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천식Asthma
2. 호흡곤란Dyspnea
3. 흉곽천자
4. 객담검사
5. 혈액 검사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건강력(과거력)
2) 현병력
3) 일반적 사정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의 적용
Ⅴ. 결론
Ⅱ. 문헌고찰
1. 천식Asthma
2. 호흡곤란Dyspnea
3. 흉곽천자
4. 객담검사
5. 혈액 검사
Ⅲ. 연구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 건강력(과거력)
2) 현병력
3) 일반적 사정
4) 진단을 위한 검사
5) 치료 및 경과
2. 간호과정의 적용
Ⅴ. 결론
본문내용
5%
Lymphocyte
95%
S.G.
1.047
생화학검사Ⅰ
항목
정상치
9/1
9/7
9/10
AST(SGOT)
13-40IU/L
63
10
18
ALT(SGPT)
5-35IU/L
49
14
9
BUN
5-24㎎/㎗
19
.
9
Creatinine
0.7-1.5㎎/㎗
0.9
.
0.7
미생물 검사 Sputum/Routine
8/28 Gram negative bacilli Klebsiella species many
9/6 negative, no growth for 1 week
미생물 검사 Sputum/Gram stain, AFBstain
9/6 Gram positive cocci
Gram negative bacilli
5) 치료 및 경과
약명
용량
용법
횟수
날짜
작용
금기
Prepenem
50㎖
IV
tid
9/13~16
기관지염,기관지확장증(감염시),만성호흡기의2차감염,폐렴,폐농양,농흉,신우신염,방광염,전립선염,담낭염 등
발프론산나트륨투여자
N/S
100㏄
IV
tid
9/13~16
Solfran
1ⓐ
IV
tid
9/13~16
점액분비장애로인한급성호흡기질환:만성기관지염,천식성기관지염,기관지천식의급성발작시 등
본약품기왕력자
Adalat
30㎎
PO
tid
9/13~16
관상동맥심질환의초기및장기치료,본태성및이차성고혈압,레이노증후군
임부,가임부,수유부,심인성쇽,불안정협심증,저혈압
Aprovel
150㎎
PO
tid
9/13~16
본태성고혈압,고혈압초기치료요법으로서고혈압을가진제2형당뇨병환자의신질환
임부,수유부
Codenal
3/T
PO
tid
9/13, 9/16
기침,가래
본약품기왕력자
5%DW
500㎖
IV
qd
9/13~16
Tylenol
3/T
PO
tid
9/16
감기로인한발열,동통,두통,신경통,근육통,월경통,염좌통,치통,관절통,류마티양동통
소화성궤양,중증혈액이상,중증간신장애,중증심기능부전,아스피린천식
2. 간호과정의 적용
날짜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9/14
간호진단 :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주관적 자료 :
계단을 올라 올 때, 머리를 감을 때, 조금 움직일 때 호흡곤란을 호소
객관적 자료 :
V/S P-92회, R-22회, BP-140/80
호흡기상태-호흡곤란
활동상태-자유롭지 못함
(호흡곤란)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곤란없이 화장실에 걸어갔다 올 것이다.
대상자는 3일이내에 호흡곤란없이 머리를 감을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 후에 호흡곤란 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가 없도록한다.
1.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고정된 물체를 손으로 잡고 몸을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
2.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운동과 신체훈련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재강조한다. (조직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킨다. 높은 수준의 기능을 편안하게 수행한다.)
a. 보행, 정지형 자전거 타기, 수영에 대해 토의한다.
b. 저산소혈증과 신체장애가 심한 환자를 위해 휴대용 산소시스템을 이용하도록 격려한다.
3. 지구력을 증가시키도록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4.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산소를 공급한다.
1.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침대 머리를 올려주고 몸을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도록 해주었다.
2. 증상이 가라앉았을 때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위해 1층 로비까지 걷는 운동을 하도록 도와주었다.
3.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금씩 운동량을 늘려가면서 운동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4 호흡곤란이 심할 때 산소마스크를 해 주었다.
1. 호흡곤란이 완화된다.
2. 호흡곤란의 완화로 일상생활이 향상된다.
날짜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9/16
간호진단 :
기침과 관련된 늑막통증
주관적 자료 :
기침을 할 때 가슴에 경련을
호소하고 왼쪽 옆구리가 결림
객관적 자료 :
신체적상태-동통 있음
(부위-왼쪽 늑골
양상-기침시 결림)
수면상태-수면장애 있음
(기침으로 인함)
단기목표 :
즉시 통증완화요법을 적용하여 통증이 감 소될 것이다.
