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bbing/Cyanosis (-/-/-)
CVAT (-/-)
간호목적
1. 안위를 표현하고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2. 활력징후가 정상이다.
3. 정상적인 심전도를 회복하거나 정상리듬을 회복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1. EKG & Saturation & NIBP monitoring 시작함.
2. O2 inhalation 시작함 (흡인경로: Nasal prong. 산소 5L/min)
(이론적 근거: 저산소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강으로 투여한다.)
3. Nitroglycerin 0.6 mg 설하 투여/ NG IV infusion 시작함.
Asprin 씹어서 복용 , Morphin IV 투여
( 이론적 근거: NG-혈관확장제 / asprin- 빠른흡수를 위해
씹어서 복용, 항혈소판작용은 AMI후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있음. / Morphin- 심근성 흉통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 이외에 전부하를
감소시키고 심근의 산소 요구를 저하시킨다.
평가
8:43- chest pain 감소함(정도:높은 정도로 부위: sternal)
현재 내원시보다 2~3점정도의 통증으로 감소
nausea & vomiting 없음.
활력 징후 stable 함.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08:07
75
50
08:14
66
45
92
08:23
100
90
52
92
간 호 진 단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가슴이 쥐어 짜듯이 아파\"
“등 부분도 아파”
* 객관적 자료(O): *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 내원 5시간 전에 맥주 마시고 통증 있으나
증상 호전 없어 ER 내원.
* Am 7:40: NG 설하정 투여
7:44: Morphin (3mg IV 투여)
7:45 NG IV infusion 시작 후
7:51 에도 chest pain 지속됨.
* lab 결과
GOT
187
▲
0~40 IU/L
GPT
41
▲
0 ~ 40 IU/L
CK
1166
▲
20 ~ 270 IU/L
LD
416
▲
100 ~ 225 IU/L
CK-MB
76.7
▲
0~ 3.6 ng/ml
Myoglobin
1214
▲
10.5 ~92.5 ng/mL
Troponin I
27.27
▲
0 ~0.5 ng/mL
* ECG (병동 portable) 결과
V2-5, aVL ST elevation with reciprocal change
# 간호진단 1: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심근 허혈과 관련된 통증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약 물 투 여 함
07:59
63
40
* 객관적 자료(O) :
간호목적
1. 대상자는 정상 V/S을 나타낼 것이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약물 투여 후 매번 V/S 을 측정한다.
2. 저혈압 증후가 있을시 의사에게 알리고 환자 사정 후
알맞은 중재를 한다.
-> 7: 59 > NIBP 측정시 (63/40 -Rt. arm) 측정되어
NGT mixed fluid stop함. 의식상태 assessment함(alert)
8:00 > dizziness & nausea 있음.
평가
약물 투여를 stop 후에 급격하게 낮아진 BP가 조금 상승됨을 확인함.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07:59
63
40
08:07
75
50
08:14
66
45
92
08:23
100
90
52
92
# 2. 약물 투여와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위험성 (hypotension)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PCI를 해야 하나요? 무슨 검사인가요?”
* 객관적 자료(O) : 동의서를 받으면서 불안해하는 모습 보임.
간호목적
1. 환자와 보호자는 PCI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환자 가족이 위험요인을 알고 표현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사전 동의서를 받는 의사는 환자에게 검사에 대한 설명을 철저히
한다. 환자에게 검사를 이해했는지 말로 표현하게 하고 나서 환자의 이해를 재확인한다.
2. 검사도 중 구토와 토물 흡인 방지를 위해서 검사 전 6~8시간동안
금식시킨다.
3, 환자에게 조영제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4. 환자에게 검사 중에는 딱딱한 침애에 눕게 되며 방이 어둡다는
것을 말해준다.
5. 검사 후 동맥 천공부위에 출혈, 감염, 혈종, 맥박부채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6. 검사 이후 조영제 배설을 돕도록 수액섭취를 권장한다.
평가
PCI 동의서를 받으면서 환자와 보호자가 시술에 대해 이해했다고
표현하였다.
# 3. 검사 목적, 준비, 절차에 관련된 지식부족
# 4. 질병 ( 고혈압, 당뇨 ) 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처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 고혈압, 당뇨 없어” (부인함.)
* 객관적 자료(O) : * 평소에 당뇨와 고혈압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나 특별히 관리하지 않았음.(불이행)
* 아버지와 여동생이 심장마비로 사망. (가족력)
간호목적
1. 대상자는 질병을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2. 환자는 적절하게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질병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환자를 돕는다.
2. 질병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3. 급성 협심증에 대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자료를 제공한다.
평가
ER 이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간호중재를 하지 못했으나,
앞으로 고혈압, 당뇨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심근경색에 대해서도 대상자와 보호자가 이해하며 설명할
수 있고, 일상생활시 주의점에 대해서도 환자가 알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어보였다.
참고 문험
* 성인 내*외과 간호학 III (p.527~) / 최정진저 / 형설출판사
* 간호진단과 중재 / 이은옥외 / 서울대학교출판부
* 진단적 검사와 간호 / 송미순외 / 현문사
* 각종 인터넷 사이트 : 네이버, 다음
[http://home.pusan.ac.kr/~zziya21/.repository/zziya2101/11348.hwp
CVAT (-/-)
간호목적
1. 안위를 표현하고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2. 활력징후가 정상이다.
3. 정상적인 심전도를 회복하거나 정상리듬을 회복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1. EKG & Saturation & NIBP monitoring 시작함.
2. O2 inhalation 시작함 (흡인경로: Nasal prong. 산소 5L/min)
(이론적 근거: 저산소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강으로 투여한다.)
