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자학
1. 漢字의 정의와 기원
2. 六書
3. 자체변화
4. 簡體字 원리
Ⅱ 성운학
1. 普通話 정의
2. 漢語拼音,
3. 성조, 변조
4. 어음 변화
5. 감탄사
1. 漢字의 정의와 기원
2. 六書
3. 자체변화
4. 簡體字 원리
Ⅱ 성운학
1. 普通話 정의
2. 漢語拼音,
3. 성조, 변조
4. 어음 변화
5. 감탄사
본문내용
《現代中國語槪論》, 陳阿·吳中偉 편, 김난미·김정은 역, 다락원, 2006, p.59~61.
《中國語學入門》, 香坂順一 편, 정헌철 역, 고려원, 1986, p.150~151.
4. 어음 변화
1) 경성
경성은 普通話에서 4개의 성조 외에 다섯 번째 성조가 아니다. 단어로 쓰였을 때 경성으로 읽었던 글자라도 모두 자신만의 고유한 성조를 가지고 있다. 경성은 특정한 조건하에서 짧고 가볍게 읽는 성조이다. 경성은 변조의 일종이다. 그러나 이것은 특수한 변조로서 전후의 단어 혹은 말하는 장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앞 음절의 음높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경성은 운모에 영향을 주어 종종 주요모음까지 변화시키기도 하고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2) 화음
普通話 구어에서 일부 음절들은 운모에 ‘’을 붙여 권설음으로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때 ‘’은 운모의 모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발음된다. 이런 현상을 ‘화’라고 한다. 대부분의 화현상은 단어의 단어적 의미 및 어법적 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의 주요기능은 단어의 의미와 품사를 구별할 뿐 아니라 감정을 부가하는 역할까지 한다.
①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
信(편지가 아님), (머리가 아님), 眼(눈이 아님), 票(우표가 아님)
② 품사를 확정하는 기능
(동사) → (명사), 尖(형용사) → 尖(명사)
운모
‘’화 시 변화규칙
운미가 없거나 u, o가 운미일 때
권설동작만 더해짐
운미가 고모음 i, 전설비음운모n일 때
운미는 탈락, 경우에 따라 운복이 변함
운복이 고모음 I, u일 때
중설모음 음이 더해짐
설첨모음 i
음으로 변함
운미가 후설비음운모 ng일 때
운미탈락, 모음비음화, 운복이 i인것은 음 더해짐
이밖에도 化된 단어 속에는 ‘작고’, ‘사랑스럽고’, ‘친절한’과 같은 어감이 있다. 《現代中國語槪論》, 陳阿·吳中偉 편, 김난미·김정은 역, 다락원, 2006, p.58~59
《現代中國語學槪論》, 胡裕樹 편, 허성도 역, 교보문고, 1991, p.117~118.
5. 감탄사
감탄사는 감탄이나 부름, 응답을 나타낸다. 감탄사는 문장 가운데에서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스러우며 통상적으로 다른 실사와 특정한 관계를 맺지 않고 일반적인 문장성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독립적으로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특수한 품사이다. ,,, 등 이 이에 해당한다. 《現代中國語學槪論》, 胡裕樹 편, 허성도 역, 교보문고, 1991, p.315~316.
《中國語學入門》, 香坂順一 편, 정헌철 역, 고려원, 1986, p.150~151.
4. 어음 변화
1) 경성
경성은 普通話에서 4개의 성조 외에 다섯 번째 성조가 아니다. 단어로 쓰였을 때 경성으로 읽었던 글자라도 모두 자신만의 고유한 성조를 가지고 있다. 경성은 특정한 조건하에서 짧고 가볍게 읽는 성조이다. 경성은 변조의 일종이다. 그러나 이것은 특수한 변조로서 전후의 단어 혹은 말하는 장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앞 음절의 음높이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경성은 운모에 영향을 주어 종종 주요모음까지 변화시키기도 하고 단어의 의미나 품사를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2) 화음
普通話 구어에서 일부 음절들은 운모에 ‘’을 붙여 권설음으로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때 ‘’은 운모의 모음과 결합되어 하나의 음절로 발음된다. 이런 현상을 ‘화’라고 한다. 대부분의 화현상은 단어의 단어적 의미 및 어법적 의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것의 주요기능은 단어의 의미와 품사를 구별할 뿐 아니라 감정을 부가하는 역할까지 한다.
① 의미를 구별하는 기능
信(편지가 아님), (머리가 아님), 眼(눈이 아님), 票(우표가 아님)
② 품사를 확정하는 기능
(동사) → (명사), 尖(형용사) → 尖(명사)
운모
‘’화 시 변화규칙
운미가 없거나 u, o가 운미일 때
권설동작만 더해짐
운미가 고모음 i, 전설비음운모n일 때
운미는 탈락, 경우에 따라 운복이 변함
운복이 고모음 I, u일 때
중설모음 음이 더해짐
설첨모음 i
음으로 변함
운미가 후설비음운모 ng일 때
운미탈락, 모음비음화, 운복이 i인것은 음 더해짐
이밖에도 化된 단어 속에는 ‘작고’, ‘사랑스럽고’, ‘친절한’과 같은 어감이 있다. 《現代中國語槪論》, 陳阿·吳中偉 편, 김난미·김정은 역, 다락원, 2006, p.58~59
《現代中國語學槪論》, 胡裕樹 편, 허성도 역, 교보문고, 1991, p.117~118.
5. 감탄사
감탄사는 감탄이나 부름, 응답을 나타낸다. 감탄사는 문장 가운데에서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스러우며 통상적으로 다른 실사와 특정한 관계를 맺지 않고 일반적인 문장성분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은 독립적으로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특수한 품사이다. ,,, 등 이 이에 해당한다. 《現代中國語學槪論》, 胡裕樹 편, 허성도 역, 교보문고, 1991, p.315~316.
추천자료
겅호(Gung ho)
겅호(Gung ho)를 읽고...
방향보어란 무엇인가
동남아의 사회와 문화
사업계획서 중국 내에서의 PC방 사업
국제결혼에 대한 한국인의 도덕성 문제
중국에서의 삼성전자의 현지화
표준국어문법론 요약
[태권도장] 태권도장의 마케팅전략
[우수평가자료]모바일 혁명이 만드는 비즈니스 미래지도 독후감상문. 주요내용 분석과 개인적...
[국제경영론] 중국 (중국 국가 개요, 정치, 경제, 외교, 문화).ppt
[국제광고, 국제광고 개념, 국제광고 필요성, 국제광고 역할]국제광고의 개념, 국제광고의 필...
[색체의 이해] 영화 <영웅(英雄)> 속 색 분석
[A+] 샤오미 기업전략 사례연구 (샤오미 기업분석+마케팅전략+SWOT+성공전략+ 샤오미 향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