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두가 수축시 보인다. 이완시 사라지는 현상
③발로
=자궁수축이 멈추어도 아두가 사라지지 않고 양음순 사
이에 노출된 상태→회음절개술이 시행된다.
④분만기전
=태아의 선진부는 산도에 비해 크다. 따라서 태아는 하강
하는 동안 사로에 적응해야만 한다
*순서*
1.골반입구 진입→2.하강→3.굴곡→4.내회전
↓
7.만출←6.외회전←5.신전
분만의 7가지 기전
1.골반입구의 진입
→아두의 가장 긴 전후경선<미간에서 후두12cm>이 골반
의 횡경선<천골갑에서 치골결합상부11cm>을 통과함
→완전 굴곡시 두정위인 경우 대횡경선<양두점골 사이
9.25cm>으로 진입
→경산부 보다 초산부의 진입이 먼저 일어남.
But)단단복직근이 선진부위를 밀어넣어
2.하강
→골반을 통과하는 선진부의 진행
→선진부가 골반강으로 내려감
→분만1기 잠재기에 하강이 약간 있고 활동기<경관개대 5~7cm>하강이 빠르게 진행된다.
**하강기전**
-양수의 압력
-자궁수축력<1차 만출력>→태아 누르기
-분만2기 모체의 황격막과 복근의 수축<→2차 만출력>
3.굴곡
→정상적으로 아두의 턱은 가슴쪽으로 굴곡한다.
→아두의 출구 경선이 태아의 가장 짧은 소사경선으로 <9.5cm>으로 진입
4.내회전함
모체의 골반입구는 횡경선(11cm)이 가장 커서 진입시에
는 횡경선으로 들어가지만 골반출구는 전후경선(11.5cm)맞추기 위하여 아두가 회전함
→골반강 내에서 아두의 시상봉합이(전후경선과 일치)골
반출구의 전후경선과 일치하도록 회전
*정상절식 분만이 가장 용이한(ROA)
*요통이 가장 심한 경우
후두 후방위→아기의 후두가 엄마의 천골을 압박하면서 요통이 심해진다.(ROP,LOP)
5.신전
아기의 머리를 핀다.
*신전의 순서
후두→두정→전정→이마→안면→턱→지렛대 역할
6.외회전
→어깨를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에 맞게 회전하여 빠져 나
오려 함
→전견갑이 먼저 하강하여 출구에 이르면 회전하여 치골
궁 밑으로 만출 후견갑을 질에서 나오도록 전견갑을 외
음부 위로 올린다.
→위어깨 나오게 어깨를 아래로↓
아래어깨 나오게 어깨를 위로↑
7.만출: 출생시간이다.
(3)제3기=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태반박리
중앙부터 박리
가장자리부터 박리
태반만출기
태아면이 전저 만출되는 슐츠기전
모체면부터 만출 던칸기전
출혈
갑자기 분출하듯
졸졸졸 트로는
**태반박리중후
①갑자기 질로 분출하는 혈액
②자궁의 모양이 원반형에서 둥구 난형으로 변화
③질로부터 재대가 늘어남
④자궁수축이 강해지면서 자궁저부 상승
**태반, 태아막이 자궁내 잔류하면 산후출혈, 쇼크, 감염,
사망을 일으킴
4)제4기
2~4시간
Ⅱ분만과정에 따른 변화
모체
1.심맥관계 변화
1)자궁의 국소빈혈: 자궁수축기 동안 자궁의 400ml혈액이
모체의 혈관으로 유입자궁이 비워진다.
2)혈압변화
①자궁수축시 혈압상승(→자궁이완시 혈압측정)
분만1기: 10mmHg
분만2기:(수)30mmHg
(이)25mmHg
②발살바 호흡(태아에게 저산소증을 나타나게 함)
흉강내 압력 증가
정맥압 증가
심박출량 증가
혈압증가
③모체의 체위(앙와워성 저혈압0
쌍생아, 양수과다증, 비만증시 저혈압 하강
④불안, 통증
혈압 하강
⑤진통제 마취제
2.호흡기계
-신체활동이 증가→산소소모 증가→호흡률 증가
-과호흡→호흡성 알칼르시스(손발이 얼얼하다, 손발이 저
리다, dizzinss, 오심, 구토)
-분만2기 산소소모 2배 증가, 불안도 산소소모 증가
3.신장계
-발한, 호흡 = 수분상실(금식으로 인한 갈증)체온이 상승→탈수증세
-분만동안 선진부 압박에 의해 방광조직이 붓고 불편감,
안정제 사용
→자연배뇨를 어렵게 한다.
