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환경오염문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환경오염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기오염
※ 중국의 토양침식이 대기오염의 원인?
2. 수질오염
3. 폐기물
4. 환경보호 사업

본문내용

강구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내에 심각한 보건 문제를 초래, 경제 등 사회발전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산성비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세계 54개국 272개 도시를 대상으로 대기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 오염이 가장 심각한 세계 10대 도시 중 중국의 도시가 7개나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시(山西)성 타이위엔(太原)시는 전세계에서 가장 공기 오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외 베이징(北京), 우루무치(烏魯木齊), 란조우(蘭州), 충칭(重慶), 지난(濟南), 스쟈좡(石家莊) 등도 심각한 수준이다. 중국의 아황산가스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각각 세계 1,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연간 아황산가스 2400만톤, 이산화탄소는 8억톤, 먼지 배출량은 1900만톤을 초과해 중국 전역을 사람살기에 부적합한 도시로 만들고 있다. 중국의 산성비 피해 면적은 전 국토의 30%를 이미 넘어섰으며 심지어 40%에 이른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 아황산가스의 국경 이동으로 한·일 양국에 미치는 산성비 피해도 심각한 실정이다. 대기오염으로 인한 손실은 200억위안에 달하며 이는 주로 도시에서 사용하는 석탄, 공장에서 배출하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가 도시 하늘에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및 유독 분진을 뿜어냄으로써 폐암 발병률을 높이고 사망률도 1만분의2까지 증가시켰다.
대기오염의 주범은 물론 석탄이다. 중국은 에너지의 75%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석탄 화력발전소와 전국 60만대에 이르는 공업용 보일러가 주요 오염원으로 지적되고 있다. 공업용 보일러는 열효율이 70∼75% 밖에 되지 않아 대기오염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수도인 베이징시는 98년 1년 중 265일이 스모그 현상으로 시달릴 정도로 중국도시의 하늘은 세계에서 가장 오염이 심한 상태이다.
※ 중국의 토양침식이 대기오염의 원인?
중국의 주요 황사요인이라 일컫는 사막지역은 건조 지대의 특징이며, 거의 대부분의 황사가 이곳 건조 사막을 기원으로 한다. 보통 황사배출원의 거동 배분을 보면, 발원지에서 배출되는 황사량을 100%라 할 때 30%가 발원지에서 재 침적되고, 20%는 주변 지역으로 수송되며, 50%는 장거리 수송되어 한국, 일본, 태평양 등에 침적된다.
황하 중류의 표토 유실은 놀랄 정도이다. 매년 황하에 들어오는 진흙, 모FORK 16~20억 톤이나 되어 비옥한 땅이 쓸려가고 식물이 성장할 지피ㅛ층이 파괴되고, 농업 생산의 피해는 물론 식생이 파괴된 후 황화 종류는 황막하게 되어, 하류는 진흙, 모래 퇴적에 의한 수해를 보게 된다.
중국 전체 땅에서 1950年대부터 1970年대 말에 걸쳐 산림감소, 표토유실과 모래 이동 등으로 사막화된 토지가 1500 km/年의 속도로 확대되어 오고 있다.
지금은 109,000 km의 국토가 사막화 되고, 이것은 중국 총 면적의 11.4%를 차지한다. 이 같은 환경 화의 대책으로서 이 지역에 방풍림, 전국의 녹화 (식수 조림), 사막의 개조 등에 힘을 기울여 성과를 얻고 있다.
> 황사의 특성
[성분] 성분분석결과 주로 토양에서 발생한 성분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입자크기가 큰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평상시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부유하는 먼지가 큰 영역에 해당하므로 인체 위해도 측면에서는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황사 발생기간 중에 장기간 이에 노출되는 것은 호흡기 장애나 눈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외출이나 야외활동은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 상태에 많이 존재하는 철, 망간, 니켈 등이 평상시보다 높게 측정되었는바 이는 황사의 주성분이 토사 입자인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먼지농도] 일반적으로 황사 시 시간 최고먼지오염농도는 약 200~500/m이나 2000.3.23 발생한 황사는 대기 중 시간 최고먼지농도가 약 1,100/m으로 연평균 먼지오염농다(64/m)의 17배 수준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황사가 미치는 영향]
2. 수질오염
수질오염 악화 현상도 매년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의 연간 폐수 방출량은 공업폐수 277억톤, 생활폐수 189억톤으로 연간 416억톤의 폐수를 방출하고 있다. 중국 水利部가 전국 700여 개의 하천 약 10만km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 현재 전체 하천의 46.5%가 오염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10.6%의 하천은 오염도가 심각해 이미 활용할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중국 經濟時報가 보도했다. 90% 이상의 도시지역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됐고 중국 전체 인구의 25%가 기준 미달의 식
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8년 말 기준 중국 전체 폐수 배출량은 600억톤으로 공업폐수가 69%, 생활폐수 31%에 달한다.
또한,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또 현재 주요 중국 도시 중 3분의 2가 깨끗한 담수가 부족해 위기를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배설물로 오염된 물을 마시는 사람도 7억명이나 된다. 매년 도시 생활오수는 약 11%만 제외하고는 강과 호수로 직접 들어가고, 다시 바다로 고스란히 흘러 들어간다. 최근 중국 국가 환경보호총국이 펴낸 자료에는 중국의 주요 하천에서 2003년 바다로 흘러들어간 해양오염물질이 619만t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수질오염 위반에 대한 처벌은 지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2003년 기업과 개인에 대한 단속으로 2억3000만 건이 적발됐지만 영업정지 등 사법처리를 받은 것은 6000건에 불과하다.
최근 한중 서해환경공동조사단의 조사결과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서해 공해역은 다행히 1등급 수질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양쯔(揚子)강 물이 제주도 연안까지 흘러오는 현실을 감안할 때 중국의 수질오염이 향후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양쯔강 하류에서 흘러나온 황토물이 해류의 영향으로 확산되는 모습. 2002년 2월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에는 황토물이 근해까지 퍼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양쯔강에서 흘러나오는 담수는 여름철이면 제주도 근해를 거쳐 동해까지 흘러간다. 국립수산과학원 서영상 박사는 “양쯔강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은 중국 근해 바닥에 일단 가라앉지만 태풍이 불면 바다로 확산된다”고 말했다. (오른쪽 사진 )
[中
  • 가격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2.1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