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I. 序論
1) 硏究目的
2) 硏究士 檢討 d
3) 硏究方法과 範圍
II. 홍길동전에 나타난 종교사상과 특징
1) 儒敎的 또는 反儒敎的 사상
2) 佛敎思想
3) 道敎思想
4) 民間信仰 思想
III. 思想 형성의 배경
1) 당시의 상황과 배경
2) 현대적 해석
IV. 結論
#참고 문헌
I. 序論
1) 硏究目的
2) 硏究士 檢討 d
3) 硏究方法과 範圍
II. 홍길동전에 나타난 종교사상과 특징
1) 儒敎的 또는 反儒敎的 사상
2) 佛敎思想
3) 道敎思想
4) 民間信仰 思想
III. 思想 형성의 배경
1) 당시의 상황과 배경
2) 현대적 해석
IV. 結論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른 많은 혐의는 엄밀히 보아 일방적인 주장들이었을 뿐 그 사실들이 입증된 것은 아니었다
2. 현대적인 홍길동전 의 해석
영웅적 인물의 제시와 전기성을 바탕으로 한 사건 전개 등에서 고전 소설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당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대담하게 고발하고, 적서 차별철폐, 탐관오리 응징, 이상국 건설에 대한 작가의 견해를 제시하여 고전 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전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전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취해 온 반면,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 시킨 점에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비교적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전기적 성격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로소 소설의 형태를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내용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비판 의식이드러나 있는 현실 참여적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허균이 지은 우리 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이며 봉건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한 사회 소설이다. 홍길동전은 크게 '길동의 가출 -> 의적활동 -> 이상국 건설'로 구성되어 있다. 길동의 가출로 적서차별의 부당함을 드러내고, 의적활동으로 의적이 된 길동이 탐관오리의 부패상을 고발하고 그 대안으로 율도국이라는 이상향을 제시한다. 이 이상향은 박지원의 허생전에도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은 소재를 당대의 사회 현실에서 택했고, 의적을 등장시켜 모순된 사회 제도를 개혁하려는 혁명성과 서민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도교적인 둔갑술, 축지법, 분신법 등을 담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리얼리티를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경향은 작가의 세계관이나 삶의 자세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에서 태어나 문장으로 당대를 풍미했고 출세가도를 달렸음에도 그의 가슴 한 구석에 자리하고 있는 반역의 정신을 그는 어쩔 수 없었다. 스승 이달과 형 봉의 반역은 그를 행동하는 지성인으로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죽림칠현의 교유와 기행적 삶은 도교적인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을 누구보다 강하게 품다가 간 그의 꿈이 이 작품에 잘 드러나 있다. 후반부에 나타난 율도국의 건설은 당대의 제도적 모순을 극복할 이상국이라 볼 수도 있다.
이 작품은 중국의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등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주인공의 기본 모델은 국내에 존재한다. 즉, 연산군 때 가평, 홍천을 중심으로 활약한 명화적 실명 '홍길동', 명종 대의 양주 백정 임꺽정, 선조대의 충청도 홍산을 중심으로 거사한 이몽학의 난 등에 흐르고 있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국 건설에 대한 것은 조선 선비들이 갖고 있던 이상향에의 동경 사상이 일부 노출된 것으로 허균도 평서 참위설을 신봉하였다는 것과 표리를 이루고 있다. 문학사적인 위치에서 보면 김시습의 '금오신화'가 괴기와 염정을 주제로 한 여성적인 문학을 열어보였다면 '홍길동전'은 서얼문제, 탐관오리, 의적, 이상향을주제로 설정한 남성적 문학의 전형이라고 할 만하다. 또 당시 사회의 현실문제를 제재로 삼았다는 점도 획기적이라 할 만하다. 한편 서사시나 전기소설적인 전체의 흐름은 영웅의 일대기를 기술하는 한국 소설의 전통적인 면에서 설화시대와 소설시대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으며, 그 도술적 요소는 이후의 군담소설에 계승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IIII. 結論
蛟山은 儒家의 가문에서 태어나서 교육받았으나, 古典的인 儒家 思想을 그대로 合理하기를 원치 않았다. 그는 儒家의 경전을 남을 위한 道理의 道로서 받아들였다. 즉, 홀로 孤高 한 척 하며 자신의 名理만을 쫓는 利己的인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백성의 어려움과 고통을 해결해 줄 수 있는 實題的 觀繫으로서의 儒學 을 공부한 것이었다. 당연히 이러한 蛟山의 現實 그리고 그의 反言 한 行動은 일반 士條들로 하여금 조직적인 반발을 가져왔다. 결국 士林과 兩班에서는 그를 異端으로까지 非下 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은 일평생 그를 옭죄는 思想的 사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蛟山의 儒敎的 이면서도 反儒敎的 인 忠孝思想은 “洪吉童傳” 에서도 反映된다.