3. Nitroglycerin 0.6 mg 설하 투여/ NG IV infusion 시작함.
Asprin 씹어서 복용 , Morphin IV 투여
( 이론적 근거: NG-혈관확장제 / asprin- 빠른흡수를 위해
씹어서 복용, 항혈소판작용은 AMI후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있음. / Morphin- 심근성 흉통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마약성 진통제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 이외에 전부하를
감소시키고 심근의 산소 요구를 저하시킨다.
평가
8:43- chest pain 감소함(정도:높은 정도로 부위: sternal)
현재 내원시보다 2~3점정도의 통증으로 감소
nausea & vomiting 없음.
활력 징후 stable 함.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08:07
75
50
08:14
66
45
92
08:23
100
90
52
92
간 호 진 단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가슴이 쥐어 짜듯이 아파\"
“등 부분도 아파”
* 객관적 자료(O): * 얼굴을 찡그리고 있음.
* 내원 5시간 전에 맥주 마시고 통증 있으나
증상 호전 없어 ER 내원.
* Am 7:40: NG 설하정 투여
7:44: Morphin (3mg IV 투여)
7:45 NG IV infusion 시작 후
7:51 에도 chest pain 지속됨.
* lab 결과
GOT
187
▲
0~40 IU/L
GPT
41
▲
0 ~ 40 IU/L
CK
1166
▲
20 ~ 270 IU/L
LD
416
▲
100 ~ 225 IU/L
CK-MB
76.7
▲
0~ 3.6 ng/ml
Myoglobin
1214
▲
10.5 ~92.5 ng/mL
Troponin I
27.27
▲
0 ~0.5 ng/mL
* ECG (병동 portable) 결과
V2-5, aVL ST elevation with reciprocal change
# 간호진단 1: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심근 허혈과 관련된 통증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약 물 투 여 함
07:59
63
40
* 객관적 자료(O) :
간호목적
1. 대상자는 정상 V/S을 나타낼 것이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약물 투여 후 매번 V/S 을 측정한다.
2. 저혈압 증후가 있을시 의사에게 알리고 환자 사정 후
알맞은 중재를 한다.
-> 7: 59 > NIBP 측정시 (63/40 -Rt. arm) 측정되어
NGT mixed fluid stop함. 의식상태 assessment함(alert)
8:00 > dizziness & nausea 있음.
평가
약물 투여를 stop 후에 급격하게 낮아진 BP가 조금 상승됨을 확인함.
시간
SpO2
SBP
DBP
HR
RR
BT
07:40
100
165
111
70
20
36.0
07:59
63
40
08:07
75
50
08:14
66
45
92
08:23
100
90
52
92
# 2. 약물 투여와 관련된 조직관류 장애 위험성 (hypotension)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PCI를 해야 하나요? 무슨 검사인가요?”
* 객관적 자료(O) : 동의서를 받으면서 불안해하는 모습 보임.
간호목적
1. 환자와 보호자는 PCI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환자 가족이 위험요인을 알고 표현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사전 동의서를 받는 의사는 환자에게 검사에 대한 설명을 철저히
한다. 환자에게 검사를 이해했는지 말로 표현하게 하고 나서 환자의 이해를 재확인한다.
2. 검사도 중 구토와 토물 흡인 방지를 위해서 검사 전 6~8시간동안
금식시킨다.
3, 환자에게 조영제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4. 환자에게 검사 중에는 딱딱한 침애에 눕게 되며 방이 어둡다는
것을 말해준다.
5. 검사 후 동맥 천공부위에 출혈, 감염, 혈종, 맥박부채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6. 검사 이후 조영제 배설을 돕도록 수액섭취를 권장한다.
평가
PCI 동의서를 받으면서 환자와 보호자가 시술에 대해 이해했다고
표현하였다.
# 3. 검사 목적, 준비, 절차에 관련된 지식부족
# 4. 질병 ( 고혈압, 당뇨 ) 과 관련된 비효율적 대처
자료수집
* 주관적 자료(S) : “ 고혈압, 당뇨 없어” (부인함.)
* 객관적 자료(O) : * 평소에 당뇨와 고혈압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나 특별히 관리하지 않았음.(불이행)
* 아버지와 여동생이 심장마비로 사망. (가족력)
간호목적
1. 대상자는 질병을 정확하게 평가할 것이다.
2. 환자는 적절하게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1. 질병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환자를 돕는다.
2. 질병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3. 급성 협심증에 대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 자료를 제공한다.
평가
ER 이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에 간호중재를 하지 못했으나,
앞으로 고혈압, 당뇨는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심근경색에 대해서도 대상자와 보호자가 이해하며 설명할
수 있고, 일상생활시 주의점에 대해서도 환자가 알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성이 있어보였다.
참고 문험
* 성인 내*외과 간호학 III (p.527~) / 최정진저 / 형설출판사
* 간호진단과 중재 / 이은옥외 / 서울대학교출판부
* 진단적 검사와 간호 / 송미순외 / 현문사
* 각종 인터넷 사이트 : 네이버, 다음
[http://home.pusan.ac.kr/~zziya21/.repository/zziya2101/11348.hwp
추천자료
관절염 case study
[논문] 간성혼수 case study
SICU CASE STUDY(뇌출혈 대상자)
[논문] 뇌경색 Case study
아동병동 case study
간세포암 case study
기관지확장증 case study
Cardio Case Study(Aortic stenosis 대동맥협착증)
MG case study(Unstable Angina_불안정 협심증)
Onco Case Study(Lectal Cancer_직장암)
MI case study
폐렴 case study(기관지 확장증)
성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모성 case study 자연분만 NSV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