즉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통증이 감 소될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 후 스스로 통증 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환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편안한 체위를 유지한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아래로 하여 눕는 것 은 늑막의 긴장을 감 소시켜 통증이 감소한 다.)
2. 기침을 할 때 가슴 을 지지하도록 한다.
3. 지시대로 통증조절
약물을 투여하거나 자 가 투여하도록 교육한 다.
4. 열의 적용, 근육이 완요법, 심상용법과 같 은 비약물적 통증완화 법을 적용한다.
5. 필요시 늑막천자를 시행한다.
1. 통증이 있을 때 환기 를 증진시키기 위해 좌 측위를 취해 주었다.
2. 기침을 할 때 가슴을
지지하도록 교육하였다.
3. 통증이 심할 때 처방 된 경구용 진통제를 투 여해 주었다.
4. 늑막천자를 시행하여
통증을 감소하도록 하였 다.
통증감소 를 말한 다.
Ⅴ. 결론
김XX님은 현재 늑막 통증과 호흡곤란을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계신다. 간호과정의 적용과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이 완화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한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하면서 의학적 진단과 간호진단의 조화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의학진단에 의해 여러 가지 검사와 약물치료를 받게 되고, 간호사들은 이 모든 과정을 도우며 상황에 적합한 간호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병을 회복시켜주는 사람은 의사라고 하는데 의사가 치료하는 과정에 간호사의 따뜻한 손길이 없다면 회복을 위해 굉장히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어쩌면 치유가 불가능 할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간호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사가 된다는 것이 보람되고 가슴 뿌듯하다.
※참고문헌
책명
저자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성인간호학Ⅱ
서문자 외 공저
수문사
2004년
최신임상간호매뉴얼Ⅰ
고일선 외 공저
현문사
2004년
간호과정
최순희 외 공저
정문각
2004년
※참고사이트
영남대 약리학 교실 http://medpharm.chunma.ac.kr/
KIMS online http://www.kimsonline.co.kr/
Lymphocyte
95%
S.G.
1.047
생화학검사Ⅰ
항목
정상치
9/1
9/7
9/10
AST(SGOT)
13-40IU/L
63
10
18
ALT(SGPT)
5-35IU/L
49
14
9
BUN
5-24㎎/㎗
19
.
9
Creatinine
0.7-1.5㎎/㎗
0.9
.
0.7
미생물 검사 Sputum/Routine
8/28 Gram negative bacilli Klebsiella species many
9/6 negative, no growth for 1 week
미생물 검사 Sputum/Gram stain, AFBstain
9/6 Gram positive cocci
Gram negative bacilli
5) 치료 및 경과
약명
용량
용법
횟수
날짜
작용
금기
Prepenem
50㎖
IV
tid
9/13~16
기관지염,기관지확장증(감염시),만성호흡기의2차감염,폐렴,폐농양,농흉,신우신염,방광염,전립선염,담낭염 등
발프론산나트륨투여자
N/S
100㏄
IV
tid
9/13~16
Solfran
1ⓐ
IV
tid
9/13~16
점액분비장애로인한급성호흡기질환:만성기관지염,천식성기관지염,기관지천식의급성발작시 등
본약품기왕력자
Adalat
30㎎
PO
tid
9/13~16
관상동맥심질환의초기및장기치료,본태성및이차성고혈압,레이노증후군
임부,가임부,수유부,심인성쇽,불안정협심증,저혈압
Aprovel
150㎎
PO
tid
9/13~16
본태성고혈압,고혈압초기치료요법으로서고혈압을가진제2형당뇨병환자의신질환
임부,수유부
Codenal
3/T
PO
tid
9/13, 9/16
기침,가래
본약품기왕력자
5%DW
500㎖
IV
qd
9/13~16
Tylenol
3/T
PO
tid
9/16
감기로인한발열,동통,두통,신경통,근육통,월경통,염좌통,치통,관절통,류마티양동통
소화성궤양,중증혈액이상,중증간신장애,중증심기능부전,아스피린천식
2. 간호과정의 적용
날짜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9/14
간호진단 : 호흡곤란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
주관적 자료 :
계단을 올라 올 때, 머리를 감을 때, 조금 움직일 때 호흡곤란을 호소
객관적 자료 :
V/S P-92회, R-22회, BP-140/80
호흡기상태-호흡곤란
활동상태-자유롭지 못함
(호흡곤란)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곤란없이 화장실에 걸어갔다 올 것이다.
