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 / 유괴 방지를 위한 가이드 라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아 / 유괴 방지를 위한 가이드 라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침
3. 사전행동 억제
4. 보안
5. 사건발생시 대비책
6. 결론

본문내용

야 한다.
오직 권한이 주어진 신분증을 착용한 직원만이 시설의 다른 병실로 테스트를 위해 유아를 옮길 수 있다.
유아들은 가시권에 있는 감독 없이 절대로 복도로 나올 수 없다.
유아들은 반드시 요람, 유모차 등으로만 옮길 수 있다.
엄마, 아빠, 가족을 포함하여 환자가 지정한 방문자는 반드시 공식 신분확인증을 착용해야 한다.
직원, 부모의 가시권에 직접적으로 있지 않는 유아의 경우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에 떨어진 방에 놓여야 한다.
접근 통제 정책은 안전이 가장 최대화 할 수 있는 지역에 설정한다.
유아가 이러한 병실에서 실종됐을 경우 즉시 긴급 사건 대비책을 실시한다.
특별관리 신생아실
소아중환자실은 전형적으로 유아가 퇴원할 때까지 부모가 항시 있을 수 없는 복합 요람이 있는 큰 병실로 이루어져있다.
특별관리실같이 유아가 위중할 때의 문제는 많은 측면을 내포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유아관리는 정맥주사, 극한 상태, 유아의 체중 재는 과정 등을 이유로 수많은 신원확인밴드를 바꾸게 된다.
산부인과와는 일관성이 없게 보안 정책과 절차가 없다.
부모들과는 친밀할 수 없고 다양한 간병인들이 북적거리는 방이 따로 있다.
중환자실에서는 유아 유괴가 일어나지 않아 보안도 부실한 편이다.
다른 병실과는 다르게 부모들에게 유아와 일치하는 신원확인 밴드를 제출하라고 하지 않는다
소아과 병실
소아과병실은 비가족 유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해야 하는 난제에 직면해 있다. 보건관리시설에서 유괴된 유아 중 신생아실로부터 유괴된 경우가 14%인 반면, 소아병원을 포함한 소아과 병실에서 유괴된 경우 15%이기 때문이다.
특별관리 신생아실의 경우 부모가 퇴원 때까지 항상 같이 잇는 것이 아니라, 간호사들도 가족이 부재할 때 항상 같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아들은 가족들이 부재할 때 항상 중앙집중형 신생아실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런 식으로 소아병실도 종종 특별관리병실보다 보안이 취약하고 단단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곳에는 간호사실과 연결되는 CCTV카메라를 설치하고 입구에 아동의 별명 등을 붙여야하며 보안관리자를 환자의 방과 병실에 항시 세워야 한다.
가 정
언급 전에 이 책의 2003년 1월달 판에 보면 시설 내에서 엄마에 대한 폭력의 사용은 없었고 가정에서 78명의 유아 납치가 있었으며 30%가 살해를 포함한 폭력행위에 연관되어있다. 지난 몇 해간 유괴의 위치는 가정으로 뚜렷이 옮겨지고 있는데, 출산 후 퇴원 전에 환자 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중요하다. 유괴자가 시설 내에서 엄마와 아기를 처음 대할 때 나타나는 몇 가지 유형이 있고 궁극적으로 가정에서 유괴가 이루어진다는 것은 가정이 시설에 비해 보안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사실로 귀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건관리 시설이 가족의 정확한 주소와 특별한 신원 자료 등을 언론에 공표한다는 것은 적절하지가 못하며 엄마를 비롯한 가족들은 시설과 가정에서 체크 리스트를 꼼꼼히 숙지해야 한다.
부모가 알아야하는 것
보건관리 시설의 직원들은 부모들이 최대한의 아동 보호를 원한다는 사실을 항상 유념해야 한다. 뒤에 이을 목록들은 아기가 태어난 시설과 데려갈 가정에서 유괴를 방지하도록 도와주는 좋은 육아 테크닉을 제공한다. 유아 유괴의 많은 사례를 인지하고 교육받아야 한다.
시설 1. 아기 출생 전의 요점은, 당신이 출산할 시설의 보안 절차를 조사하고, "특별관리"와 출산실 보안상태를 명문화한 지침을 요구하는 것이다. 시설에 머무는 동안 아기를 보호하는 장소에 대한 모든 절차를 알아야 한다.
시설 2. 새로운 부모들이 걱정하는 것은 당연한 것인 반면, 신생아의 탄생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시설 3. 화장실에 가거나 낮잠을 잘 때 절대로 가시권 밖에 유아를 두지 말 것. 만약 방을 떠나거나 자야할 경우, 신생아실로 데리고 가는 간호사를 경계해야 하거나 가족들이 지켜야 한다. 가능하면, 출입구와 반대방향의 침대에 유아의 요람을 두어라.
시설 4. 시설에 들어간 후에, 일상적 신생아실 절차, 모유와 방문시간, 보안정도를 나타내는 조서를 요구하고 납득할 만한 설명을 들을 때까지 직접적인 질문을 주저하지 말라.
시설 5. 시설에서 허가한 적합한 신원 없이는 누구에게도 유아를 주지 말고 유아를 옮길 수 있는 유니폼과 신분확인증이 있는지 확인해라. 질문이 있다면 병실책임자, 수간호사 같이 권위자에게 얘기해라
시설 6. 신생아실에서 일하는 직원들과 친하게 지내라. 짧게 머무르는 동안 당신과 유아를 맡은 간호사에게 자신을 소개하라
시설 7. 당신 방에 들어오거나 유아에 대해 물어보는 생소한 사람에겐, 시설 복장을 입고 거기 있는 이유가 있어보여도 물어보라. 즉시 간호사실을 경계해라
시설 8. 유아가 있을 곳과 테스트 받을 시기, 시간에 관해 결정해라. 누가 테스트를 주재할지도 알아보라. 누가 유아를 데려가는지, 테스트가 명확히 이뤄졌는지 등이 명확하지 않다면 절차를 따르는 것이 올바르다. 혹 당신이 유아를 동반할 수 없다면 가족 멤버가 동행해라.
시설 9. 집으로 갈 때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아기 컬러사진과 족문, 특정 육체적 특징을 포함한 명문화된 프로필이 있어야 한다.
시설/가정 10. 출생 후,퇴원 전에는 가정에 맞게 스케줄을 잡은, 시설관리의 연장선상에 있는 절차 지침을 요구해라. 확인되지 않은 신분증 없이 시설직원이라고 얘기하는 사람은 누구도 집안에 들여놓아서는 안 된다.
시설/ 가정 11. 신문이나 인터넷상으로 유아의 탄생을 알릴 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을 항상 고려해라. 생일 공표에 절대로 집 주소를 넣어선 안 되면 아기 이름도 별명을 사용해라.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은 신문에 생일을 공표하지 않는다
가정 12. 가정으로 도착한 유아를 위해 풍선과 같은 장식은 새 아기의 존재를 알리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가정 13. 집에는 엄마가 잘 아는 사람만 허락해라. 단지 최근에 알게 되었거나 특히 임신 중이나 출산 중 잠깐 만난 사람들은 조심해라. 집에 유아가 있을 때 가족들은 부단한 노력을 해야 한다. 근본적으로 유아의 가족은 집안 보안 팀이며 모든 가족 인원은 수상한 방문에 민감해야만 한다.

키워드

미아,   유괴,   child,   missing,   유아,   어린이범죄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5.1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0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