한편 蛟山은 佛敎와 道敎 에도 排斥하였다, 이 역시 그의 好學的 인 性格에서 출발하였다고 불 수 있으며, 예기치 않은 가정적 불행과 연속적인 悲運으로 인한 精神的 逃避處로서의 역할도 중요한 부분이 된 것으로 보여진다.
蛟山의 불교에 대한 示現역시 儒敎에 대한 그것과 일치된 경향을 보여준다. 그는 一般 四部 大家와 悲話된 채 山中에서 수련이나 하고 鐘 과 答 이나 만드는 神僕의 佛敎를 무시하였다. 반면 西山大師나 四溟大師처럼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民生救濟 에 앞장선 이들을 불교도의 으뜸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은 “洪吉童傳”에서 백성들을 援民取澤 하는 食管紳士 처럼 일반 위에 君臨하는 海印寺 의 중들을 彈劾하는 장면으로 나타났다.
“洪吉童傳”에는 그의 道敎的 인 자세가 많이 발견된다.
아울러 “洪吉童傳” 에는 다양한 民間信仰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蛟山은 儒敎, 佛敎, 道敎 의 宗敎와 수 천년동안 전래되어온 民間信仰과 新思 인 天主敎를 아우르는 泯合 思想의 소유자였다.
그리고 그점은 “洪吉童傳”에도 泯話된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는 이렇게 泯話된 宗敎的 思惟體系를 소유한 길동을 창조함으로써 班常과 常民의 階級的 選別이 엄격한 당시 사회에 새로운 眞理를 具現하려 하였다. 그리고 食管信使 에게 紵紬받던 民衆에게 自主的인 행동을 통하여 가슴이 시원한 세계를 提示 하였다 할 수 있다.
參考 文獻
강동엽, 蛟山의 이상과 그 현실, 예그린 출판사 1976
김진영, 許筠의 인물과 소설, 새문사, 1985
이이화, 許筠 ,도서출판 한길사, 1997
이필구, “洪吉童傳” 에 나타난 許筠 의 사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조동일, 영웅의 일생과 “洪吉童傳”, 새문사, 1983
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
허경진, “洪吉童傳”, 한양출판, 1995
황패강, “洪吉童傳”의 사회의식, 시인사, 1984
2. 현대적인 홍길동전 의 해석
영웅적 인물의 제시와 전기성을 바탕으로 한 사건 전개 등에서 고전 소설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당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대담하게 고발하고, 적서 차별철폐, 탐관오리 응징, 이상국 건설에 대한 작가의 견해를 제시하여 고전 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전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전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취해 온 반면, 이 작품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 시킨 점에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비교적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전기적 성격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로소 소설의 형태를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내용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비판 의식이드러나 있는 현실 참여적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허균이 지은 우리 나라 최초의 국문 소설이며 봉건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한 사회 소설이다. 홍길동전은 크게 '길동의 가출 -> 의적활동 -> 이상국 건설'로 구성되어 있다. 길동의 가출로 적서차별의 부당함을 드러내고, 의적활동으로 의적이 된 길동이 탐관오리의 부패상을 고발하고 그 대안으로 율도국이라는 이상향을 제시한다. 이 이상향은 박지원의 허생전에도 드러나 있다.
이 작품은 소재를 당대의 사회 현실에서 택했고, 의적을 등장시켜 모순된 사회 제도를 개혁하려는 혁명성과 서민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도교적인 둔갑술, 축지법, 분신법 등을 담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리얼리티를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경향은 작가의 세계관이나 삶의 자세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에서 태어나 문장으로 당대를 풍미했고 출세가도를 달렸음에도 그의 가슴 한 구석에 자리하고 있는 반역의 정신을 그는 어쩔 수 없었다. 스승 이달과 형 봉의 반역은 그를 행동하는 지성인으로 만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죽림칠현의 교유와 기행적 삶은 도교적인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을 가능성이 크다.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염원을 누구보다 강하게 품다가 간 그의 꿈이 이 작품에 잘 드러나 있다. 후반부에 나타난 율도국의 건설은 당대의 제도적 모순을 극복할 이상국이라 볼 수도 있다.
