질오염 등의 문제를 그대로 방치해 왔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먹을 식량또한 문제이고, 지하자원등이 언제 고갈될지 모른다. 화석연료는 온난화를 유발시키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게다가 삼림이 점점 줄고 있어 온난화가 빨라지고 있다.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면 빙하들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그럼 물에 잠기는 지역들도 생겨날 것이다. 그 외에도 점점 늘어나는 쓰레기, 재생 불가능한 물건들이 점점 많아진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문제들을 과학 기술로 해결할 수 있을까. 이미 생태계의 파괴는 지구의 자정 능력을 넘어섰다. 현재의 과학기술들을 자연을 무시하고 지배하는 쪽이 아닌, 자연을 위하고 그 안의 인간을 위하는 방향으로 변화시켜 나갸야 할 것이다. 노력한다면 더 이상의 자연의 훼손을 막고, 생태계의 상태도 좋아질 것이다. 결국, 자연 위의 인간이 아닌 자연 속의 인간이 되어 자연과 어울려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