4.피부계: 질구의 과다팽창, 열상 &미세손상
5.근골격계
-근육활동이 많다→근골격계 스트레스 상승
-다리저리기, 관절통, 요통<후두후방위>
6.신경계 변화
1기: 다행감으로 진지함
2기: 섬망증
출산후: 충전한 의기, 피로
7.위장계
-구강간호: 입으로 호흡→탈수 /분만기 정서 반응 (입술, 구강이 건저해짐)
-분만 전: 오심, 구토가 많으므로 가볍게 먹는다,
8.내분비계: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게↑, 프로스타단딘↑, 옥시토신↑
태아
1.태아심박동수
태아 monitoring
-장국, 태반, 태아의 스트레스는 심박동수 변화
-term:평균140회
normal:120~160회
-태아심박동수의 잉ㄹ시적 증가 경한 초기 하강
→태아움직임,질검진,자궁저부압박,자궁수축,복부촉진에
반응,normal
2.태아순환
-모체의 체위, 자궁수축, 모체혈압, 제대혈류에 영향 받
는다.
-자궁수축기 동안 태아순환 감소
3.태아호흡→태아의 매 7.35이하↓
-질분만시 양수7~42ml 태아의 폐속으로 모임
-정산PO2 80mmHg↓
PCO2 40mmHg→70mmHg
**분만동안 태아의 호흡운동 감소→자궁수축,산부의 복압
분만 직후:대동맥 화학수용기,경동맥 압박 수용기에 의해
즉각적 호흡 가능하다.
**발살바 수기:태아의 PH↓ PO2↓ PCO2↑
↓
FHT,FHS,FHB↑혈압↑
↓
태아의 대동맥 화학수용기기
↓
FHT↓,혈압↓(태아 나름의 호흡 유지 가능)
태아이상
①1분에 160회 이상의 태아빈맥,120회 이하의 태아서맥
②태아감식기의 후기감퇴 변화성 감소→태아질식 징후
③태변착색
a.태아질식→미주신경자극→장운동 상승→배설
b.괄약근 조절력 상실로 태변배출
c.둔위인 경우 태변 착색 normal
④태아산증
normal 7.3~7.35 (7.2 이하 위험)
Ⅲ산부간호
1.제1기 간호
-start→ ①자궁의 수축 빈도 하강 강도상승 기간이 상승
②혈성이술이 나타남 ③양막이 파열
-병원가기 적절한 시기
→초산부는 5분마다 진통이 있을 때(잠재기)
→경산부는 10분마다 진통이 있을 때(활동기)
**간호사 역할
산부가 자신의 분만경험을 통해 자존감과 만족감을 높이고 자신의 분만에 스스로 참여 하도록 돕는다.
**간호사정: 진진통과 가진통의 판단이 중요
1)입원자료사정: 체중증가 양상,활력증후,태아심박동,자궁저부,산부혈액형,일반혈액검사CBC
혈당검사, 혈청검사(매독) ,B형간염항체 검사, 요검사
**HBS Ab<->항체 HBS Ag<+>
→간염보균지로
→모유수유 안
③발로
=자궁수축이 멈추어도 아두가 사라지지 않고 양음순 사
이에 노출된 상태→회음절개술이 시행된다.
④분만기전
=태아의 선진부는 산도에 비해 크다. 따라서 태아는 하강
하는 동안 사로에 적응해야만 한다
*순서*
1.골반입구 진입→2.하강→3.굴곡→4.내회전
↓
7.만출←6.외회전←5.신전
분만의 7가지 기전
1.골반입구의 진입
→아두의 가장 긴 전후경선<미간에서 후두12cm>이 골반
의 횡경선<천골갑에서 치골결합상부11cm>을 통과함
→완전 굴곡시 두정위인 경우 대횡경선<양두점골 사이
9.25cm>으로 진입
→경산부 보다 초산부의 진입이 먼저 일어남.