이 작품은 중국의 '수호전', '삼국지연의', '서유기' 등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주인공의 기본 모델은 국내에 존재한다. 즉, 연산군 때 가평, 홍천을 중심으로 활약한 명화적 실명 '홍길동', 명종 대의 양주 백정 임꺽정, 선조대의 충청도 홍산을 중심으로 거사한 이몽학의 난 등에 흐르고 있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국 건설에 대한 것은 조선 선비들이 갖고 있던 이상향에의 동경 사상이 일부 노출된 것으로 허균도 평서 참위설을 신봉하였다는 것과 표리를 이루고 있다. 문학사적인 위치에서 보면 김시습의 '금오신화'가 괴기와 염정을 주제로 한 여성적인 문학을 열어보였다면 '홍길동전'은 서얼문제, 탐관오리, 의적, 이상향을주제로 설정한 남성적 문학의 전형이라고 할 만하다. 또 당시 사회의 현실문제를 제재로 삼았다는 점도 획기적이라 할 만하다. 한편 서사시나 전기소설적인 전체의 흐름은 영웅의 일대기를 기술하는 한국 소설의 전통적인 면에서 설화시대와 소설시대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으며, 그 도술적 요소는 이후의 군담소설에 계승되어 갔다고 볼 수 있다
IIII. 結論
蛟山은 儒家의 가문에서 태어나서 교육받았으나, 古典的인 儒家 思想을 그대로 合理하기를 원치 않았다. 그는 儒家의 경전을 남을 위한 道理의 道로서 받아들였다. 즉, 홀로 孤高 한 척 하며 자신의 名理만을 쫓는 利己的인 학문으로서가 아니라, 백성의 어려움과 고통을 해결해 줄 수 있는 實題的 觀繫으로서의 儒學 을 공부한 것이었다. 당연히 이러한 蛟山의 現實 그리고 그의 反言 한 行動은 일반 士條들로 하여금 조직적인 반발을 가져왔다. 결국 士林과 兩班에서는 그를 異端으로까지 非下 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은 일평생 그를 옭죄는 思想的 사슬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蛟山의 儒敎的 이면서도 反儒敎的 인 忠孝思想은 “洪吉童傳” 에서도 反映된다.
한편 蛟山은 佛敎와 道敎 에도 排斥하였다, 이 역시 그의 好學的 인 性格에서 출발하였다고 불 수 있으며, 예기치 않은 가정적 불행과 연속적인 悲運으로 인한 精神的 逃避處로서의 역할도 중요한 부분이 된 것으로 보여진다.
蛟山의 불교에 대한 示現역시 儒敎에 대한 그것과 일치된 경향을 보여준다. 그는 一般 四部 大家와 悲話된 채 山中에서 수련이나 하고 鐘 과 答 이나 만드는 神僕의 佛敎를 무시하였다. 반면 西山大師나 四溟大師처럼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民生救濟 에 앞장선 이들을 불교도의 으뜸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러한 모습은 “洪吉童傳”에서 백성들을 援民取澤 하는 食管紳士 처럼 일반 위에 君臨하는 海印寺 의 중들을 彈劾하는 장면으로 나타났다.
“洪吉童傳”에는 그의 道敎的 인 자세가 많이 발견된다.
아울러 “洪吉童傳” 에는 다양한 民間信仰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이 蛟山은 儒敎, 佛敎, 道敎 의 宗敎와 수 천년동안 전래되어온 民間信仰과 新思 인 天主敎를 아우르는 泯合 思想의 소유자였다.
그리고 그점은 “洪吉童傳”에도 泯話된 형태로 되어 있었다. 그는 이렇게 泯話된 宗敎的 思惟體系를 소유한 길동을 창조함으로써 班常과 常民의 階級的 選別이 엄격한 당시 사회에 새로운 眞理를 具現하려 하였다. 그리고 食管信使 에게 紵紬받던 民衆에게 自主的인 행동을 통하여 가슴이 시원한 세계를 提示 하였다 할 수 있다.
參考 文獻
강동엽, 蛟山의 이상과 그 현실, 예그린 출판사 1976
김진영, 許筠의 인물과 소설, 새문사, 1985
이이화, 許筠 ,도서출판 한길사, 1997
이필구, “洪吉童傳” 에 나타난 許筠 의 사상,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조동일, 영웅의 일생과 “洪吉童傳”, 새문사, 1983
차주환, 한국의 도교사상, 동화출판공사 1984
허경진, “洪吉童傳”, 한양출판, 1995
황패강, “洪吉童傳”의 사회의식, 시인사, 1984
소개글