대상자는 3일이내에 호흡곤란없이 머리를 감을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 후에 호흡곤란 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가 없도록한다.
1.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고정된 물체를 손으로 잡고 몸을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
2.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운동과 신체훈련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재강조한다. (조직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킨다. 높은 수준의 기능을 편안하게 수행한다.)
a. 보행, 정지형 자전거 타기, 수영에 대해 토의한다.
b. 저산소혈증과 신체장애가 심한 환자를 위해 휴대용 산소시스템을 이용하도록 격려한다.
3. 지구력을 증가시키도록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4.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산소를 공급한다.
1.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침대 머리를 올려주고 몸을 앞쪽으로 기울인 자세를 취하도록 해주었다.
2. 증상이 가라앉았을 때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위해 1층 로비까지 걷는 운동을 하도록 도와주었다.
3. 활동지속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금씩 운동량을 늘려가면서 운동해야 함을 교육하였다.
4 호흡곤란이 심할 때 산소마스크를 해 주었다.
1. 호흡곤란이 완화된다.
2. 호흡곤란의 완화로 일상생활이 향상된다.
날짜
간호진단 및 자료
간호목표
간호계획
수행
평가
9/16
간호진단 :
기침과 관련된 늑막통증
주관적 자료 :
기침을 할 때 가슴에 경련을
호소하고 왼쪽 옆구리가 결림
객관적 자료 :
신체적상태-동통 있음
(부위-왼쪽 늑골
양상-기침시 결림)
수면상태-수면장애 있음
(기침으로 인함)
단기목표 :
즉시 통증완화요법을 적용하여 통증이 감 소될 것이다.
즉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통증이 감 소될 것이다.
장기목표 :
퇴원 후 스스로 통증 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1. 환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편안한 체위를 유지한다.
(통증이 있는 부위를 아래로 하여 눕는 것 은 늑막의 긴장을 감 소시켜 통증이 감소한 다.)
2. 기침을 할 때 가슴 을 지지하도록 한다.
3. 지시대로 통증조절
약물을 투여하거나 자 가 투여하도록 교육한 다.
4. 열의 적용, 근육이 완요법, 심상용법과 같 은 비약물적 통증완화 법을 적용한다.
5. 필요시 늑막천자를 시행한다.
1. 통증이 있을 때 환기 를 증진시키기 위해 좌 측위를 취해 주었다.
2. 기침을 할 때 가슴을
지지하도록 교육하였다.
3. 통증이 심할 때 처방 된 경구용 진통제를 투 여해 주었다.
4. 늑막천자를 시행하여
통증을 감소하도록 하였 다.
통증감소 를 말한 다.
Ⅴ. 결론
김XX님은 현재 늑막 통증과 호흡곤란을 집중적으로 치료하고 계신다. 간호과정의 적용과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이 완화되어 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한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하면서 의학적 진단과 간호진단의 조화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의학진단에 의해 여러 가지 검사와 약물치료를 받게 되고, 간호사들은 이 모든 과정을 도우며 상황에 적합한 간호를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병을 회복시켜주는 사람은 의사라고 하는데 의사가 치료하는 과정에 간호사의 따뜻한 손길이 없다면 회복을 위해 굉장히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고, 어쩌면 치유가 불가능 할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하였다. 그리고 간호사의 역할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사가 된다는 것이 보람되고 가슴 뿌듯하다.
※참고문헌
책명
저자명
출판사명
출판년도
성인간호학Ⅱ
서문자 외 공저
수문사
2004년
최신임상간호매뉴얼Ⅰ
고일선 외 공저
현문사
2004년
간호과정
최순희 외 공저
정문각
2004년
※참고사이트
영남대 약리학 교실 http://medpharm.chunma.ac.kr/
KIMS online http://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논문] 폐렴 케이스스터디
소아과 케이스스터디- Hepatitis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nsvd 케이스스터디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Lt. distal radius open fx. c ulna styloid process open fx.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유방암 케이스스터디
부비동염 케이스스터디, 부비동염 간호과정, 부비동염 CASE STUDY, 부비동염 사례연구, 부비...
중이염 케이스스터디
내과 케이스스터디 : Unstable Angina Pectoris (불안정형 협심증)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총 폐정맥 환류 이상(TAPVR)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신경계(뇌경색)
[케이스스터디]유방암(breat canc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