But)단단복직근이 선진부위를 밀어넣어
2.하강
→골반을 통과하는 선진부의 진행
→선진부가 골반강으로 내려감
→분만1기 잠재기에 하강이 약간 있고 활동기<경관개대 5~7cm>하강이 빠르게 진행된다.
**하강기전**
-양수의 압력
-자궁수축력<1차 만출력>→태아 누르기
-분만2기 모체의 황격막과 복근의 수축<→2차 만출력>
3.굴곡
→정상적으로 아두의 턱은 가슴쪽으로 굴곡한다.
→아두의 출구 경선이 태아의 가장 짧은 소사경선으로 <9.5cm>으로 진입
4.내회전함
모체의 골반입구는 횡경선(11cm)이 가장 커서 진입시에
는 횡경선으로 들어가지만 골반출구는 전후경선(11.5cm)맞추기 위하여 아두가 회전함
→골반강 내에서 아두의 시상봉합이(전후경선과 일치)골
반출구의 전후경선과 일치하도록 회전
*정상절식 분만이 가장 용이한(ROA)
*요통이 가장 심한 경우
후두 후방위→아기의 후두가 엄마의 천골을 압박하면서 요통이 심해진다.(ROP,LOP)
5.신전
아기의 머리를 핀다.
*신전의 순서
후두→두정→전정→이마→안면→턱→지렛대 역할
6.외회전
→어깨를 골반출구의 전후경선에 맞게 회전하여 빠져 나
오려 함
→전견갑이 먼저 하강하여 출구에 이르면 회전하여 치골
궁 밑으로 만출 후견갑을 질에서 나오도록 전견갑을 외
음부 위로 올린다.
→위어깨 나오게 어깨를 아래로↓
아래어깨 나오게 어깨를 위로↑
7.만출: 출생시간이다.
(3)제3기= 태반박리기, 태반만출기
태반박리
중앙부터 박리
가장자리부터 박리
태반만출기
태아면이 전저 만출되는 슐츠기전
모체면부터 만출 던칸기전
출혈
갑자기 분출하듯
졸졸졸 트로는
**태반박리중후
①갑자기 질로 분출하는 혈액
②자궁의 모양이 원반형에서 둥구 난형으로 변화
③질로부터 재대가 늘어남
④자궁수축이 강해지면서 자궁저부 상승
**태반, 태아막이 자궁내 잔류하면 산후출혈, 쇼크, 감염,
사망을 일으킴
4)제4기
2~4시간
Ⅱ분만과정에 따른 변화
모체
1.심맥관계 변화
1)자궁의 국소빈혈: 자궁수축기 동안 자궁의 400ml혈액이
모체의 혈관으로 유입자궁이 비워진다.
2)혈압변화
①자궁수축시 혈압상승(→자궁이완시 혈압측정)
분만1기: 10mmHg
분만2기:(수)30mmHg
(이)25mmHg
②발살바 호흡(태아에게 저산소증을 나타나게 함)
흉강내 압력 증가
정맥압 증가
심박출량 증가
혈압증가
③모체의 체위(앙와워성 저혈압0
쌍생아, 양수과다증, 비만증시 저혈압 하강
④불안, 통증
혈압 하강
⑤진통제 마취제
2.호흡기계
-신체활동이 증가→산소소모 증가→호흡률 증가
-과호흡→호흡성 알칼르시스(손발이 얼얼하다, 손발이 저
리다, dizzinss, 오심, 구토)
-분만2기 산소소모 2배 증가, 불안도 산소소모 증가
3.신장계
-발한, 호흡 = 수분상실(금식으로 인한 갈증)체온이 상승→탈수증세
-분만동안 선진부 압박에 의해 방광조직이 붓고 불편감,
안정제 사용
→자연배뇨를 어렵게 한다.
4.피부계: 질구의 과다팽창, 열상 &미세손상
5.근골격계
-근육활동이 많다→근골격계 스트레스 상승
-다리저리기, 관절통, 요통<후두후방위>
6.신경계 변화
1기: 다행감으로 진지함
2기: 섬망증
출산후: 충전한 의기, 피로
7.위장계
-구강간호: 입으로 호흡→탈수 /분만기 정서 반응 (입술, 구강이 건저해짐)
-분만 전: 오심, 구토가 많으므로 가볍게 먹는다,
8.내분비계: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게↑, 프로스타단딘↑, 옥시토신↑
태아
1.태아심박동수
태아 monitoring
-장국, 태반, 태아의 스트레스는 심박동수 변화
-term:평균140회
normal:120~160회
-태아심박동수의 잉ㄹ시적 증가 경한 초기 하강
→태아움직임,질검진,자궁저부압박,자궁수축,복부촉진에
반응,normal
2.태아순환
-모체의 체위, 자궁수축, 모체혈압, 제대혈류에 영향 받
는다.
-자궁수축기 동안 태아순환 감소
3.태아호흡→태아의 매 7.35이하↓
-질분만시 양수7~42ml 태아의 폐속으로 모임
-정산PO2 80mmHg↓
PCO2 40mmHg→70mmHg
**분만동안 태아의 호흡운동 감소→자궁수축,산부의 복압
분만 직후:대동맥 화학수용기,경동맥 압박 수용기에 의해
즉각적 호흡 가능하다.
**발살바 수기:태아의 PH↓ PO2↓ PCO2↑
↓
FHT,FHS,FHB↑혈압↑
↓
태아의 대동맥 화학수용기기
↓
FHT↓,혈압↓(태아 나름의 호흡 유지 가능)
태아이상
①1분에 160회 이상의 태아빈맥,120회 이하의 태아서맥
②태아감식기의 후기감퇴 변화성 감소→태아질식 징후
③태변착색
a.태아질식→미주신경자극→장운동 상승→배설
b.괄약근 조절력 상실로 태변배출
c.둔위인 경우 태변 착색 normal
④태아산증
normal 7.3~7.35 (7.2 이하 위험)
Ⅲ산부간호
1.제1기 간호
-start→ ①자궁의 수축 빈도 하강 강도상승 기간이 상승
②혈성이술이 나타남 ③양막이 파열
-병원가기 적절한 시기
→초산부는 5분마다 진통이 있을 때(잠재기)
→경산부는 10분마다 진통이 있을 때(활동기)
**간호사 역할
산부가 자신의 분만경험을 통해 자존감과 만족감을 높이고 자신의 분만에 스스로 참여 하도록 돕는다.
**간호사정: 진진통과 가진통의 판단이 중요
1)입원자료사정: 체중증가 양상,활력증후,태아심박동,자궁저부,산부혈액형,일반혈액검사CBC
혈당검사, 혈청검사(매독) ,B형간염항체 검사, 요검사
**HBS Ab<->항체 HBS Ag<+>
→간염보균지로
→모유수유 안
키워드
추천자료
case별 고위험 산부 간호
노화에 따른 소화기계의 변화 ppt
[간호][환자간호][화상환자 간호][구강 간호][근종절제술과 자궁절제술환자 간호][무의식환자...
모성간호학 분만실 실습 레포트 (조기양막파수와 유도분만)
[모성간호학]NSVD 케이스, case study, 분만실 실습, 자연분만
기술발달과 혁신에 따른 인간 생활의 변화와 기술 혜택의 분배
분만간호, 출산간호
[모성간호학][분만간호][산모.신생아 간호]산욕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여성간호학실습] 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조기양막파수 케이스 스터디(CaseS...
자연분만 케이스, 자연분만 case, Normal case, 여성 case, 여성 간호학 case, 여성 간호학 ...
[모성간호학]분만 2기 간호
분만 2기 간호 1. 분만 2기 간호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기대하는 결과 5. 간호계획수행...
분만 1기 간호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기대하는 결과 4. 간호계획 수행과 평가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모성케이스, 여성간호학 case, A+++,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